러 책임 규정한 ‘우크라 결의안’ 철회 압박
도널드 트럼프 당시 미국 대통령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2019년 6월 일본 오사카에서 열린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를 계기로 만나 회담하기에 앞서 악수하고 있다. AFP 연합뉴스
우크라이나 전쟁 3년을 맞아 유엔에서 관련 결의안이 추진되는 과정에서 미국과 우크라이나 간 외교적 갈등이 커지고 있다. 미국은 우크라이나에 결의안 철회를 압박하면서 러시아의 책임을 명시하지 않은 자체 결의안을 새로 추진하고 있다. 미국은 전쟁 3년을 맞아 주요 7개국(G7)이 발표할 성명에서도 러시아를 우크라이나의 ‘침략자’(aggressor)라고 표현하는 것에 반대하고 있다.
22일(현지시각) 월스트리트저널 보도에 따르면, 우크라이나가 추진한 결의안은 러시아의 침공 책임을 명확히 규정하고, 즉각적인 철군과 전쟁 범죄에 대한 책임을 요구하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다. 반면 미국이 제출한 결의안은 ‘전쟁의 조속한 종식'을 촉구하는 수준이며 러시아의 책임은 명시돼 있지 않다. 마코 루비오 미 국무장관은 성명을 통해 “우리는 전쟁을 끝내기 위해 현실적인 접근법을 택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미국은 유럽 국가들에게 우크라이나 결의안을 지지하지 말라고 요청했다. 월스트리트저널이 입수한 미 국무부 외교 문서에는 ‘우리는 우크라이나 결의안이 추진될 경우 이를 반대할 것이며, 유럽 국가들도 우크라이나를 설득해 철회하도록 도와달라’는 내용이 담겨 있다.
우크라이나는 결의안을 철회할 생각이 없다는 입장이다. 안드리 시비하 우크라이나 외무장관은 “러시아의 침략 책임을 희석하는 것은 절대 용납할 수 없다”며 영국 및 프랑스 외무장관과 협력해 대응 방안을 논의했다고 밝혔다.
미국이 러시아의 책임을 면제하는 듯한 결의안을 제출하자 유럽 각국에서는 반발이 터져나왔다. 한 유럽연합 고위 외교관은 월스트리트저널에 “미국이 러시아 편에 서려 한다는 인식이 유럽 외교 무대에서 강해지고 있다”고 전했다. 프랑스와 영국이 미국에 결의안 수정을 요구했으나, 미국은 이를 거부했다고 한다. 한 유럽 외교관은 “미국이 갑자기 태도를 바꾼 것은 트럼프 대통령의 러시아와의 관계 개선 의지 때문으로 보인다”라고 분석했다.
유엔 총회에서 우크라이나 안과 미국 안이 모두 표결이 부쳐질 가능성이 있다. 유럽 국가들이 우크라이나 안에 찬성할 경우 미국과 유럽의 외교 관계는 더욱 악화할 가능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