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탄핵 심판이 마무리 단계에 접어든 가운데, 국민의힘 지지율이 중도층에서 큰 폭으로 하락하며 더불어민주당과의 지지율 격차가 벌어진 여론조사 결과가 나왔다.
윤석열 대통령이 20일 오후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 대심판정에서 열린 탄핵심판 10차 변론에 출석해 생각에 잠겨 있다. 2025.2.20/뉴스1
한국갤럽이 18~20일 전국 만 18세 이상 유권자 1002명에게 정당 지지를 물은 결과 국민의힘은 34%, 민주당은 40%의 지지를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지하는 정당이 없는 무당층은 18%였다.

국민의힘 지지율은 지난주(39%) 대비 5%포인트 하락한 반면 민주당 지지율(38%)은 2%포인트 상승하면서 오차범위 내 양당 지지율 역전이 일어났다. 앞서 같은 여론조사에서 윤 대통령에 대한 탄핵소추안이 국회를 통과한 후로 양당 지지율은 34:36(국민의힘:민주당, 1월 2주차)→39:36(1월 3주차)→38:40(1월 4주차)→39:38(2월 2주차)로 1~3%포인트 격차 내에서 엎치락뒤치락했다.

이번 조사에선 특히 자신의 정치성향을 ‘중도’라고 답한 응답층에서 양당 지지율이 크게 벌어졌다. 중도층에서 민주당 지지율은 지난주 37%에서 42%로 5%포인트 오른 반면, 국민의힘 지지율은 32%에서 22%로 10%포인트 하락하며 격차가 20%포인트까지 벌어졌다. 중도층만 떼어내서 볼 때 모수가 줄어들어 오차범위가 커지는 걸 감안해도 작지 않은 격차다.

윤 대통령 탄핵에 찬성한다는 응답른 60%, 반대는 34%였다. 지난주 조사에선 찬성(57%)과 반대(38%) 격차가 10%포인트대였다. 중도층에선 69%가 탄핵에 찬성(반대 25%)한다고 응답했다. 다음 대선 결과에 대해선 정권 유지(37%)보다 정권 교체(53%)에 대한 지지가 높았다. 9%는 의견을 유보했다.

정치권에선 “윤 대통령에 대한 탄핵 선고일이 가까워지면서 대선 분위기가 형성된 영향”이란 분석이 나온다. 한국갤럽 측은 “윤 대통령 측 주장에 반하는 검찰조서 내용과 증언이 공개됐고, 중간 수사 발표로 다시 이목을 끈 ‘명태균 사건’도 여당에 부담으로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다만 조정훈 국민의힘 전략기획특별위원장은 이날 전략기획특위 직후 기자들과 만나 “여론조사 하나하나에 일희일비할 필요 없다”고 확대해석을 경계했다. 조 위원장은 “이재명 대표처럼 좌충우돌하는 게 아니라 전통적 우파 정당 지지자들이 동의하고 인정하는 방향과 속도를 존중하며 중도확장을 적극적으로 해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가 20일 오후 국회 사랑재에서 열린 여야정 국정협의회 첫 회의에서 발언을 하고 있다. 2025.2.20 [국회사진기자단]
차기 정치 지도자에 대한 선호도는 이재명 민주당 대표가 34%로 여전히 선두였다. 김문수 고용노동부 장관이 9%로 뒤를 이었고 홍준표 대구시장(5%), 한동훈 전 국민의힘 대표와 오세훈 서울시장(각 4%) 등의 순서였다. 김 장관 지지율은 전주(12%) 대비 3%포인트 하락했다.(※여론조사 관련 자세한 사항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 홈페이지 참조)

◇與 1위 김문수, 이번주만 국회 세 번째 방문

보수 진영에서 지지율 1위를 기록 중인 김문수 고용노동부 장관은 21일 국회를 찾아 국민의힘과 국민안전점검 당정협의회를 가졌다. 19일 나경원 국민의힘 의원이 주최한 노동개혁 대토론회, 20일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출석에 이어 이날까지 이번주에만 세 번째 국회 방문이다.

김 장관은 당정 협의회 직후 기자들과 만나 윤 대통령 탄핵 인용에 대비한 ‘플랜B’를 대비해야 한다는 주장에 대해선 “대통령이 돌아오길 바라고 있다”고 말했다. 김 장관은 “대통령이 돌아오셔서 국정이 빠른 시간 내에 안정을 찾고 정상화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덧붙였다. 김 장관은 또 자신이 정치 행보를 하고 있다는 야권의 해석에 대해 “해석은 자유”라고 말했다.

중앙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5966 "50만원 없었다" 주장했지만…길에서 지갑 주운 50대 결국 랭크뉴스 2025.02.22
45965 암호화폐 2조원 '역대 최대 규모' 털렸다…그 뒤엔 또 북한? 랭크뉴스 2025.02.22
45964 오세훈 측 "명태균 주장 새빨간 거짓말…정치장사꾼" 랭크뉴스 2025.02.22
45963 '최연소' 15살에 의대 2곳 합격한 소년… "의과학자 될래요" 랭크뉴스 2025.02.22
45962 "모두가 놀랐다"...'자산 2조' 방시혁, 달라진 모습 화제 랭크뉴스 2025.02.22
45961 "농가 돕겠다더니" 이번엔 '브라질산 닭'…백종원, '원산지 논란' 휩싸였다 랭크뉴스 2025.02.22
45960 “이재명이 이재명하고 있다”…중도보수의 함의[송종호의 여쏙야쏙] 랭크뉴스 2025.02.22
45959 조영남 "난 재미 추구자…'웃게 하는 미술' 죽을 때까지 한다" 랭크뉴스 2025.02.22
45958 “빵점이 없어 1점 줍니다”…K-자부심 인천공항이 어쩌다 랭크뉴스 2025.02.22
45957 "농가 돕겠다더니" 이번엔 '브라질산 닭'…백종원, 이번엔 '원산지 논란' 랭크뉴스 2025.02.22
45956 2월 마지막 주말, 전국 춥고 건조…최저 -15도에 강한 바람 랭크뉴스 2025.02.22
45955 [속보] AP "트럼프, 찰스 브라운 합참의장 전격 해임" 랭크뉴스 2025.02.22
45954 고사리, 먹어도 문제없쥬?[음담패설 飮啖稗說] 랭크뉴스 2025.02.22
45953 '보수vs진보', 유튜브·포털에 누가 더 혐오댓글 많이 달까? 랭크뉴스 2025.02.22
45952 [김윤수의 퀀텀점프] 이제 한국도 쓴다…양자컴 제대로 알기 <1> 랭크뉴스 2025.02.22
45951 [속보] 트럼프, 찰스 브라운 합참의장 전격 해임 랭크뉴스 2025.02.22
45950 “제 직업이요? 청각 장애도 문제없죠” [강홍민의 굿잡] 랭크뉴스 2025.02.22
45949 경찰, 고양 살인 용의자 50대 여성 특정‥"제 3자 없었다" 랭크뉴스 2025.02.22
45948 48년 만에 생겼는데… 3년 만에 사라진 회계업계 최초 노동조합, 이유는 랭크뉴스 2025.02.22
45947 중도층 이탈… 국민의힘 지지율 하락 랭크뉴스 2025.02.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