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규 원전 2기·SMR 1기 짓기로
산업통상자원부 로고
원자력, 태양광, 풍력, 수소를 아우르는 무탄소 전기 사용 확대로 첨단산업 발전과 인공지능(AI) 데이터센터 건설을 뒷받침하는 내용을 담은 장기 전력 공급 청사진인 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전기본)이 확정됐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1일 전력정책심의회를 열고 2024~2038년 적용되는 11차 전기본을 확정했다고 밝혔다. 15년간 적용되는 전기본은 장기 수급 전망을 바탕으로 발전 설비를 어떻게 채울지를 담은 문서로 2년에 한 번 업데이트된다.
11차 전기본은 반도체 등 첨단산업 발전, AI 데이터센터 건설 붐, 전기차 보급 확대 등 전력 수요 확대를 감안했다. 이를 바탕으로 원자력, 태양광, 풍력, 수소 등 무탄소 에너지를 중심으로 전기 수요를 충족하는 것을 목표로 제시했다.
정부는 11차 전기본에서 전기 수요가 연평균 1.8%씩 빠른 속도로 증가해 2038년 목표 수요가 129.3GW(기가와트)에 달할 것으로 내다봤다. 현재 한여름과 한겨울을 중심으로 한국의 최대 전력 수요는 100GW 수준이다. 이보다 약 30% 늘어난 수치를 전망한 것이다.
정부는 이런 수요 변화에 대응해 발전 설비를 늘려가되 원자력발전과 재생에너지를 두 축으로 2038년 무탄소 에너지 발전 비중을 올리기로 했다. 무탄소 발전 비중은 2023년 39.1%에서 2030년 53.0%를 거쳐 2038년 70.7%까지 늘어나게 설계됐다.
이 가운데 원전과 재생에너지 비중은 오는 2030년 각각 31.8%, 18.8%를 각각 기록하고 나서 2038년에는 다시 35.2%, 29.2%로 높아진다.
무탄소 전기 전환 계획을 뒷받침하기 위해 발전 설비도 크게 확충한다.
먼저 2037~2038년 총 2.8GW(기가와트) 설비용량의 원전 2기를 2037~2038년 도입한다. 신한울 3·4호기 건설 계획이 반영된 2015년 7차 전기본 후 10년 만에 신규 원전 건설 계획이 마련됐다. 정부와 한국수력원자력은 최대한 빨리 부지 선정 등 신규 원전 선정 절차를 시작할 방침이다. 또한 2035~2036년에는 소형모듈원전(SMR)이 처음으로 0.7GW 규모로 들어서게 된다.
재생에너지의 경우 대규모 해상풍력발전 보급에 강한 드라이브를 걸고, 이격 거리 규제를 완화하는 등 수요지인 산업단지를 중심으로 태양광 발전 설비 설치도 촉진할 방침이다.
11차 전기본은 2023년 30GW이던 재생에너지 발전 설비용량을 2030년과 2038년 각각 78GW, 121.9GW로 늘린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산업부는 “11차 전기본은 AI와 반도체 등 새롭게 늘어나는 전력 수요에 안정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원전, 재생에너지, 수소 등 다양한 무탄소 전원을 조화롭게 활용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며 “무탄소 에너지 전환을 위한 에너지 정책이 정상 궤도에 오르고, 민간의 사업 계획 불확실성을 해소하는 데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