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박 전 의원 “총선은 저에게 모진 기억”
“내란 세력 기득권 저지에 힘 합쳐야”
이 대표 요청해 총선 탈락 후 첫 만남
박, 당내 통합 등 비공개 회동 요청도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와 박용진 전 의원이 21일 서울 여의도의 한 식당에서 만나 악수를 하고 있다. 국회사진기자단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21일 지난 총선 ‘비명횡사’ 공천의 상징으로 꼽힌 박용진 전 민주당 의원과 만나 12·3 비상계엄 정국 수습과 당내 통합 방안을 논의했다. 이 대표는 조기 대선을 염두에 두고 연일 비이재명(비명)계 인사들을 만나며 통합 행보에 속도를 내고 있다.

이 대표는 이날 서울 여의도의 한 식당에서 박 전 의원과 오찬을 겸해 회동하고 12·3 비상계엄 사태 이후 정국 수습 방안 등을 논의했다. 이들의 만남은 이 대표가 박 전 의원에게 직접 연락해 이뤄졌다. 박 전 의원이 22대 총선 공천에서 탈락한 뒤 대표와 갖는 첫 공식 회동이다.

박 전 의원은 회동 공개 발언에서 “총선 과정에서의 일들이 저한테는 모진 기억”이라고 입을 뗐다. 그는 이어 “웃는 얼굴로 마주할 수 있게 돼 다행이라 생각한다”며 “국민들 걱정과 불안을 떨쳐내고, 내란 추종 세력의 기득권을 저지하는 데 힘을 합쳐야 한다”고 말했다. 이 대표는 “당 일을 하다 보니 내 손 때문에 힘들어하는 사람이 많아 저도 힘들다”라며 “박 의원도 가슴 아플 것을 안다”고 말했다.

이 대표는 “정치라고 하는 게 개인사업이 아니고 국민과 국가를 위해 하는 공적인 역할이고, 지금 우리에게 주어진 역할이 위기상황을 잘 극복하는 게 아닐까 싶다”라며 “그 속에 박 의원의 역할이 있을 것이고 그 역할을 하셔야 한다. 앞으로 더 큰 역할을 같이 만들어가면 좋겠다”고 말했다. 박 전 의원은 “대의명분 앞에 사사로운 개인 감정이 자리해선 안 된다고 본다”고 답했다.

박 전 의원은 공개 발언에서 ‘정치인의 용기’ 3가지로 “자기 권한을 절제하는 것” “지지층이 바라는 일이지만 공동체에 도움되지 않으면 ‘노’라고 이야기할 수 있는 것” “대의를 위해 손 내밀 줄 아는 용기”를 꼽았다. 그는 마지막 대목에서 “상대 당에도 마찬가지고 경쟁자에게도 마찬가지”라고 부연했다. 당내 비주류와 접촉면을 넓혀 통합을 도모하라는 제언으로 풀이된다.

이에 이 대표는 극우의 세력화, 정치 세력과의 결합이 현실화한 “심각한 위기상황”이라며 “위기를 이겨내는 게 우리가 해야 하는 가장 중요한 일이고, 박 의원이 해야 할 일이 많다”고 재차 강조했다. 박 전 의원은 “당이 힘을 합치고 통합해 나가야, 그 다음에 국민 통합으로 나아갈 수 있다”고 답했다.

이후 진행된 비공개 회동에서 박 전 의원은 이 대표에게 문재인 정부 공·과의 승계, 당내 통합, 당 세대 교체 등 크게 3가지를 주문했다고 김성회 민주당 대변인은 밝혔다. 김 대변인에 따르면 박 전 의원은 “문재인 정부의 자산과 부채를 승계해 (차기 정부를) 민주당의 ‘민주 정부’라고 부를 수 있게 되면 좋겠다” “민주당이 비판받고 있는 내로남불, 위선 문제에 대해 혁신하는 이미지를 보여주고, 그 과정에서 세대 교체를 강하게 밀고 갔으면 좋겠다”고 말했고, 이 대표는 전반적으로 동의했다.

박 전 의원은 오찬이 끝나고 기자들과 만나 이 대표의 ‘중도보수 정당’ 선언에 대해 “이 대표가 탄핵·조기대선 국면에서 정치적 포지셔닝을 이야기한 것으로 본다”라며 “국민 삶을 안정시키는 노력을 해야 할 때, 예송논쟁으로 날을 지새우는 정치세력으로 비쳐서는 안 된다”고 선을 그었다. 박 전 의원은 “진보는 박용진이 가장 진보이고 양보할 수 없지만, 지금은 논쟁해서는 안 된다”고 말했다.

박 전 의원은 당내 세대 교체를 주문한 데 배경을 두고는 “국민들, 특히 20대, 30대가 보기에는 민주당이 입과 행동이 다르고, 정치·도덕적 내로남불 사례가 너무 많아 낡은 정치라고 말한다”며 “세대 교체, 586 적폐 청산이 필요하다는 게 (나의) 소신이고 그 말을 했다”라고 전했다. 박 전 의원은 “사람을 등용하는 정책이 많이 달라져야 한다”고 덧붙였다.

경향신문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5895 여기 가면 인생 사진 건진다, 제주 웨딩스냅 명소는? new 랭크뉴스 2025.02.22
45894 입학을 금전으로 경매하다니…신명 여학교 개교식 날의 우려 [김성칠의 해방일기(8)] new 랭크뉴스 2025.02.22
45893 재건축 사업도 '부정 선거' 홍역…방배15구역 실태조사 받는다 new 랭크뉴스 2025.02.22
45892 수익률 年 66%…美 대표 퀀트 펀드가 선택한 韓 금융주는 new 랭크뉴스 2025.02.22
45891 뱃살만 빼주는 운동은 없다[수피의 헬스 가이드] new 랭크뉴스 2025.02.22
45890 참다참다 '귀마개 공구'…'소음 공격' 몸살앓는 헌재 직원들 new 랭크뉴스 2025.02.22
45889 얕보다 일난다…노년기의 적, 폐렴 new 랭크뉴스 2025.02.22
45888 "약값만 억대, 집 팔았다"…환자 울린 '사망률 세계 1위' 암은 new 랭크뉴스 2025.02.22
45887 [샷!] '의정생활' 7년 마무리한 안내견 조이 new 랭크뉴스 2025.02.22
45886 [뉴욕유가] 美, 이라크 원유 수출확대 압박에 급락…WTI 2.9%↓ new 랭크뉴스 2025.02.22
45885 부모 장례식 안 갔던 성철, 제자가 부모상 당하자 한 말 new 랭크뉴스 2025.02.22
45884 "20대 남심 잡아라"…'개구리 버스' 뭐길래 앞다퉈 운행? new 랭크뉴스 2025.02.22
45883 동맹엔 '방위비·광물 압박', 푸틴과는 더 '밀착'... 트럼프 목적은 결국 '돈' 랭크뉴스 2025.02.22
45882 尹 탄핵심판에 선 16명의 증인들, 그들이 가리킨 '4대 쟁점'의 진실은? 랭크뉴스 2025.02.22
45881 "우리가 극우? 그건 아니죠"…대학생 그들이 태극기 든 까닭 랭크뉴스 2025.02.22
45880 암 진단 거부한 의사, 몰래 수술해준 의사···환자·가족은 '운'에 울고 웃었다 랭크뉴스 2025.02.22
45879 트럼프 "젤렌스키 협상 참여 중요치 않아"…'우크라 배제' 시사 랭크뉴스 2025.02.22
45878 "머스크의 정부효율부, 자율주행 감독 공무원 무더기 해고" 랭크뉴스 2025.02.22
45877 北, 챗GPT로 허위 이력서·프로필 작성 발각…계정 삭제돼 랭크뉴스 2025.02.22
45876 "남성 아니면 여성만" 트럼프 외침에도…미국인 10% "나는 성소수자" 랭크뉴스 2025.02.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