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수 선미 이름 딴 NFT, 판매 땐 가수·발행사 적극 홍보로 완판
시장 급랭하자 관련 활동·혜택 중단…법적 규제 전혀 없어 논란
시장 급랭하자 관련 활동·혜택 중단…법적 규제 전혀 없어 논란
2022년 2월 발행된 가수 선미의 NFT. 거래소 오픈씨 갈무리
걸그룹 ‘원더걸스’ 출신 솔로 가수 ‘선미’가 코스닥 상장사와 발행한 대체불가토큰(NFT)이 논란에 휩싸였다. 발행 초기엔 선미와 사측이 적극적으로 홍보해 완판되면서 수십억원을 조달했지만, 시장이 급랭하자 주요 혜택 제공이 중단되고 선미 역시 관련 활동을 멈추면서다.
2022년 2월 선미와 소속사, 상장사는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해 이미지 등의 소유권을 확인하는 디지털 증명서인 NFT ‘선미야클럽’을 발행했다. 선미의 가수 활동을 모티브로 한 디지털 일러스트가 NFT로 제작됐고, NFT 보유자를 대상으로 독점 서비스를 제공해 상품의 투자가치를 높일 수 있도록 설계됐다. 특별 팬미팅과 파티 초대는 물론, 전용 음원을 발매해 수익 일부를 보유자에게 환원하거나 다양한 브랜드와 협업해 혜택을 줬다.
자사 계열사가 발행한 가상자산과 연계해 NFT를 보유하기만 해도 가상자산이 채굴(제공)되고, 이를 상품화해 활용하는 방안도 추진했다. 쉽게 말해 NFT와 연계된 선미의 오프라인 활동이 늘어나면 투자자의 혜택도 덩달아 늘어나 NFT와 가상자산의 가치가 높아지는 구조다.
당시 선미와 발행사 측은 적극적으로 홍보에 나섰고 투자자 대상 발행물량(9300개)이 완판되면서 당시 시세로 수십억원 자금을 모았다. 이후 G마켓, 롯데홈쇼핑 등과 제휴하고 가상자산 채굴도 지원하면서 가격은 해외거래소 등에서 급등세를 보였다.
문제는 2022년 하반기 테라·루나 사태와 미국 가상자산거래소 FTX 파산 여파로 가상자산과 NFT 시장이 추락하면서 불거졌다. 선미 NFT를 거래할 때 사용되는 가상자산의 가격이 급락했다. 개당 수십만~수백만원에 달하던 NFT 자체도 가치가 폭락해 최근 수만원대가 됐다.
시장이 얼어붙자 2023년부터 선미의 NFT 관련 활동은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다. 로드맵에 기재된 ‘톱 아티스트와의 음원 발매’ 등 주요 혜택도 같은 기간 사실상 중단됐다.
투자자들은 불만을 토로하고 있다. 5000만원 이상 투자했다는 A씨는 “발행사 측이 믿어달라고 해 기다렸지만 제대로 사업이 이뤄지지 않았다”며 “아무도 책임을 지지 않는다는 것은 말이 되지 않는다”고 했다. 이에 발행사 측은 “프로젝트 시작 당시 발표한 로드맵은 모두 이행한 상태이고 운영을 지속해왔다”고 밝혔다. 이어 “NFT 조달 자금은 운영자금과 지난해 론칭한 신규 플랫폼 개발과 투자에 활용됐다”고 해명했다.
해당 가상자산도 국내에선 상장되지 못했고, 가상자산 지급도 멈췄다. 가상자산 제공이 금융당국의 가이드라인 저촉 소지가 있다는 이유에서다.
문제는 현재 가상자산법엔 가상자산과 NFT 관련 발행 규제가 전혀 없다는 점이다. 앞서 2023년 금융감독원은 유명 연예인을 내세운 NFT 발행 주의보를 낸 적 있다. 폰지 사기(다단계 돌려막기)일 가능성이 크다는 이유였다.
업계에서도 경고음이 나온다. 디지털 자산이 제대로 관리되도록 발행 규제가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한 블록체인 업계 관계자는 “NFT 발행만 하고 관리를 하지 않는다”며 “발행 관련 규제도 없고 재발 방지책이 없다는 게 더 큰 문제”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