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어폰 사용 줄이고, ‘주변음 허용’ 모드 권고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사진. 게티이미지뱅크
주변 소음을 효과적으로 차단해 많은 이들이 즐겨찾는 ‘노이즈 캔슬링’ 이어폰 등이 청각과 뇌 손상을 유발할 수 있다는 주장이 나왔다.
17일(현지시각) 영국 BBC는 ‘청각정보처리장애(APD)’ 진단을 받은 25세 여성 소피의 사례를 소개했다. APD는 귀에서 소리를 정상적으로 감지하더라도 뇌가 소리 정보를 올바르게 해석하지 못하는 상태를 말한다.
소피는 몇 년 전 대학 진학을 위해 런던에 온 뒤 청력에 이상이 있음을 깨달았다. 그는 “주변에서 나는 소음을 들을 수는 있었지만 어디에서 나는지 알 수 없었다”며 “사람의 목소리라는 것을 인지했음에도 그 목소리를 빠르게 해석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고 말했다.
대학 강의를 듣는 데에도 많은 어려움을 겪었다고 했다. 소피는 “강의를 들으려고 노력해도 모든 말이 횡설수설하게 들렸다”며 “다른 사람에게 ‘사람 말을 잘 안 듣는다’ ‘멍해 보인다’는 이야기를 자주 들었다”고 밝혔다.
소피는 청력 검사에서는 별다른 문제를 발견하지 못했지만, 이후 정밀 검사에서 APD 진단을 받았다. 전문가들은 소피가 하루에 5시간 이상 노이즈 캔슬링 기능이 있는 무선 이어폰을 사용한 것이 뇌에 영향을 미쳤다고 주장했다.
클레어 벤튼 영국 청각학회 부회장은 “노이즈 캔슬링 기능은 듣고 싶은 것만 듣게 해 뇌가 소음을 걸러내려는 노력이 필요 없어지는 거짓된 환경을 만든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어 “뇌가 가진 복잡하고 높은 수준의 듣기 능력은 10대 후반에서야 발달이 완료되는데, 이때 노이즈 캔슬링 이어폰이나 헤드폰을 사용해 거짓된 환경이 조성된다면 말과 소음을 처리하는 능력의 발달이 늦어질 수 있다”고 덧붙였다.
전문가들은 이러한 부작용을 막기 위해서는 이어폰 사용 시간을 줄이거나 외부 소음을 들을 수 있는 ‘주변음 허용’ 모드를 사용하라고 권고했다. 아울러 귀를 완전히 막지 않는 종류의 이어폰도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