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윤석열 대통령 체포를 방해한 혐의를 받는 김성훈 대통령경호처 차장과 이광우 경호본부장에 대한 경찰의 구속 시도가 또 한 번 좌초됐습니다.

서울 서부지검이 어제(18일) 경찰의 구속영장 신청을 기각한 건데, 경찰은 여러 선택지를 놓고 고심을 거듭하는 분위기입니다. 거듭된 영장 불발에 당혹감도 읽힙니다. 경호처 수사 이제 어떻게 되는 걸까요?

검찰 , 구속영장 반려 또 반려

검찰은 이번 기각을 포함해 김성훈 차장에 대한 구속영장을 세 번, 이광우 본부장에 대한 구속영장을 두 번 반려했습니다.

검찰 관계자는 "경찰이 구속영장 신청서에 기재한 범죄 사실과 관련해 다툼의 여지가 있다"고 말했습니다.

일단 범죄 사실에 다툼의 여지가 있기 때문에, "해당 혐의 인정을 전제로 하는 증거 인멸 우려는 단정하기 어렵다고 판단했다"는 게 이 관계자의 설명입니다.

이에 더해, 경찰이 지금까지 확보한 채증 영상과 관련자 진술, 피의자들의 휴대전화 등 증거를 종합해 보면 증거 인멸 우려가 크지 않다고 판단한 거로 전해집니다.

피의자들이 경찰에 자진 출석했고, 경호 업무 특성상 도주 우려가 크지 않다는 판단도 반영됐습니다.

고심하는 경찰…공수처로 사건 넘기나

검찰의 잇따른 영장 기각. 경찰 내부에서는 검찰이 이 정도로 영장을 받아주지 않는 데에는 다른 의도가 있는 거 아니냐는 불만이 터져 나올 정도입니다.

보완 수사 요구에 따라 충분히 수사를 했는데도 영장을 청구하지 않는다는 건 이해가 되지 않는다는 겁니다.

경찰은 여전히 김성훈 차장, 이광우 본부장에 대한 구속 수사가 필요하다고 보고 있습니다.

경찰 관계자는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에 사건을 넘기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검찰이 좀처럼 구속 영장을 청구하지 않으니, 공수처로 사건을 이첩해 두 사람에 대한 구속을 시도해 볼 수 있다는 의도로 해석됩니다.

경찰이 경호처 사건의 공수처 이첩을 검토한다는 이야기는 검찰이 영장을 기각하기 전에 흘러나오기 시작했습니다. 검찰에 대한 일종의 '압박 카드'로 꺼내든 측면도 있는 건데, 결과적으로는 먹히지 않았던 겁니다.

난색 표한 공수처 "이거 말고도 할 게 많은데…"

공수처는 난감함을 숨기지 않았습니다.

공수처 관계자에게 '사건 이첩에 대해 경찰과 논의 중인지' 묻자, "전혀 아니다"라고 답했습니다. 아직 경찰로부터 협의 요청이 없었다는 겁니다. 이 관계자는 "이첩 여부를 말하기엔 너무 이른 단계"라며, "경찰 내부에서 먼저 정리가 된 다음에 이첩하자고 결정이 되면 그다음에 저희랑 협의할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이 관계자는 "규정상 일방적으로 넘길 수는 없다"며, "협의를 해도 우리가 사정상 안 된다고 하면 안 된다"라고 밝혔습니다. 그러면서 "(공수처에서) 수사가 가능한 건지, 수사 대상이 될 수 있는지 법리 검토를 해 봐야 한다"는 설명도 덧붙였습니다.

규정도 규정이지만, 지금 공수처가 경호처 수사까지 맡을 여력이 없다고도 했습니다. '사건 이첩에 부정적인 입장이냐'는 질문에 공수처 관계자는 "이거(경호처 수사) 말고도 지금 할 게 많다", "검사가 10명 정도밖에 안 된다"고 답했습니다.

한편, 김 차장과 이 본부장 측은 "경찰이 공수처를 이용해 경호차장과 경호본부장을 구속하려는 건 수사기관의 불법적 공권력 남용"이라며, "이첩을 강행하면 직권남용 혐의로 경찰과 공수처를 고발하겠다"는 입장입니다.

경호처 수사, 돌파구는 어디에

김성훈 차장과 이광우 본부장은 윤 대통령에 대한 1차 체포영장 집행을 저지한 혐의뿐 아니라, 2차 체포영장 집행을 앞두고 총기 사용을 검토했다는 의혹도 받고 있습니다.

경찰은 윤석열 대통령이 총기 사용을 검토해 보라는 취지의 지시를 했고 이에 김 차장이 알겠다고 답했다는 경호처 관계자 진술, 이 본부장이 총기 재배치를 지시한 정황 등을 확인해 조사 중입니다.

김 차장과 이 본부장은 영장 집행을 막으라는 지시에 따르지 않은 직원에게 불이익을 주거나, 증거를 인멸하려 했다는 의혹도 제기된 상태입니다.

경찰은 윤 대통령도 경호처 간부들의 '공범'으로 간주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경호처 지휘부에 대한 구속도 어렵고, 경호처 사무실 압수수색도 사실상 실패한 상황에서 수사가 진척되기는 쉽지 않아 보입니다.

경찰은 앞서 언급된 '공수처 이첩'과 고등검찰청에 설치된 영장심의위원회 소집을 요청하는 방안 등 여러 방향을 놓고 내부 검토를 거쳐 결론을 내리겠다고 밝혔지만, 어떤 선택이든 험로가 예상됩니다.

■ 제보하기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email protected]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네이버, 유튜브에서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KB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5273 이재명 “국내서 자동차 만들면 법인세 공제”…이번엔 ‘친기업’ 우클릭 랭크뉴스 2025.02.20
45272 급기야 케이블타이 꺼냈다…軍 놓고 서로 "회유했지?" 여야 난타전 랭크뉴스 2025.02.20
45271 문형배 집 앞 시위대 고발당해... "극우 '헌재 흔들기' 노골적" 랭크뉴스 2025.02.20
45270 [속보] 尹 "계엄 때 동향 파악 위한 위치 확인, 잘못됐다 생각" 랭크뉴스 2025.02.20
45269 [단독]김현태 “곽종근 자수서에 ‘국회의원’ 없었다” 증언은 거짓말···‘의원 이탈’ 윤 지시 명시 랭크뉴스 2025.02.20
45268 "하필 총선 앞두고?"…전국민에 최대 현금 86만원씩 뿌린다는 '이 나라' 랭크뉴스 2025.02.20
45267 문형배 헌재소장 대행 겨냥한 시위대·황교안, 경찰 고발 랭크뉴스 2025.02.20
45266 대구 수성못에 9억원짜리 공중화장실 등장…스페인 건축가 작품 랭크뉴스 2025.02.20
45265 [속보] 尹 "홍장원, 뭘 잘 모르는 사람 부탁을 체포 지시로 엮어" 랭크뉴스 2025.02.20
45264 집 있어도 은행 돈 빌릴 수 있다… 다주택자 수도권 주담대 재개 랭크뉴스 2025.02.20
45263 [속보] 국정협의회 '추경·반도체특별법·연금' 합의 불발…추후 논의 예정 랭크뉴스 2025.02.20
45262 계엄요건·절차 적법성 관건…종점 다다른 尹탄핵 4대 쟁점은 랭크뉴스 2025.02.20
45261 ‘수십억 완판’ 가수 선미 NFT, 발행 땐 적극 홍보하더니 가격 급락엔 ‘방치’ 랭크뉴스 2025.02.20
45260 박수홍 부부, 재건축 조합원 됐다…압구정 신현대 70억원에 매수[스타의 부동산] 랭크뉴스 2025.02.20
45259 [단독] “개혁신당, 김상민 공천받으면 김건희 개입 폭로하려 했다” 랭크뉴스 2025.02.20
45258 "기억 안난다" 구체적 증언 피한 한덕수…尹은 직전 퇴정(종합) 랭크뉴스 2025.02.20
45257 출장중 여직원과 호텔방에…불륜스캔들 日시장 "내 월급 깎겠다" 랭크뉴스 2025.02.20
45256 [속보] 국정협의회 '추경·반도체특별법·연금' 합의 불발…4자회담 빈손 랭크뉴스 2025.02.20
45255 박수홍 부부, 압구정 신현대아파트 70억에 매입 랭크뉴스 2025.02.20
45254 독감으로 응급실 갔더니…에이즈·매독 59개 항목 검사한 병원 랭크뉴스 2025.02.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