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여 “‘52시간’ 빼면 앙꼬 빠진 찐빵”
야 “관련 산업 지원 몸통부터 처리”
최상목 “각종 우려 소통으로 해소”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가 18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국무회의에서 반도체 특별법의 조속한 처리를 국회에 요청하고 있다. 김지훈 기자

반도체 특별법이 ‘주52시간 근로제 예외’ 적용 문제에 막혀 제자리걸음을 하고 있다. 정부·여당은 주52시간 예외조항이 빠진 반도체 특별법은 “앙꼬 빠진 찐빵”이라는 입장이지만 더불어민주당은 “52시간 문제는 꼬리에 불과하다”며 관련 산업 지원이라는 ‘몸통’부터 먼저 처리하자고 맞서고 있다. 보다 근본적으로 반도체산업의 위기에 대한 진단, 노동시간 이슈에 대한 여야 인식 차 등이 얽혀 있다 보니 국회 상임위원회 문턱을 넘는 데도 애를 먹는 상황이다.

권성동 국민의힘 원내대표는 18일 원내대책회의에서 “반도체 연구개발은 업무 성격상 엔니지어의 근로시간 유연성이 필수적”이라며 “경쟁국가는 밤낮으로 뛰고 있는데 대한민국 반도체산업만 주52시간제에 묶여 있다”고 지적했다. 주52시간제 규제가 반도체산업의 경쟁력을 떨어뜨리는 주범이라는 인식이 담겨 있다.

원내지도부 핵심 관계자는 통화에서 “반도체 업체들은 ‘다른 지원책보다 주52시간제부터 제발 풀어 달라’고 요청하고 있다”며 “주52시간 예외조항은 재정 지원, 인프라 지원과 함께 특별법을 이루는 3대 축”이라고 강조했다. 게다가 적용 대상을 반도체산업 중 연구개발 분야로 한정했고, 노사 합의라는 조건까지 달아둔 만큼 주52시간제 자체가 무력화될 수 있다는 노동계 우려는 과도하다는 입장이다.

민주당의 인식은 다르다. 김태년 의원은 페이스북에 “오늘날 반도체산업이 직면한 위기는 주52시간제 때문이 아니다”며 “그런 구시대적 접근으로는 글로벌 기술 경쟁에서 결코 승리할 수 없다”는 글을 올렸다. 민주당 내에서는 주52시간 예외조항이 노동 조건의 후퇴를 불러올 수 있다는 우려가 크다. 당초 직접 토론회를 주관하며 주52시간 예외조항 도입 가능성을 시사했던 이재명 대표가 며칠 만에 후퇴한 것도 이런 당내 우려 목소리를 수용한 것으로 해석된다.

민주당은 이견이 있는 근로시간 이슈보다는 인프라 지원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야당 간사인 김원이 의원은 통화에서 “민주당은 반도체법의 몸통이라 할 수 있는 전력망, 용수, 도로, 인력 양성 지원 문제를 먼저 처리하고 이견이 있는 부분은 계속 논의하자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런 간극 탓에 특별법 제정은 공전 중이다. 전날 산자위는 법안심사소위를 열고 특별법을 논의했지만 합의점을 찾지 못했다. 여야는 이후 서로 네탓 공방을 벌이고 있다. 권 원내대표는 “민주당이 국내 반도체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절실한 요청을 묵살해버렸다”고 말했다. 이 대표는 페이스북에 “주52시간 예외조항 없이 어떤 것도 할 수 없다는 여당의 무책임한 몽니로 (특별법 제정이) 발목이 잡혔다”고 적었다.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는 국무회의에서 “정치의 목적은 민생이고, 방법은 소통”이라며 “주52시간 특례가 포함되면 장시간 노동을 조장할 수 있다는 우려는 진정성을 갖고 소통하면 충분히 해소될 수 있다”고 말했다.

국민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4314 [단독] 탄핵 남발한 국회, 작년 헌법소송비용 ‘4억’… 전년比 41%↑ 랭크뉴스 2025.02.18
44313 “세월호 유가족 징하다” 막말한 차명진, 2심도 징역형 집행유예 랭크뉴스 2025.02.18
» »»»»» ‘주 52시간 예외’ 평행선 달리는 여야… 반도체 특별법 공전 랭크뉴스 2025.02.18
44311 '서부지법 폭동' 63명, 다음 달부터 첫 재판‥황교안 등 변호 랭크뉴스 2025.02.18
44310 ‘극우 카톡방’ 5곳 잠입 취재해보니…“명찰 없는 경찰, 중국인” “탄핵 죽음으로 막자” 선동 만연 랭크뉴스 2025.02.18
44309 정보사, 계엄 전날 경찰 신원조회권 확보…신속체포 준비했나 랭크뉴스 2025.02.18
44308 대학 붙었는데 나도 모르게 입학취소…"내가 그랬어" 황당 문자 랭크뉴스 2025.02.18
44307 자대 배치 한달 만에 숨진 일병… 선임병이 욕설·암기강요 랭크뉴스 2025.02.18
44306 “테슬라 잘 가~!” 테슬라 중고 매물 급증한 이유는 [현장영상] 랭크뉴스 2025.02.18
44305 ’무소불위’ 머스크... 민감한 납세 자료에 정부 금 보유고까지 조사 시도 랭크뉴스 2025.02.18
44304 [단독] 이진우, ‘尹 통화’ 시기 국방부 국회협력단장에 ‘길 안내’ 7차례 요청 랭크뉴스 2025.02.18
44303 또 죽음으로 내몬 ‘악플’…판 깔아 준 ‘황색 언론·유튜브’ 랭크뉴스 2025.02.18
44302 ‘집값 18억’은 중산층인가 아닌가…기재위 ‘상속세’ 공방 랭크뉴스 2025.02.18
44301 “트럼프, 우크라에 720조원 청구…영원히 경제 식민지화” 랭크뉴스 2025.02.18
44300 '3년 전쟁' 끝나나...미·러, 우크라전 종전협상 시작 랭크뉴스 2025.02.18
44299 혁신당 "검찰, 김성훈 구속영장 또 반려‥윤석열 '반려검'인가" 랭크뉴스 2025.02.18
44298 지금 ‘극우 카톡방’선…“명찰 없는 경찰, 중국인” 가짜 뉴스에 “탄핵 죽음으로 막는다” 선동 만연 랭크뉴스 2025.02.18
44297 윤석열 헌재 왔다 ‘돌연’ 구치소 복귀…대리인단은 ‘증거 채택’ 불만 퇴정 랭크뉴스 2025.02.18
44296 대학 붙었는데 ‘입학 취소’ 문자가…재수생의 황당 사연은 랭크뉴스 2025.02.18
44295 '尹 코드인사' 논란 박현수 서울청장직대 "계엄, TV로 알았다" 랭크뉴스 2025.0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