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일본 도쿄 지요다구 미쓰비시상사 앞에서 지난해 10월11일 열린 제540회 금요행동에서 참가자가 ‘강제동원 문제 해결을, 일본기업은 배상을’이라고 적힌 팻말을 들고 서 있다. 연합뉴스


일제강점기 강제동원 피해자 유족이 가해 기업의 국내 자산에 대한 추심금을 청구한 소송에서 승소했다. 대법원이 배상금을 지급하라는 판결을 내놓은 지 7년이 지나도록 기업이 책임을 회피하고, 정부가 ‘제3자 변제안’을 마련하자 이를 거부한 뒤 제기한 소송이다. 이번 판결이 확정되면 피해자 측이 직접 제기한 소송을 통해 강제동원 가해 기업이 배상금을 지급하는 첫 사례가 된다.

서울중앙지법 민사951단독 이문세 판사는 고 정창희씨 유족이 미쓰비시중공업의 국내 손자기업인 ‘엠에이치파워시스템즈코리아(엠에이치파워)’의 자산을 추심하게 해달라고 청구한 소송에서 18일 원고 승소 판결을 내렸다.

재판부는 “피고는 원고 오모씨(정씨 배우자)에게 1930여만원을, 나머지 원고들(정씨 자녀들)에게 각각 1280여만원을 지급하라”며 “가집행할 수 있다”고 했다. 가집행이 선고되면 추후 피고 측이 항소 등 불복 절차를 밟아 판결이 확정되지 않더라도 배상금을 임시로 강제집행할 수 있다.

정씨는 1944년 21세에 일본 히로시마에 있는 미쓰비시중공업 조선소로 끌려가 강제로 노역에 동원됐다. 한국에 돌아온 정씨는 2000년 다른 피해자들과 함께 미쓰비시중공업을 상대로 손해배상 소송을 제기했다. 1·2심에선 패소했으나 2012년 대법원이 “강제동원 피해자들의 손해배상 청구권은 소멸하지 않았다”며 사건을 다시 판단하라고 돌려보냈고, 소송은 파기환송심을 거쳐 2018년 대법원에서 최종 승소로 마무리됐다.

미쓰비시중공업은 무대응으로 일관했다. 윤석열 정부는 일본 기업 대신 국내 재단이 조성한 기부금으로 배상금을 전달하는 ‘제3자 변제안’을 내놓았다. 피해자들은 “일본 기업의 직접 사과가 담긴 배상금을 받겠다”며 반대하다가 배상이 계속 지연되자 점차 제3자 변제안을 받아들였다. 이번 소송 원고로 함께 참여했던 양금덕씨는 지난해 10월 변제안을 수용해 소송을 취하했다. 2018년 미쓰비시중공업을 상대로 승소한 피해자 15명 중 제3자 변제안을 거부하고 있는 피해자는 정씨와 고 박해옥씨의 유족 뿐이다.

정씨의 유족은 미쓰비시중공업의 국내 자산을 배상금 성격으로 받고자 이번 소송을 제기했다. 미쓰비시중공업 몫의 엠에이치파워 채권을 유족 측에 전달해 강제동원에 따른 피해를 보상해야 한다는 취지다. 10차례 변론이 열리는 동안 유족 측은 두 회사 간 채권액을 특정하고 그 실체를 증명하는 데 주력했다. 임재성 변호사는 “미쓰비시중공업이 받을 돈을 유족 측이 대신 받는 것이기 때문에 근시간 안에 직접 수령할 수 있고, 금전 채권이기 때문에 별도 경매 절차 없이 바로 지급받을 수 있다”고 말했다.

이번 판결이 확정되면 강제동원 피해자 측이 추심 소송을 통해 배상금을 받는 첫 사례가 된다. 앞서 지난해 2월 하타치조선의 공탁금 6000만원이 피해자들에게 전달된 적은 있다. 공탁금은 기업이 강제집행을 막기 위해 담보 성격으로 낸 것이다. 임 변호사는 “마지막까지 (제3자 변제안을) 거부한 피해자들이 여러 법률적 조치와 노력을 통해 일본 기업으로부터 얼마의 배상금이라도 받아낼 것인지에 대한 갈림길에서 법원이 미쓰비시중공업으로부터 배상받을 수 있는 길을 열어줘서 감사하다”고 말했다.

‘제3자 변제 거부’ 강제동원 피해자들, 미쓰비시 국내자산 추심소송 제기일제 강제동원(징용) 피해자들이 일본 기업인 미쓰비시중공업의 국내 자산에 대해 추심금을 청구하는 소송을 제기했다. 정부가 국내 재단을 통한 ‘제3자 변제’로 배상 문제를 해결하자는 방안을 내놓자 추가 소송으로 대응하며 쐐기를 박은 것이다. 강제동원 피해자 대리인단은 2018년 대법원에서 손해배상 승소 판결을 받은 원고 일부가 미쓰비시중공업의 국내 자산...https://www.khan.co.kr/article/202303161610001

경향신문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4733 한덕수 “대통령 다른 선택하도록 설득 못해… 어려운 상황 겪는 국민께 송구” 랭크뉴스 2025.02.19
44732 정부 "北포로 한국행 요청시 수용이 원칙…우크라에 입장 전달" 랭크뉴스 2025.02.19
44731 ‘사망 6명, 광주 아이파크 붕괴’ 행정처분 향방은… “엄정 처분” vs “선처” 랭크뉴스 2025.02.19
44730 코스피 훈풍에 원화도 미소…1430원대 유지는 위안화가 관건 [김혜란의 FX] 랭크뉴스 2025.02.19
44729 [속보] 정부 "북한군 포로 한국행 희망 시 '전원 수용'…우크라에도 입장 전달" 랭크뉴스 2025.02.19
44728 尹 측 “대통령, 조기 하야는 전혀 고려하지 않아” 랭크뉴스 2025.02.19
44727 尹측 "대통령, 헌재 결과 당연히 승복…공정한 결정 촉구" 랭크뉴스 2025.02.19
44726 [속보] 윤석열 20일 첫 내란혐의 형사재판 출석…‘구속 취소’ 주장할 듯 랭크뉴스 2025.02.19
44725 [2보] '400억대 임금·퇴직금 체불' 박영우 대유위니아 회장 징역 4년 랭크뉴스 2025.02.19
44724 [단독] 김건희가 블랙핑크 막았다? 백악관 공연 무산 진실 랭크뉴스 2025.02.19
44723 유승민 "朴회고록 다 봤다…'이건 내가 과했다'며 오해 풀고 싶다" 랭크뉴스 2025.02.19
44722 [속보] 헌재, 한덕수 탄핵심판 첫 기일에 변론 종결…선고일 미정 랭크뉴스 2025.02.19
44721 "삼성 D램 기술 중국에 유출"…삼성전자 전 부장 1심서 징역 7년 랭크뉴스 2025.02.19
44720 한덕수 총리 탄핵심판 종결…한 총리 “대통령 설득 못해 송구” 랭크뉴스 2025.02.19
44719 ‘붕괴 사고’ 광주 화정아이파크 입주예정 800세대 “현산에 선처를” 서울시에 탄원, 왜? 랭크뉴스 2025.02.19
44718 尹측 “대리인단 집단 사퇴 고려…조기 하야는 없다” 랭크뉴스 2025.02.19
44717 한덕수 "尹 다른 선택 설득 못해…계엄은 무관"…탄핵기각 요청 랭크뉴스 2025.02.19
44716 [2보] '北어민 강제북송' 정의용·서훈·노영민 징역형 선고유예 랭크뉴스 2025.02.19
44715 [속보] '탈북어민 강제북송' 文정부 대북안보라인 4명 전원 선고 유예 랭크뉴스 2025.02.19
44714 한덕수 "尹 대통령 다른 선택 설득하지 못했다…군 동원 관여한 바 없어" 랭크뉴스 2025.02.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