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유사시 수도권을 노리는 북한 장사정포를 겨냥할 전술지대지유도무기(KTSSM-Ⅰ·Korean Tactical Surface to Surface Missile-I)가 실전 임무를 부여 받았다. 연평도 포격전을 계기로 개발에 착수한 지 15년 만이다.
군이 18일 유사시 수도권을 위협하는 북한의 장거리화력을 단시간 내 동시·정밀타격할 수 있는 전술지대지유도무기(KTSSM)를 작전배치했다고 밝혔다. 사진은 품질인증사격시험중인 KTSSM. 합동참모본부

합동참모본부는 18일 적 장거리 화력을 파괴할 수 있는 최첨단 정밀 유도무기 KTSSM-Ⅰ을 일선 부대에 작전 배치했다고 밝혔다. 군 당국은 해당 무기 체계에 ‘우레’라는 명칭을 붙였다. 천둥처럼 단기간에 목표물을 초토화시키겠다는 의미다.

군 당국은 KTSSM을 통해 북한 장사정포가 발사 징후를 보이면 즉각 파괴에 나설 계획이다. 선제 대응 개념인 이른바 킬 체인(Kill Chain) 전력의 일환이다. 침투관통형 열압력탄을 지닌 KTSSM은 땅을 관통한 뒤 그 안에서 폭발한다. 1~2m에 불과한 오차 범위로 북한 갱도 진지를 정밀타격해 초토화할 수 있다는 게 군 당국의 설명이다.

북한은 최전방 서부 전선에만 서울 등 수도권을 겨냥해 700여 문의 170㎜ 자주포와 240㎜ 방사포(다연장포) 등 장사정포 체계를 배치했다고 한다. 사거리 50~60㎞로 추정되는 장사정포는 북한이 ‘서울 불바다’ 위협을 들먹일 때 주력으로 삼는 무기체계다.

실제 KTSSM은 2010년 11월 연평도 포격전으로 북한 장사정포의 위협이 현실화하며 개발이 시작됐다. 합참은 2012년 8월 KTSSM에 대한 소요결정을 내렸고, 이후 국방과학연구소(ADD)가 2014년 10월부터 2019년까지 체계 개발을 수행했다.

군 당국은 KTSSM-Ⅰ 전력화를 2028년까지 완료하고, KTSSM-Ⅱ 개발도 추진하고 있다. KTSSM-II의 경우 군 당국은 최근 전력화 목표 시점을 2034년에서 2030년 이내로 앞당겼다. 고정식인 Ⅰ과 달리 Ⅱ는 ‘천무’ 다연장로켓(MLRS)의 이동식 발사대(TEL)에서 발사돼 이동성과 은닉성이 향상되고, 사거리도 180㎞에서 300㎞로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군사분계선(MDL) 인근에 배치하면 압록강 부근까지 타격이 가능하다는 의미다. 이밖에 군 당국은 600억원을 들여 KTSSM-Ⅲ를 개발하는 방안도 논의하고 있다.
KTSSM 시험발사 장면. 국방부

합참은 "KTSSM 작전 배치를 통해 단시간 안에 적 장거리 화력을 완전히 궤멸시킬 수 있는 압도적인 능력을 갖춤으로써 유사시 적의 도발 의지를 완전히 분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며 "북한의 어떠한 도발에도 압도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능력과 태세를 유지할 것"이라고 밝혔다.

중앙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4287 소방청장 "이상민 前장관 '단전·단수' 지시 명확하지 않았다" 랭크뉴스 2025.02.18
44286 강제동원 피해자, 일본 기업에 직접 배상받을 길 열렸다···추심 소송 승소 랭크뉴스 2025.02.18
44285 지금 ‘극우 카톡방’에선…“명찰 없는 경찰은 중국인” 가짜 뉴스에 “탄핵 땐 죽음으로 막는다” 선동 만연 랭크뉴스 2025.02.18
44284 헌재 찍고 '노쇼 컴백' 尹‥호송·경호차량만 앞뒤로.. 랭크뉴스 2025.02.18
44283 강기정 “광주공항에 국제선 띄운다”…전남도 “무안공항 정상화가 먼저” 랭크뉴스 2025.02.18
44282 尹대통령 탄핵심판 '내달 중순' 선고 유력 랭크뉴스 2025.02.18
44281 미·러, 사우디 리야드서 우크라전 종전협상 시작 랭크뉴스 2025.02.18
44280 20일 증인신문 마무리 수순... 尹 탄핵심판 3월 중순 선고 전망 랭크뉴스 2025.02.18
44279 [단독]‘6명 사망’ 반얀트리 해운대 참사 관련 기장소방서·시공사 압수수색 랭크뉴스 2025.02.18
44278 머스크의 AI ‘그록3’ 오늘 공개…지구에서 가장 똑똑하다는데 [지금뉴스] 랭크뉴스 2025.02.18
44277 군 정보사, 계엄 전날 ‘경찰 신원조회 시스템’ 접속 권한 요청 랭크뉴스 2025.02.18
44276 ‘마약 상습 투약’ 유아인 2심 징역형 집행유예…구속 다섯 달 만에 석방 랭크뉴스 2025.02.18
44275 헌재, 윤석열 10차 변론 연기신청 불허…20일 예정대로 진행 랭크뉴스 2025.02.18
44274 [단독] 희토류 찾아 '해저 삼만리'…1800억짜리 탐사선 출항한다 랭크뉴스 2025.02.18
44273 ‘버터 없는 버터맥주’ 어반자카파 박용인 1심서 징역 8개월·집유 2년 랭크뉴스 2025.02.18
44272 "제주항공 사고 후 관광업 300억 타격"…광주공항 국제선 임시 추진 랭크뉴스 2025.02.18
44271 [단독] 검찰, 경호처 김성훈 차장·이광우 본부장 구속영장 불청구 랭크뉴스 2025.02.18
44270 헌재서 국회 측 검찰 조서 공개하자 尹 측 항의 랭크뉴스 2025.02.18
44269 지자체 지정감리제 확대 법안 나와…건설 업계 “부실 공사 못 막는다” 랭크뉴스 2025.02.18
44268 “검찰의 권한 남용”… 경찰, 김성훈 구속영장 세번째 기각에 격앙 랭크뉴스 2025.0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