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사직 레지던트 9222명 중 5176명 재취업
의원급 근무자 3023명··· 67%가 수도권
4000여명이 여전히 의료기관 바깥에 존재
서울 한 대형병원 전공의실 앞 복도가 비어 있다. 연합뉴스

[서울경제]

정부의 의대 정원 증원 등에 반발해 집단 사직한 전공의 10명 중 약 6명은 일반의로서 의료기관에 재취업한 것으로 집계됐다. 재취업한 전공의 중 40% 가까이가 수도권 동네 의원에서 일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며 쏠림 현상이 상당했다. 필수의료 분야에서 수련하던 전공의들이 의료현장을 떠나 동네 의원에 정착하게 되면 지역·필수의료에 상당한 위기가 찾아올 수 있다는 우려가 크다.

18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김선민 조국혁신당 의원이 보건복지부에서 받은 ‘사직 전공의 의료기관 재취업 현황’을 보면 사직 레지던트 9222명 중 재취업 인원은 지난달 기준 5176명이다. 전체의 56.1%에 해당하는 수준이다. 나머지 4046명은 어떤 일을 하고 있는지 파악되지 않으며 의료기관과 관계없는 분야에서 다른 일을 하거나 계속해서 일을 쉬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이들 중 의원급 의료기관에서 일하는 인원은 3023명이며 이들 중 67.4%가 서울(998명), 경기(827명), 인천(205명) 등 수도권에서 근무 중이다. 재취업한 전공의 전체로 따져도 39.2%에 이른다. 진료과별로는 일반 의원 근무자가 1121명(37.1%)으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 내과 382명(12.6%), 정형외과 254명(8.4%), 이비인후과 229명(7.6%), 안과 215명(7.1%), 피부과 206명(6.8%) 순서로 상위권을 이뤘다. 반면 외과 35명(1.2%), 산부인과 80명(2.6%), 소아청소년과 45명(1.5%) 등 필수의료과목은 매우 적었다.

병원급 이상 의료기관에 재취업한 전공의는 2153명이다. 상급종합병원에 재취업한 이는 1.7%인 88명뿐이며, 병원 815명(15.7%), 종합병원 763명(14.7%), 요양병원 383명(7.4%), 한방병원 58명(1.1%) 등이다.

전공의들은 지난해 2월 6일 정부가 의대 정원 2000명 증원을 발표하자 이에 반발해 같은 달 20일부로 일제히 근무를 중단했다. 정부는 당초 이들의 사직서 수리를 금지했으나 작년 6월 이를 철회함에 따라 전공의들은 이미 의사 국가시험에 합격해서 의사 자격증을 갖고 있기 때문에 일반의로 재취업이 가능해졌다.

전공의들의 사직과 재취업은 전국 의료기관 인력 현황에도 상당한 변화를 가져왔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통계에 따르면 작년 말 기준 전국 의료기관에 근무하는 일반의는 모두 1만684명으로, 전년대비 76.9%나 늘었다. 이들은 대부분 사직 전공의들이다. 종별로는 의원에서 근무하는 일반의가 7천170명으로 76.0% 늘었으며 병원서 일하는 일반의는 842명으로 전년 대비 4배 이상 늘었다.

김선민 의원은 “필수의료 의사를 늘리기 위한 정책이 오히려 의사를 감소시키고 있는 형국”이라며 “정부는 하루빨리 의료계와 협의해 1년이란 긴 의료대란을 수습해야 한다”고 말했다.

서울경제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4286 강제동원 피해자, 일본 기업에 직접 배상받을 길 열렸다···추심 소송 승소 랭크뉴스 2025.02.18
44285 지금 ‘극우 카톡방’에선…“명찰 없는 경찰은 중국인” 가짜 뉴스에 “탄핵 땐 죽음으로 막는다” 선동 만연 랭크뉴스 2025.02.18
44284 헌재 찍고 '노쇼 컴백' 尹‥호송·경호차량만 앞뒤로.. 랭크뉴스 2025.02.18
44283 강기정 “광주공항에 국제선 띄운다”…전남도 “무안공항 정상화가 먼저” 랭크뉴스 2025.02.18
44282 尹대통령 탄핵심판 '내달 중순' 선고 유력 랭크뉴스 2025.02.18
44281 미·러, 사우디 리야드서 우크라전 종전협상 시작 랭크뉴스 2025.02.18
44280 20일 증인신문 마무리 수순... 尹 탄핵심판 3월 중순 선고 전망 랭크뉴스 2025.02.18
44279 [단독]‘6명 사망’ 반얀트리 해운대 참사 관련 기장소방서·시공사 압수수색 랭크뉴스 2025.02.18
44278 머스크의 AI ‘그록3’ 오늘 공개…지구에서 가장 똑똑하다는데 [지금뉴스] 랭크뉴스 2025.02.18
44277 군 정보사, 계엄 전날 ‘경찰 신원조회 시스템’ 접속 권한 요청 랭크뉴스 2025.02.18
44276 ‘마약 상습 투약’ 유아인 2심 징역형 집행유예…구속 다섯 달 만에 석방 랭크뉴스 2025.02.18
44275 헌재, 윤석열 10차 변론 연기신청 불허…20일 예정대로 진행 랭크뉴스 2025.02.18
44274 [단독] 희토류 찾아 '해저 삼만리'…1800억짜리 탐사선 출항한다 랭크뉴스 2025.02.18
44273 ‘버터 없는 버터맥주’ 어반자카파 박용인 1심서 징역 8개월·집유 2년 랭크뉴스 2025.02.18
44272 "제주항공 사고 후 관광업 300억 타격"…광주공항 국제선 임시 추진 랭크뉴스 2025.02.18
44271 [단독] 검찰, 경호처 김성훈 차장·이광우 본부장 구속영장 불청구 랭크뉴스 2025.02.18
44270 헌재서 국회 측 검찰 조서 공개하자 尹 측 항의 랭크뉴스 2025.02.18
44269 지자체 지정감리제 확대 법안 나와…건설 업계 “부실 공사 못 막는다” 랭크뉴스 2025.02.18
44268 “검찰의 권한 남용”… 경찰, 김성훈 구속영장 세번째 기각에 격앙 랭크뉴스 2025.02.18
44267 35분 멈췄던 심장이 다시 뛰었다…“포기 안한 가족·의료진이 기적 만들어” 랭크뉴스 2025.0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