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도 넘은 언론에 비판·자성 쏟아져
17일 서울 송파구 서울아산병원 장례식장에 배우 김새론의 빈소가 마련됐다. 사진공동취재단


배우 김새론이 지난 16일 스물다섯의 나이로 세상을 떠난 것을 계기로 일부 언론들의 도 넘은 보도 행태에 대한 비판과 자성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음주운전에 대한 법적·도의적 대가를 치른 뒤에도 고인에 대한 ‘악성댓글’ 수준의 인신공격성 보도가 이어졌고, 그것이 고인을 삶의 막다른 골목까지 내몬 것 아니냐는 것이다. 전문가들은 17일 이같은 황색 언론들에 대한 강력한 제재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김새론은 2022년 5월 음주운전 사건과 동시에 출연 중인 작품에서 하차하는 등 활동을 중단했지만 여론은 그에게 우호적이지 않았다. 특히 언론은 그의 일거수일투족을 집요하게 보도했다. 김새론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 게시물 하나하나가 조롱 섞인 헤드라인과 함께 기사로 퍼져나갔다.

2023년 4월 ‘카페 알바’ 논란이 대표적이다. 김새론이 유니폼을 입고 카페 아르바이트를 하는 모습을 SNS에 올리자 이를 두고 ‘(실제 그렇지 않으면서) 생활고를 겪는 척 한다’는 취지의 보도가 잇따랐다. 구독자 61만명을 보유한 유튜브 채널 ‘이진호 연예뒤통령’은 ‘알바 호소인의 최후, 생활고 김새론의 두 얼굴’(2023년 5월) 등 김새론을 비판하는 영상을 여러 차례 게재했다. 이 채널은 김새론 사망 뒤 관련 영상들을 비공개 처리했다.

지난해 3월 김새론이 동료 배우 김수현과 함께 찍은 사진을 게재했을 때에는 그가 ‘셀프 열애설’로 관심을 끌려 한다는 비난이 쏟아졌다. ‘양치기 소녀’, ‘못 고치는 SNS 병’ 같은 자극적 제목의 기사는 안그래도 호의적이지 않은 여론에 기름을 부었다.

심지어 특별한 사건·사고 없이도 조롱은 계속됐다. 지난달 19일 연예 매체 A는 ‘김새론 음주운전 후 3년…이젠 얼굴로 무력 시위’라는 제목의 기사를 썼다. 그가 SNS에 아무런 내용 없이 얼굴 사진 만을 올렸다는 게 이유였다. 조회수를 노린 이같은 악의적 기사들이 SNS·커뮤니티에서 확산하고, 이를 통해 악성 댓글이 달리는 악순환이 반복되면서 김새론은 결국 벼랑 끝으로 내몰렸다.

지난 16일 세상을 떠난 배우 김새론. SNS 갈무리


김새론의 팬덤은 이날 디시인사이드 여자 연예인 갤러리에 “김새론은 자신의 과오를 인정하고 반성하며 다시 일어서기 위해 노력했지만, 그 과정에서 그가 감당해야 했던 비난과 여론의 외면은 인간적 한계를 넘는 것이었다”는 내용의 성명문을 발표했다. 연예계 동료인 가수 미교 역시 SNS에 “사람이 죽어야 악플러들 손이 멈춘다. 악플러들은 본인이 악플을 달고 있다는 것조차 모를 것 같다”고 적었다. 나종호 미국 예일대 의과대학 정신의학과 조교수도 SNS에 “실수하거나 낙오된 사람을 버리고 아무 일 없었다는 듯 지나가는 우리 사회의 모습이 흡사 거대한 ‘오징어게임’ 같다”며 안타까움을 표했다.

전문가들은 조회수 올리기에 혈안이 된 일부 언론, 이런 기사에 부화뇌동하는 악플러들 때문에 연예인의 희생이 반복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2019년 그룹 에프엑스 출신 배우 설리와 카라 출신 구하라, 지난해 배우 이선균에 이르기까지 같은 패턴을 보인다는 것이다. 최근 연예기획사들이 악성 댓글에 대한 고소·고발을 강화하고 있지만, 정작 기사를 쓴 언론사들에 대해 소극적일 수 밖에 없는 구조도 한계다. 먹잇감을 던져주는 언론이 존재하는 한 악플러들은 사라지지 않을 것이기 때문이다.

신미희 민주언론시민연합 사무처장은 언론사 자체 윤리 강령이나 보도 준칙이 사실상 무력해진 상황에서 강력한 제재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기사 조회수나 시청률, 구독자 수에 몰두하는 지금 미디어 생태계의 본질적인 구조가 바뀌지 않는 한 해답이 없다. ‘포털 퇴출’을 비롯한 강력한 제재 만이 해결책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경향신문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3853 반도체법, 결국 산업소위 통과 불발…'주52시간제 예외' 이견 랭크뉴스 2025.02.17
43852 명태균 측 김건희 여사 '공천 개입 정황' 통화 복기록 공개(종합) 랭크뉴스 2025.02.17
43851 물량·속도전 ‘홍수 전략’에 미국도 세계도 잠겼다… 트럼프 한 달, ‘리얼리티쇼’ 시즌 2 랭크뉴스 2025.02.17
43850 포인트까지 탈탈…편의점 '짠테크족' 확 늘었다 랭크뉴스 2025.02.17
» »»»»» SNS 게시마다 조롱 섞인 기사···김새론 벼랑 끝 내몬 ‘악성 보도’ 랭크뉴스 2025.02.17
43848 경찰 “김새론 유서 발견된 것 없어…‘송민호 부실 근무’ 조만간 결론” 랭크뉴스 2025.02.17
43847 한동훈 ‘국민이 먼저입니다’ 26일 신간 내고 ‘기지개’…윤석열·계엄 등 소회 담길까 랭크뉴스 2025.02.17
43846 한동훈, '국민이 먼저입니다' 26일 출간… 정치 재개 수순 랭크뉴스 2025.02.17
43845 엇갈린 반도체 투심…외국인은 하이닉스, 기관은 삼성전자 랭크뉴스 2025.02.17
43844 트럼프 "나라 구하면 뭘해도 합법"…나폴레옹 황제 발언 논란 랭크뉴스 2025.02.17
43843 경찰청, '서부지법 난동 대처 미흡' 마포서장에 경고…인사 조치 랭크뉴스 2025.02.17
43842 ‘주4일 근무’ 확산하나...임금 삭감 가능성에 ‘찬반’ 팽팽 랭크뉴스 2025.02.17
43841 707단장 "민주당 전문위원, 곽종근에 '당이 지켜줄 것' 말해"(종합) 랭크뉴스 2025.02.17
43840 [단독] ‘서부지법 사태’ 경찰 감찰 결과 입수…“취약시간 교대·형식적 차벽” 랭크뉴스 2025.02.17
43839 지인·초등생 두 자녀 데리고 자살시도…경찰, 40대 친모 긴급체포 랭크뉴스 2025.02.17
43838 [단독]여인형 “방첩사 가장 큰 리스크는 신병 확보 명단 작성”…위법성 미리 알았다 랭크뉴스 2025.02.17
43837 인격살인 악플, 처형대 된 언론…김새론을 누가 죽음으로 몰았나 랭크뉴스 2025.02.17
43836 與 법사위원 “명태균 특검법, 조기 대선 발목잡겠다는 것… 재의요구 건의할 것” 랭크뉴스 2025.02.17
43835 소득 얼마길래...이하늬, 추징 세금만 '60억' 랭크뉴스 2025.02.17
43834 오세훈 측 "창원지검 명태균 수사 실망‥신속한 수사 촉구" 랭크뉴스 2025.02.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