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직 사회도 주 4일제 바람
전북도, 다음달부터 주4일 출근제 시행
민간으로 확산할 지도 주목
이재명 민주당 대표, 도입 의지 강하게 보여
단, 반대 여론도 만만치 않아
전북도, 다음달부터 주4일 출근제 시행
민간으로 확산할 지도 주목
이재명 민주당 대표, 도입 의지 강하게 보여
단, 반대 여론도 만만치 않아
13일 직장인들이 서울 여의도 환승센터 앞 횡단보도를 오가고 있다. 사진=최혁 기자
전북특별자치도가 저출생 극복을 위해 다음달부터 '주4일 출근제'를 시행한다. 대상은 8세 이하 또는 초등학교 2학년 이하의 자녀를 둔 전북도 소속 공무원이다.
17일 전북도에 따르면 '주4일 출근제' 대상은 8세 이하 또는 초등학교 2학년 이하의 자녀를 둔 전북도 소속 공무원이다.
유형은 휴무형, 재택형(Ⅰ·Ⅱ) 등 크게 2가지다.
먼저 휴무형은 4일간 하루에 육아시간(2시간)을 제외한 8시간 동안 일하고 하루는 쉬는 형태다. 육아시간은 출근을 2시간 늦게 하거나 퇴근을 2시간 일찍 하는 등 자유롭게 쓸 수 있다.
재택형Ⅰ은 4일간 하루 8시간 중 육아시간을 제외한 6시간만 일하고 하루는 재택근무를 하면 된다.
하루 2시간씩, 3년간 사용 가능한 육아시간을 다 소진했다면 재택형Ⅱ(4일간 하루 8시간 근무·하루는 재택근무)로 전환할 수 있다.
전북도는 주4일 출근제 시행계획을 이달에 확정, 각 부서에서 통보할 예정이다.
주4일 출근제가 민간 기업으로 확산할 지도 이목이 쏠린다. 현재는 손에 꼽을 정도의 기업들만 주4일 출근제를 시행 중이다.
특히 최근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주 4일 근무제' 도입을 꺼내 들면서 이를 놓고 찬반 여론도 팽팽하게 갈린다. 최대 관건은 임금 삭감이다.
앞서 지난해 8월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소속 박홍배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시민단체 주 4일제 네트워크와 함께 글로벌리서치에 의뢰해 직장인 1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노동시간 및 주 4일제 인식 조사' 결과 응답자의 63.2%가 주 4일제 도입에 동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이 조사에서는 주 4일제에 따른 임금 삭감 여부는 묻지 않았는데, 각종 포털사이트나 SNS 등을 보면 "임금이 삭감되는 주 4일제에 반대한다"는 의견도 만만치 않은 상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