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출석해 발언…야당 의원들이 前특전사령관 회유한 정황 폭로
"박범계는 자신이 적은 문장으로 말하기 요구…부승찬은 변호사 소개"
"박범계는 자신이 적은 문장으로 말하기 요구…부승찬은 변호사 소개"
국방위 현안질의 출석한 김현태 707특임단장
(서울=연합뉴스) 김주성 기자 = 김현태 707특수임무단장이 17일 국회 국방위원회 전체회의에서 국민의힘 소속 성일종 위원장의 발언을 듣고 있다.
이날 회의는 더불어민주당 의원들의 회유 의혹과 관련해 성 위원장 직권으로 야당 의원들이 불참한 가운데 열렸다. 2025.2.17 [email protected]
(서울=연합뉴스) 김주성 기자 = 김현태 707특수임무단장이 17일 국회 국방위원회 전체회의에서 국민의힘 소속 성일종 위원장의 발언을 듣고 있다.
이날 회의는 더불어민주당 의원들의 회유 의혹과 관련해 성 위원장 직권으로 야당 의원들이 불참한 가운데 열렸다. 2025.2.17 [email protected]
(서울=연합뉴스) 김철선 기자 = 12·3 비상계엄 당시 국회에 투입됐던 김현태 육군 특수전사령부 707특수임무단장(대령)은 계엄 직후 더불어민주당 의원들이 곽종근 전 특전사령관을 개별적으로 접촉해 회유한 정황이 있다고 밝혔다.
김 단장은 17일 국민의힘이 단독으로 개최한 국회 국방위원회 현안질의에 출석, 지난해 12월 10일 곽 전 사령관과 민주당 박범계·부승찬 의원과의 면담에 동석했다며 이처럼 밝혔다.
그는 "먼저 민주당 전문위원이라는 사람이 사령관과 한참 이야기를 했다"며 "'이미 대세는 기울었다. 민주당이 지켜줄 것이다' 이런 말을 많이 했고, 이후 민주당 박범계·부승찬 의원이 왔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박 의원은 사령관 얘기를 노란 메모지에 쭉 기록했고, 한 번 더 해보라고 요구한 뒤 '아까 그렇게 안 했잖아요'라고 하면서 본인이 적은 문장으로 똑같이 하길 사령관에게 요구했다"고 말했다.
당시는 국회 국방위원회 전체회의가 있었던 날로, 곽 사령관은 이날 민주당 박범계·부승찬 의원과 면담을 한 뒤 윤석열 대통령으로부터 '국회 문을 무수고 의원들을 끄집어내라'는 지시를 받았다고 폭로했다.
김 단장은 이날 면담에서 부승찬 의원이 곽 전 사령관에게 변호사를 소개해주겠다고 발언한 것으로 기억한다고도 덧붙였다.
김 단장은 지난해 12월 6일 민주당 김병주·박선원 의원이 특전사를 항의방문 형식으로 찾아가 곽 전 사령관과 인터뷰했을 때도 예상 질문지를 미리 줬고, 답변도 함께 준비했다고도 밝혔다.
김 단장은 "당시 민주당 의원들만 오는 것은 아닌 것 같아서 반대했지만, 사령관은 오늘이 아니면 기회가 없을 것 같다고 했다"며 "김병주 의원이 말한 예상 질문을 가지고 함께 답변서를 준비했다"고 언급했다.
'민주당이 곽 전 사령관을 회유한 것이라고 생각하느냐'는 질문에는 "답변하지 않겠다"면서도 "(곽 전 사령관의 발언이) 변형되지 않았을까 하는 우려를 하고 있다"고 말했다.
김 단장은 "사령관은 상황이 종료된 이후 부대와 부하를 살리기 위해 노력했지만, 누구도 손을 내밀지 않았다"며 "김병주 의원이 손을 내밀어 그 손을 잡았고, 그 이후 자연스럽게 민주당 의원들과 사전 만남이 진행되면서 본인은 사실을 말씀하신다고 하나 조금 왜곡될 수 있겠다고 하는 개인적인 생각을 한다"고 덧붙였다.
한편, 김 단장은 비상계엄 당일 707특임단이 국회 본관 내부에 강제로 진입해 단전 조치를 한 경위도 적극적으로 설명했다.
민주당 주장과 달리 단전 조치는 윤 대통령이 아니라 곽 전 사령관의 지시로 이뤄졌으며, 국회의 계엄 해제 요구안이 가결되자 사령관으로부터 철수 지시를 받아 실제 단전은 5분 이내로 이뤄졌다는 것이 김 단장의 설명이다.
단전 조치 이후로도 비상등이 켜져 있어 충분히 사람들이 식별되는 상황이었다고 전했다.
김 단장은 당시 계엄군의 국회 진입에 저항하던 민주당 보좌진 등 국회 관계자들이 군인들에게 폭력을 행사하고 욕설을 했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당시 몸싸움 이후 민주당 보좌관으로 생각되는 인원이 제게 자랑하듯 이야기했다"며 "마치 저희를 이용해 폭동을 일으키려는 그런 느낌을 받았다"고 말했다.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