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일영 의원 “철저한 세무조사 필요”
지난 10일 오후 서울 중구 국가인권위원회(인권위)에서 2025년 제2차 전원위원회를 앞두고 관계자들이 출입을 통제하고 있다. 이날 극우 유튜버 등으로 인권위 출구는 아수라장이 됐다. 뉴스
12·3 불법계엄 사태 이후 극우·보수 성향 10개 유튜브 채널이
슈퍼챗으로만 6억 원 넘게
벌어들인 것
으로 조사됐다.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정일영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16일 극우·보수 성향 유튜브 10개를 분석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12월부터 올해 1월까지 이들이 올린 슈퍼챗 총수입은 6억576만 원이었다.
10개 유튜브 중 6개 채널의 슈퍼챗 수입은 12·3 불법계엄 직후부터 윤 대통령 체포영장 집행이 이루어진 1월까지 크게 뛰었다.
이 중 가장 많은 구독자 수(약 162만 명)를 보유한 A채널의 슈퍼챗 수입은 지난해 11월
5,908만 원
에서 12월 1억2,283만 원
으로 두 배 넘게
올랐다. A채널은 올해 1월엔 1억5,850만 원
의 더 많은 수입을 거뒀다.구독자 52만 명을 보유한 B채널의 슈퍼챗 수입 역시 지난해 11월 2,034만 원에서 12월 4,559만 원으로 두 배 늘어났다. 지난 1월엔 6,614만 원으로 두 달 전보다 3배 늘었다.
'20·30 우파 청년 결집'을 목표로 하는 C채널(구독자 77만 명)의 슈퍼챗 수입은 지난해 12월 3,787만 원에서 지난 1월 8,920만 원으로 한 달 만에 2배 이상 늘었다. 채널 구독자도 계엄 사태 이후
50만 명 넘게 급증
했다.특히 C채널은 윤 대통령에 대한 1차 체포영장 집행이 시도된 지난달 3일 새벽 한남동 대통령 관저 앞에서 라이브방송을 통해
하루 만에 1,770만 원
을 슈퍼챗으로 벌어 들였다. 이 채널의 지난해 11월 중·하순 2주간 슈퍼챗 수입은 140만 원
에 불과했으나 올해 2월 초·중순 2주간 수입은 923만 원
으로 두 달 만에 6배 넘게 급증했다.정 의원은 "계엄 이후 극우·보수성향 유튜버들이 극단적인 선동과 혐오를 조장해 콘텐츠 수익을 올리지 못하도록 하는 제도적 개선 방향을 모색하겠다"며 "국세청은 이들의 슈퍼챗, 개인계좌 등의 수입신고와 과세가 제대로 이뤄지고 있는지 점검하고 필요하면 철저한 세무조사를 통해 세금을 추징해야 한다"고 밝혔다.
국세청 세무 안내에 따르면 유튜브 등 플랫폼 운영사로부터 받는 광고 수익뿐만 아니라 슈퍼챗 같은 후원금도 모두 종합소득세 신고 대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