빨라지는 한화 승계 시계
급등한 한화 주가도 영향 관측
김승연 한화그룹 회장의 동생 김호연 빙그레 회장이 ㈜한화의 지분 전량을 매도했다.
17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김호연 회장은 지난 13일 ㈜한화의 보통주 12만4567주(0.16%)를 시간외매매로 전량 매도했다. 주당 매도 가격은 3만9200원으로 총액은 48억8302만원이다.
이를 두고 증권업계에서는 다양한 해석이 나오고 있다. 가장 먼저 나오는 해석은 한화 주식이 오를 만큼 올랐기 때문에 매도에 나섰다는 것이다. 올 들어 한화 주식은 방산 산업에 대한 기대감 등에 힘입어 꾸준히 오르고 있다. 지주사 한화의 주가는 올해 초만하더라도 2만원 후반대였는데 이날은 4만4000원 수준에서 거래됐다.
한화그룹의 승계가 진행되는 과정에서 지분 정리에 나선 것이라는 분석도 나왔다. 김호연 회장과 한화그룹 김승연 회장은 형제 관계다. 아버지인 고(故) 김종희 한화그룹 창업주가 1981년 갑작스레 별세하면서 재산 분할을 두고 갈등을 겪었다.
1992년 김호연 회장이 김승연 회장을 상대로 상속재산 반환청구의 소송을 낸 것이 대표적이다. 당시 김호연 회장은 김승연 회장이 본인과 의논하지 않고 임의로 상속재산을 처분했다며 유산의 40%를 달라고 주장했다.
송사까지 간 두 형제는 1995년 어머니인 고 강태영 여사 칠순 잔치에서 만나서야 화해했다. 그해 11월 김호연 회장이 소를 취하하면서 3년6개월여를 끌어온 법적 갈등도 일단락됐다. 다만 그들의 사이는 뒤로도 데면데면했던 것으로 전해진다.
재계 관계자는 “일흔을 넘긴 김승연 회장과 한화그룹은 세 아들에게 승계를 할 채비를 하고 있는 상황에서, 정리해 줄 수 있는 부분을 시기적으로 좋게 정리했다고 볼 수 있다”고 했다.
빙그레 측은 김 회장의 지분 매각 배경에 대해 “개인적인 사안이라 확인하기 어렵다”고 전했다.
급등한 한화 주가도 영향 관측
김호연 빙그레 회장. /조선DB
김승연 한화그룹 회장의 동생 김호연 빙그레 회장이 ㈜한화의 지분 전량을 매도했다.
17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김호연 회장은 지난 13일 ㈜한화의 보통주 12만4567주(0.16%)를 시간외매매로 전량 매도했다. 주당 매도 가격은 3만9200원으로 총액은 48억8302만원이다.
이를 두고 증권업계에서는 다양한 해석이 나오고 있다. 가장 먼저 나오는 해석은 한화 주식이 오를 만큼 올랐기 때문에 매도에 나섰다는 것이다. 올 들어 한화 주식은 방산 산업에 대한 기대감 등에 힘입어 꾸준히 오르고 있다. 지주사 한화의 주가는 올해 초만하더라도 2만원 후반대였는데 이날은 4만4000원 수준에서 거래됐다.
한화그룹의 승계가 진행되는 과정에서 지분 정리에 나선 것이라는 분석도 나왔다. 김호연 회장과 한화그룹 김승연 회장은 형제 관계다. 아버지인 고(故) 김종희 한화그룹 창업주가 1981년 갑작스레 별세하면서 재산 분할을 두고 갈등을 겪었다.
1992년 김호연 회장이 김승연 회장을 상대로 상속재산 반환청구의 소송을 낸 것이 대표적이다. 당시 김호연 회장은 김승연 회장이 본인과 의논하지 않고 임의로 상속재산을 처분했다며 유산의 40%를 달라고 주장했다.
송사까지 간 두 형제는 1995년 어머니인 고 강태영 여사 칠순 잔치에서 만나서야 화해했다. 그해 11월 김호연 회장이 소를 취하하면서 3년6개월여를 끌어온 법적 갈등도 일단락됐다. 다만 그들의 사이는 뒤로도 데면데면했던 것으로 전해진다.
재계 관계자는 “일흔을 넘긴 김승연 회장과 한화그룹은 세 아들에게 승계를 할 채비를 하고 있는 상황에서, 정리해 줄 수 있는 부분을 시기적으로 좋게 정리했다고 볼 수 있다”고 했다.
빙그레 측은 김 회장의 지분 매각 배경에 대해 “개인적인 사안이라 확인하기 어렵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