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일 국회 국방위원회 현안질의에 답하는 김현태 707특수임무단장. 연합뉴스
‘12·3 비상계엄’ 당시 국회에 투입됐던 김현태 육군 특수전사령부 707특수임무단장(대령)이 계엄 당일 ‘국회 단전’ 지시를 곽종근 특전사령관으로부터 받았다고 주장했다.
김 단장은 17일 국민의힘이 단독으로 개최한 국회 국방위원회 현안질의에 출석해 “단전 관련해서는 대통령의 지시가 일절 없었다”며 “단전은 특전사령관이 4일 (새벽) 0시30분에 대통령 전화를 받고 스스로 무언가를 하기 위해 생각해낸 여러가지 중 한 가지”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당시 그 지시가 건물 봉쇄 및 확보에 필요한 지시라고 이해했다”고 말했다.
전날 더불어민주당이 ‘국회 단전 조치 배경에는 계엄 해제 의결을 막기 위한 윤석열 대통령의 지시가 있었다’고 주장한 것에 대해선 “내용이 맞지 않은 뉴스라고 생각한다”고 전했다.
김 단장은 국회 단전 지시를 받은 배경에 대해 “(국회 내부에) 많은 분이 막고 있어서 더 이상 진입이 어렵다고 보고했더니, 특전사령관께서 ‘그러면 혹시 전기라도 내릴 수 없는지 찾아봐라’고 말씀하셨다”며 “이에 따라 최소 인원으로 지하 1층에 내려간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부대원 한 명에게 스위치를 한번 찾아보라고 지시했고, 그 이후 국회 관계자로부터 (계엄 해제 요구안이) 가결됐다고 들었다”며 “이후 사령관에게 전화를 드렸더니 철수 지시를 받았다”고 주장했다.
김 단장은 실제 단전이 5분 이내였다고 부연했다. 이어 “자동으로 비상등이 켜져서 암흑천지같이 어둡지는 않았다”며 “충분히 사람이 다 식별되고, 크게 불이 꺼졌다고 느끼기도 애매한 그런 수준으로 잠시 꺼졌다가 켜진 상황이었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