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6월 개관하는 부산콘서트홀 예술감독 맡아
6월 부산콘서트홀 개관을 앞두고 17일 기자간담회에 참석한 지휘자 정명훈. 공연장의 예술감독을 맡았다. 사진 클래식 부산
“한국이 가난한 나라에서 잘 사는 나라가 됐는데, 이제 훌륭한 나라가 돼야 한다. 그러려면 돈만 가지고는 어림도 없다. 문화 예술이 발전해야 여유가 생기고 다른 사람들과 나누면서 살 수 있게 된다.”

지휘자 정명훈(72)이 17일 부산 연지동의 부산콘서트홀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한 말이다. 정명훈은 6월 개관 예정인 부산콘서트홀을 운영하는 클래식 부산의 예술감독을 맡았다. 클래식 부산은 2027년 문을 여는 부산오페라하우스도 운영한다. 그는 “부산이 아시아에서 음악의 특별한 미팅 포인트가 될 수 있으리라 확신한다”고 했다.

6월 20ㆍ21일 개관 공연에서 베토벤의 9번 교향곡 ‘합창’을 지휘할 예정인 정명훈은 음악의 힘에 대한 발언을 이어갔다. “클래식 음악은 뿌리가 깊고 역사가 길기 때문에 세계 모든 사람의 마음을 모을 힘이 있다. 그 중에서도 특히 베토벤의 ‘합창’은 마지막 악장에 전세계 사람을 모이게 하는 가사가 나온다. 특별한 힘이 있는 음악이기 때문에 이 곡을 부산콘서트홀의 첫 연주곡으로 선택했다.”
부산콘서트홀의 공연장 내부. 사진 클래식 부산

정명훈은 아시아 연주자들의 연합 오케스트라인 아시아 필하모닉 오케스트라(APO), 소프라노 황수미, 부울경 합창단 등과 함께 이 곡을 연주한다. APO는 1997년 창단한 오케스트라로, 부산콘서트홀의 개관과 함께 멤버를 정비하고 이 공연장을 중심으로 활동하게 된다.

17일 오후 부산 부산진구 부산콘서트홀에서 열린 개관 기자간담회에 박형준 부산시장, 정명훈 클래식부산 예술감독, 박민정 클래식부산 대표(왼쪽부터)가 참석해 있다. 연합뉴스,
2012년부터 설립이 추진된 부산콘서트홀은 부산 최초의 클래식 전용 공연장이다. 지하 1층, 지상 3층 규모로 파이프수 4406개의 파이프 오르간을 설치했고 대극장 2011석으로 개관한다. 부산시민공원 내 위치하고 있으며 공연장은 포도밭 모양의 무대를 객석이 감싸고 있는 빈야드 스타일로 설계했다. 여기에 400석 규모의 소공연장도 갖췄다.

클래식 부산의 박민정 대표는 “수도권 이외 지역에서 가장 큰 극장”이라고 소개했다. 또 “해외 오케스트라의 한국 공연에서 부산이 제외되는 경우가 많았는데 부산콘서트홀의 개관으로 부산 공연을 추가할 수 있으리라 본다”며 “한국 공연에 이어 일본ㆍ중국으로 동선이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더 이점이 있다”고 말했다.

개관 기념 페스티벌에는 정명훈을 비롯해 대형 아티스트들이 참여한다. 피아니스트 조성진의 독주회(6월 22일), 선우예권과 APO의 실내악 무대(6월 23일), 조재혁의 오르간 리사이틀(6월 24일)에 이어 런던 필하모닉 오케스트라와 피아니스트 손열음(10월 17일), 지휘자 클라우스 메켈레와 로열 콘세르트헤바우 오케스트라(11월 9일) 공연이 예정돼 있다.
부산시민공원 내에 위치한 부산콘서트홀. 사진 클래식 부산
청중의 확보가 새 공연장의 숙제다. 클래식 부산에 따르면 현재 부산의 공연장 수는 서울의 3분의 1, 전국 평균의 2분의 1 수준이다. 정명훈 지휘자는 “어린이부터 시작해서 콘서트홀에 자주 오는 습관을 만들어줘야 하고, 시민들에게 열려있는 공간이 돼야 한다”고 말했다.

박형준 부산시장은 “부산의 클래식 저변이 약하다는 평가가 있었지만 최근 몇 년 간 봤을 때 부산시립교향악단의 공연이 매진되는 등 저변이 넓어지고 있다”며 “콘서트홀 개관이 클래식 청중을 부산으로 불러 모으고, 부산 시민에게는 자부심의 원천이 되리라 본다”고 덧붙였다.

중앙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4626 여야, 명태균특검 놓고 옥신각신…"檢수사 봐야" "수사 맹탕" 랭크뉴스 2025.02.19
44625 입원 닷새째 프란치스코 교황, 양쪽 폐에 폐렴 진단 랭크뉴스 2025.02.19
44624 '명태균 게이트' 수사 재개‥윤 대통령 부부 겨눈다 랭크뉴스 2025.02.19
44623 "나 일본 여행 갔다 왔는데 너도?" 그 결과…일본인 2명 중 1명 "한국에 친근감" 랭크뉴스 2025.02.19
44622 “왜 이런 아이가 우리 학교에…” 장애 학생 부모에 비수 꽂은 교장 랭크뉴스 2025.02.19
44621 작년 3분기 임금근로 증가 6년만 최소…20·40대 역대 최대 감소 랭크뉴스 2025.02.19
44620 상호관세에 車관세 25% 덮친다…4월2일은 한국 '악몽의 날'? 랭크뉴스 2025.02.19
44619 홍준표 “명태균과 딱 한번 통화, 김건희 팔며 실세라 거들먹” 랭크뉴스 2025.02.19
44618 ‘문형배 집 앞 시위’ 옹호한 강승규 “그게 국민 여론…좀 잘 인식했으면” 랭크뉴스 2025.02.19
44617 [속보] ‘51일 파업·도크 점거’ 옛 대우조선 하청 노동자들 징역형 집유 선고 랭크뉴스 2025.02.19
44616 [단독]AI업계 만나는 안철수…대권 행보 본격 '시동' 랭크뉴스 2025.02.19
44615 "역시 1등 오시니"…김문수 간 나경원 토론회, 의원 60명 운집 랭크뉴스 2025.02.19
44614 홍준표 "내 아들, 명태균에 속아 감사 문자 보낸 것...문제 되나?" 랭크뉴스 2025.02.19
44613 경찰, 병역부조리로 후임 사망 이르게 한 선임병 5명 송치 랭크뉴스 2025.02.19
44612 얼굴 공개된 북한군 포로 “한국 가고파”…올 수 있을까 랭크뉴스 2025.02.19
44611 우크라이나 북한군 포로 “한국에 가고 싶다”…정부, 귀순 관련 협의 나서나 랭크뉴스 2025.02.19
44610 하늘이 살해전 '범행 도구' 검색하고 '살인 기사' 읽었다…"계획범죄 무게" 랭크뉴스 2025.02.19
44609 "尹, 격앙된 목소리로 닦달"‥'체포 지시' 실토한 조지호 랭크뉴스 2025.02.19
44608 "박봉에도 참는다"…사직 전공의들 '동네 의원' 몰려간 이유 랭크뉴스 2025.02.19
44607 '의대 쏠림이 뭐죠?' 카이스트 학사 지원 사상 첫 1만 명 넘었다 랭크뉴스 2025.02.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