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제주항공 참사 50일-소방관 4인 인터뷰]
베테랑들 "수십 년 경력 무색할 만큼 참혹"
금속 깃발로 수색 구역 표기, 200개 넘어
"현장 소방대원 위한 트라우마 치료 중요"

편집자주

탑승자 181명 중 179명이 사망한 역대 최악의 항공기 사고. 제주항공 참사 현장을 수습하며 희생자들을 마지막으로 보낸 이들이 있다. 한국일보가 만난 이들은 "할 일을 했을 뿐"이라고 담담히 말했지만, 현장을 떠올리며 눈물을 감추지 못했다. 언론 인터뷰에 처음으로 응한 경찰 과학수사관과 소방대원들은 한목소리로 "이번 참사를 잊지 말아 달라"고 당부했다.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당시 현장 수습에 사력을 다한 조양현(왼쪽부터) 전남소방본부 119특수구조대장, 임미란 전남소방본부 조정관, 조희주 전남 함평소방서 구조대원. 장흥=박시몬 기자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는 기체 폭발과 화재로 유독 참혹했던 현장으로 손꼽힌다. 소방대원들의 헌신과 기지가 아니었다면 사고 발생 12시간 만에 179명의 주검을 모두 수습하는 건 불가능했을 거란 평가다. 한국일보는 사고 당일 최초 출동 후 수색과 수습 과정 내내 숨 돌릴 틈 없이 사투를 벌인 소방관 4명을 전남 장흥 전남소방본부에서 만나 그날의 기억을 들었다. 이들은 "그저 할 일을 했을 뿐"이라며 취재를 거절했으나 거듭된 요청에 이 말은 꼭 하고 싶다며 어렵게 인터뷰에 응했다. "이번 참사가 참혹했다는 정도로만 기억되지 않기를 바란다"는 것이었다. 재난 예방 대책이 보다 두터워지는 계기로 삼아야 한다는 의미다. 참사 현장에 투입된 소방관들의 인터뷰를 통해 수습 과정이 상세히 보도되는 건 처음이다.

제일 먼저 온 소방... 아비규환 현장서 기지



전남 함평119안전센터 구급대원 조희주(45) 주임은 지난해 12월 29일 오전 근무 교대를 위해 장비를 점검하다 상황판에 적힌 '여객기 추락'을 봤다. 이어진 "181명 탑승" "사망자 다수 발생"이란 상황보고 무전에 오싹해졌다. 당일 오전 9시 20분, 현장에서 마주한 처참한 광경에 몸이 굳어버렸지만 정신을 가다듬고 수습에 안간힘을 썼다. 생존자 이송, 중증도 분류(먼저 치료가 필요한 환자를 가려내는 작업), 사망자 수습을 위해 구급대원 2명과 구조대원 3명이 한 조를 이뤄 초동 대처에 나섰다. 조 주임은 폭발한 기체 잔해에 뒤엉킨 시신을 조심스레 분리하고, 흩어진 시신 일부와 유류품을 찾느라 밤을 꼬박 새웠다.
참사 당일부터 시작된 비상근무 10일간 현장에 투입된 소방관은 853명에 달한다.


지난해 12월 30일 오전 전남 무안국제공항에서 소방대원들이 제주항공 여객기 충돌 폭발 사고 잔해를 수색하고 있다. 무안=박시몬 기자


호남권 대형 재난 현장에 투입된 전남소방본부 119특수구조대 소속 조양현(60) 대장은 참사 초기 '현장 반장' 역할을 했다.
그는 맨 먼저 철물점으로 달려갔다. 1m 길이 금속봉을 있는 대로 끌어 모아, 천을 연결해 깃발을 만들었다.
수색 권역을 기체가 있는 사고 중심부, 활주로, 외곽 갈대밭으로 나눈 뒤 주검이나 시신 일부가 발견된 지점에 깃발을 꽂고 번호를 썼다
. 그렇게 꽂은 깃발은 200개가 넘었다.
수색했던 구역을 여러 번 반복해 보지 않는 효율적인 수색과 현장 훼손 최소화를 위한 조치였다는 게 조 대장 설명이다.

지난달 8일 시신이 모두 인도된 뒤에도 소방관들은 20여 일간 수색을 이어갔다. 허리춤까지 올라온 갈대를 전부 밀고, 대원 200명이 투입돼 호미와 갈고리로 훑으며 '현미경 수색'을 했다. 조 대장은 "시신의 아주 작은 일부라도 전부 유족께 돌려 보내드리겠다고 약속했었다"고 했다. 그러면서 "가족을 잃은 고통에서도 저희를 믿고 기다려준 유가족들께 감사하고 죄송하다"며 고개를 숙였다.

2014년 세월호 침몰과 1995년 삼풍백화점 붕괴 등 초대형 참사를 다수 겪은 '37년차 베테랑' 조 대장도 이번 현장 수습은 손에 꼽을 만큼 어려웠다고 털어놨다. 시신들이 흩어진 범위가 넓은 데다 외부에 훤히 노출돼 있어 부담이 더욱 컸다고 한다. 화재 진압을 위해 다량의 물이 뿌려진 활주로 인근 갈대밭은 늪처럼 변해 대원들이 발을 디딜 때마다 10~20㎝씩 푹푹 빠졌다.

"트라우마 간과 말아야"

10일 전남 장흥군 전남소방본부에서 조희주(왼쪽부터) 함평소방서 소속 구조대원과 전남소방본부 소속 임미란 긴급대응팀 조정관, 조양현 119특수구조대장, 김동준 안전보건팀장이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당시 상황에 관해 얘기하고 있다. 장흥=박시몬 기자


소방관들은 참사가 아직 끝난 게 아니라고 입을 모았다. 유가족은 물론, 소방관들의 트라우마(정신적 외상)도 간과해선 안 된다면서다. 전남소방본부에 따르면 구급대원 등 현장에 머무른 직원 1,200여 명 중 당장 치료가 필요한 인원은 52명, 관심군은 190여 명에 달한다.
현장 긴급구조통제단 운영을 맡았던 전남소방본부 임미란(53) 조정관은 사고 초기 3일의 기억이 사라져 지금도 사진 등을 보며 과거를 복구하고 있다.
27년차 베테랑 소방관이 단기 기억상실 증상을 겪을 정도로 충격이 컸던 것이다. 참사 당시 유족과 소방관들에게 심리 지원을 제공했던 김동준 전남소방본부 안전보건팀장은 "현장에 갔던 대원은 당장 이상이 없어도 모두 '일상 잠재군'이라 보고 꾸준히 모니터링하며 상담을 이어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임미란 조정관은 "안전 관리 관련 예산 확보나 의식 강화 등 사회적 논의가 이어지는 것이 중요하다"며 "수습 이후에도 관심을 가져달라"고 당부했다.

한국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4560 트럼프 “자동차 관세 25%…반도체·의약품은 그 이상 될 것” 랭크뉴스 2025.02.19
44559 광명 상가주택서 화재…70대 심정지 이송 랭크뉴스 2025.02.19
44558 '계엄 지지'에 앞장선 목사들‥"계엄령은 하나님이 사용한 것" 랭크뉴스 2025.02.19
44557 트럼프 “車 관세 25% 정도 될 것… 의약품은 그 이상” 랭크뉴스 2025.02.19
44556 시흥 흉기 살인 피의자 “왜 화났는지 모르지만, 화가 나서 범행” 랭크뉴스 2025.02.19
44555 “단톡방서 쉴 새 없이 욕해” 故오요안나 일기장 공개 랭크뉴스 2025.02.19
44554 봉준호 "이선균, 누가 뭐라 해도 좋은 사람이자 배우였다" 랭크뉴스 2025.02.19
44553 “그때 손맛이”…낚싯줄로 잡은 역대급 크기 돗돔 화제 [잇슈 키워드] 랭크뉴스 2025.02.19
44552 “나라 지키는게 본분인데” 계엄 수사 받는 현역군인 30명 랭크뉴스 2025.02.19
44551 故김새론, 유족·지인 눈물 속 발인…‘천재 아역’ 잠들다 랭크뉴스 2025.02.19
44550 딸이 17살인데 27㎏…"채식으로 아동학대" 호주 부모 징역형 랭크뉴스 2025.02.19
44549 등록금 냈는데 ‘입학 취소’…범인은 같은 재수학원생 [잇슈 키워드] 랭크뉴스 2025.02.19
44548 "월급 '반토막'인데도 자리 없어요"…이력서 들고 헤매는 '사직 전공의' 랭크뉴스 2025.02.19
44547 트럼프 “2월 내 푸틴 만날수도…우크라에 유럽군? 찬성” 랭크뉴스 2025.02.19
44546 [단독] 그날 헬기가 계획대로 떴다면, 계엄 해제 못할 뻔했다 랭크뉴스 2025.02.19
44545 내년 의대 증원 규모 '대학 자율' 추진 랭크뉴스 2025.02.19
44544 키이우 노인의 슬픔 “2차대전 때 태어났는데 지금도 전쟁이라니” 랭크뉴스 2025.02.19
44543 [언제까지 돌하르방] ① 돌하르방과 감귤초콜릿…시계 멈춘 듯한 제주 기념품 랭크뉴스 2025.02.19
44542 “누나들이 재산 뺏고 정신병원 감금” 불법 강제입원 폭로한 지적장애인 랭크뉴스 2025.02.19
44541 가장 붐비는 지하철역은 잠실역…강남역은 3위로 떨어져 랭크뉴스 2025.02.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