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규모 '세수펑크'에도 직장인 근로소득세 수입은 불어나 지난해 60조 원을 넘어서며 거둬들인 세금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18%대로 역대 최대 수준을 기록했습니다.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임광현 의원과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지난해 근로소득세 수입은 취업자 수와 명목임금 증가 등으로 전년보다 1조 9천억 원 증가한 61조 원으로 집계됐습니다.
지난해 상용 근로자 수는 1천635만 3천 명으로 1년 전보다 18만 3천 명 증가했고, 작년 10월 기준 상용 근로자 1인당 임금은 416만 8천 원으로 전년 동월 대비 3.7% 상승했습니다.
근로소득세 수입은 해마다 증가해 2014년 25조 4천억 원에서 2016년 31조 원으로 30조 원대에 진입했고, 2020년 40조 9천억 원으로 40조 원을 넘겼습니다.
2022년에는 전년보다 10조 2천억 원 급증한 57조 4천억 원을 기록했다가 지난해 60조 원을 돌파하며 10년 새 2.4배로 증가했습니다.
근로소득세 증가에도 전체 세수가 줄며 근로소득세 비중은 확대됐습니다.
지난해 근로소득세는 국세 수입의 18.1%를 차지했습니다.
근로소득세 비중은 2005년 8.2%에서 2010년 10%대에 진입한 뒤 2014∼2018년 12%대로 확대됐고, 그 뒤로도 꾸준히 증가해 지난해 18%대에 진입하면서 관련 통계가 확인된 2005년 이래 최대 비중을 기록했습니다.
이에 반해 경기 악화로 기업 실적은 부진해 법인세는 2년째 감소했습니다.
지난해 법인세는 62조 5천억 원 걷혀 전년보다 17조 9천억 원 급감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