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증여보다 상속이 취득세율 낮아 유리
상속받아 2주택자 돼도 5년간 1주택자 인정
집 팔 때 양도세 ‘비과세 특례·중과세 면제’도

일러스트=챗GPT 달리3

50대 오모씨는 2022년 1월 지방에 있는 5억원 상당의 아파트 한 채를 매수해 실거주 중이다. 이후 회사를 옮겨 서울로 이사하려고 계획을 짜던 중 아버지로부터 주택을 미리 증여받는 것은 어떠냐는 제안을 받았다. 아버지는 현재 서울에 있는 매매가 20억원가량의 아파트 한 채를 보유하고 있다. 문제는 세금이다. 증여세는 말할 것도 없고, 2주택 보유로 각종 부동산 세금 부담만 늘어나는 것은 아닌지 걱정이 크다.


우리나라는 가계가 보유한 자산 중 부동산이 차지하는 비중이 80%에 육박한다. 당연히 부모로부터 물려받는 자산의 대부분은 주택 등 부동산이다. 부동산 세금은 크게 취득세, 보유세(재산세·종합부동산세), 양도소득세로 나뉜다. 무시할 수 없는 부동산 세금. 오씨의 사례를 통해 부동산 세금이 상속, 증여 시 각각 어떻게 적용되는지, 세제 혜택은 없는지 등을 살펴보자.

취득세, 증여는 ‘시가’로 상속은 ‘공시가’로 매겨
부동산 등을 취득할 때 내는 세금인 ‘취득세’는 증여보단 상속이 절세에 유리하다. 증여는 시가인정액(매매사례가액·감정평가액·경매 및 공매 금액)을 기준으로 과세하지만, 상속은 시가표준액(공시가격)으로 과세하기 때문이다. 공시가격은 보통 시가보다 30%가량 낮다.

취득세도 상속이 더 유리하다. 상속 주택엔 3.16%(지방교육세, 농어촌특별세 포함)의 취득세율이 적용되는데, 상속인이 무주택자일 경우 더 낮은 세율인 0.96%가 적용된다. 반면 증여를 받을 경우 4%의 세율이 적용된다. 만약 조정대상지역 내 3억원 이상의 주택을 증여받을 경우 12.4~13.4%의 증여 취득세율이 적용된다. 만약 오씨가 서울 조정대상지역(서초구·강남구·송파구·용산구)에 있는 주택을 증여받는다면 취득세는 2억4800만원이다.

그래픽=정서희

상속 주택은 5년간 주택 수 계산서 빼…종부세 부담↓
부동산을 보유하면 내야 하는 ‘종부세’ 역시 상속이 더 많은 세제 혜택을 받는다. 우선 오씨는 주택을 상속받아도 5년간 1가구 1주택자 지위를 유지할 수 있다. 상속을 받은 날로부터 5년까지는 상속 주택을 주택 수에 더하지 않기 때문이다. 그렇다고 종부세를 아예 과세하지 않는단 의미는 아니다. 과세 표준(세금을 매기는 기준)에는 합산된다.

이밖에 ▲상속 지분이 전체 주택 지분의 40% 이하인 주택 ▲상속 지분의 공시가격이 수도권 6억원, 지방 3억원 이하인 주택 중 하나의 요건에 해당해도 상속 주택은 기간 제한 없이 주택 수에서 제외한다.

오씨의 경우 상속 즉시 종부세를 내야 한다. 종부세는 공시가격을 기준으로 계산하는데, ‘공동주택 공시가격 반영률(69%)’을 단순 적용하면 오씨가 보유한 주택과 상속 주택의 공시가격은 각각 3억4500만원, 13억8000만원으로 총 17억원가량이다. 다행히 5년간은 1가구 1주택자로 인정돼 기본 공제액 12억원(부부 공동명의 1주택자는 18억원)이 적용, 5억원에 대한 종부세만 내면 된다.

오씨가 아버지 생전에 주택을 증여받을 경우 유예 기간 없이 1가구 2주택자가 된다. 이땐 기본 공제액이 12억원에서 9억원으로 줄어, 오씨는 8억원에 대한 종부세를 내야 한다. 지난 2023년 2주택자 종부세 중과가 폐지돼, 종부세율은 1주택자나 2주택자나 과세 표준에 따라 0.5~2.7%가 동일하게 적용된다. 그러나 3주택자 이상은 0.5~5%가 부과된다.

상속 후 주택 팔 때 양도세 ‘비과세 특례’도
주택 매도 시 내는 ‘양도세’도 상속과 증여에 따라 차이가 난다. 오씨가 주택을 상속받은 후 1채는 처분하기로 마음먹었다면, 기존 보유 주택을 매도하는 것이 유리하다. ‘상속 주택 비과세 특례’가 적용되기 때문이다.

소득세법 시행령 155조 제2항은 상속으로 2주택자가 된 경우 기존 주택을 양도할 시 1주택자로 간주해 1가구 1주택 비과세를 적용받을 수 있도록 했다. 1가구 1주택 비과세 요건은 ‘2년 이상 보유(취득 당시 조정대상지역 내 주택은 2년 이상 거주), 양도금액 12억원 이하’다. 김씨가 기존 주택을 취득한 지 2년이 넘었고, 시가가 5억원 상당이기 때문에 내야 할 양도세는 없다.

오씨가 상속 주택을 먼저 처분하면 비과세 특례는 적용되지 않는다. 다만 5년 내 양도하면 양도세 중과세는 면할 수 있다. 현행 소득세법은 다주택자가 보유한 주택을 양도할 때 중과세율을 적용한다. 현재는 시행령 개정을 통해 한시적으로 다주택 양도세 중과를 유예하고 있는데, 기간은 내년 5월 9일까지다.

주택을 증여받으면 비과세 특례, 양도세 중과세 면제 혜택은 모두 적용받을 수 없다. 이뿐만 아니라 증여를 받은 후 10년 이내에 주택을 양도하면 양도세 계산 시 취득가액을 증여가액이 아닌 증여자의 애초 취득가액으로 계산해 절세에 불리할 수 있다.

조선비즈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3533 다민족 국가는 코스프레... '관광 상품'으로 전락한 중국의 소수 민족 [칸칸 차이나] 랭크뉴스 2025.02.17
43532 [속보] 트럼프 "푸틴과의 만남 곧 이뤄질 수도" 랭크뉴스 2025.02.17
43531 ‘명태균 의혹’ 조만간 중간수사 발표… 검찰, 김건희 여사 소환조사 등 검토 랭크뉴스 2025.02.17
» »»»»» [똑똑한 증여] 아파트 물려줄 때 증여냐 상속이냐… 취득세·종부세·양도세 따져보니 랭크뉴스 2025.02.17
43529 과격행동 거듭하는 '디시의 청년들'…한국판 '재특회' 꿈꾸나 랭크뉴스 2025.02.17
43528 [단독] 민주당, ‘이대남’ 맞춤 전략 안 낸다…젠더통합 정책 집중 랭크뉴스 2025.02.17
43527 [속보] 트럼프 "푸틴과의 만남 매우 곧 이뤄질 수도" <로이터> 랭크뉴스 2025.02.17
43526 이번 주 추가 변론 기일 진행…증인 신문 어떻게? 랭크뉴스 2025.02.17
43525 배우 김새론 자택서 숨진 채 발견…"최초 발견자는 친구" 랭크뉴스 2025.02.17
43524 고평가 논란 뛰어넘으려면 M&A뿐... 유망 식음료 업체 찾아나선 백종원 랭크뉴스 2025.02.17
43523 지난해 '월급쟁이'가 낸 세금 60조원 돌파…법인세만큼 커졌다 랭크뉴스 2025.02.17
43522 트럼프가 '부가가치세'를 상호관세 빌미로 삼는 이유는? 랭크뉴스 2025.02.17
43521 한동훈 “머지않아 찾아뵙겠다”…여당 ‘조기 대선 모드’ 가속화? 랭크뉴스 2025.02.17
43520 전광훈엔 선 그었다…금남로 '반탄 3만' 동원한 기도회 실체 랭크뉴스 2025.02.17
43519 이상기후에 과일 수입량 늘었다…작년 수입액 2조원 '역대 최대' 랭크뉴스 2025.02.17
43518 배관실 최초 불꽃에 “불이야”…‘자동화재신고장치’도 없었다 랭크뉴스 2025.02.17
43517 '파과' 민규동 감독 "액션배우 이혜영 신선한 경험 될 것" 랭크뉴스 2025.02.17
43516 내다 버린 물김만 5200톤…돈 되자 달려든 불법양식에 김 산지 초토화 랭크뉴스 2025.02.17
43515 [단독]조지호 "체포조 지원 지시 안했다"…그날밤 11시59분 진실 랭크뉴스 2025.02.17
43514 [국제금융캘린더] 대형지표 부재 속 '트럼프 입'에 주목 랭크뉴스 2025.02.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