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오랜만에 서 본 옛 터전은 낯설었다. 수십 년 전 이곳 성수동 연무장길에서 개업한 유홍식 구두 명장은 치솟는 임대료를 감당하지 못해 대로 너머로 떠나야 했다.
연무장길 주인은 구두장이였다. 2010년대 초만 해도 대림창고를 중심으로 한 그 길 양편으론 700~800개에 달하는 신발공장과 공방, 제화점 및 제화 부자재 상점들이 늘어서 있었다.

하지만 옛날이야기다. 그 서울 성수동의 중심 거리는 이제 화려한 카페와 팝업스토어들이 장악하고 있다. 거기서 밀려난 서울시 구두 명장 1호 유홍식(76)씨가 씁쓸하게 그 거리를 바라보면서 한숨을 내쉬었다. 56년 구두 인생을 걸어 온 그는 최근 가게를 성수역 북쪽의 다소 외진 곳으로 옮겼다. 벌써 몇 번째 이사인지 모른다. 천정부지로 치솟은 임대료 때문이다. 화제가 팝업스토어에 이르자 유씨가 흥분하기 시작했다.

“그 팝업이라는 것은 하는 사람이나, 세를 준 사람이나 다 도둑이야. 큰 회사에서 한 보름 쓰고 몇억 내놓는 거 일도 아니게 알더라고. 그러니까 집주인들은 간이 배 밖으로 나오게 되고 임대료가 끝 간 데 없이 오른 거지.” 그렇게 팝업의 성지 성수동 연무장길은 화려한 외양 아래에서 원한을 쌓아 가고 있었다.

바닥인 줄 알았는데 지하실이 있었다. 설상가상으로 웅덩이도 있다. 이제는 한계 상황이라는 말조차 사치스러워진 자영업자 이야기다. 그 지하실 속 웅덩이에 빠져 허우적거리는 자영업자들을 정권과 정부는 몽둥이로 두들기기까지 했다. 비상계엄이라는 엄청난 사태의 뒤안길에서 소비심리는 추락했고, 자영업자의 삶은 앞을 내다보기 어려울 정도로 악화했다.



임대료에 짓눌려…17년 음식장사, 무일푼으로 쫓겨났다
자영업자 이재식씨가 “‘임대 갑질’에 시달리고 있다”며 얼굴을 감싸쥐고 있다.
그들을 힘들게 만드는 요인 중 하나가 임대 갈등이다. 자영업자는 대부분 임차인이다. 고공 행진하는 임대료를 속수무책으로 수용해야 하며 일부는 불법 갑질까지 감내해야 한다. 그걸 감당할 능력이 없거나 그게 싫으면 짐을 싸는 수밖에 없다. 그들에게 성수동은 악명이 높다. 이른바 ‘핫플레이스’가 됐지만, 수혜를 본 이들은 건물주 등 소수다. 공연히 임대료만 덩달아 오를 뿐이었다.

김영옥 기자
지난달 12일 찾은 연무장길에서 신발가게는 찾아보기 어려웠다. 두세 곳 정도만 겨우 명맥을 유지하고 있었다. 벌이가 뻔한 대부분의 제화업자에게는 너무도 비싸진 그 거리에서 가게를 유지할 여력이 없다. 능력이 있어도 공간을 구하기는 쉽지 않다. 팝업스토어 입점만 기다리면서 멀쩡한 공간을 비워두는 건물주가 드물지 않기 때문이다. 이런 현상은 공급 부족→임대료 상승→둥지 내몰림(젠트리피케이션)의 악순환으로 이어진다. 연무장길에서 밀려난 영세 자영업자들은 ‘성수동구길’이나 성수역 북쪽에 마지노선을 긋고 버티다가 그마저 사수하는 데 실패하면 경기도 외곽으로 튕겨난다.

그렇게 성수동 사수에 실패한 이 중 한 명이 김정자(70·여·가명)씨다. 그는 최근 17년 음식장사를 빈손으로 마무리했다. 권리금 한 푼 받지 못했다. 상인들이 쓰는 표현을 빌리자면 발가벗겨져서 쫓겨난 것이다. ‘코로나19’의 직격탄으로 빈사상태에 몰렸던 그는 건물주의 ‘임대료 5% 인상’ 요구를 수용할 수 없었다. 이미 두 차례 5%씩 인상해 주면서 660만원까지 치솟은 월세였다.

김영옥 기자
김영옥 기자
그렇다고 그냥 나갈 수는 없었다. 권리금을 한 푼이라도 받아야 했기 때문이다. 그는 이미 6년 전 아픈 경험을 했다. 11년 동안 장사를 하면서 토대를 튼튼하게 다졌던 원래 가게 자리에서 무일푼으로 쫓겨났다.

“건물주가 ‘자리를 먼저 비워주면 2000만원을 드리겠다’고 해서 순진하게 나왔는데 끝내 받지 못했어요.”

차준홍 기자
김씨는 모진 마음을 먹었다. ‘진상’ 소리를 들어가면서 무대응으로 1년을 버텼다. 또다시 발가벗겨져서 쫓겨나는 것만은 피하고 싶어서였다. 하지만 건물주가 부동산 중개업소에 내놓으면서 내건 임대료는 월 900만원. 후임자는 결국 나타나지 않았고, 김씨는 원상회복까지 해 준 뒤 간판을 내려야 했다.

차준홍 기자
“건물주와 임차인이 서로 상생해야 맞는 것 아닙니까? 그런데 현행법은 건물주만 살리는 법이에요. 건물주가 칼자루를 쥐고 우리는 칼날을 잡고 있으니 어쩔 수가 없어요.”

김씨의 마지막 토로가 살아남지 못한 자영업자들의 심사를 대변했다.

“내가 지금 창자가 녹아서 없어질 지경이에요.”

중앙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4366 이재명 대장동 재판부 바뀐다…재판장 이동 신청·배석 교체 랭크뉴스 2025.02.18
44365 이재용 복귀 무산...삼성전자, 신임이사 3명 모두 '반도체 전문가' 랭크뉴스 2025.02.18
44364 마음 급한 오세훈·홍준표 '명태균 리스크' 암초... 특검에 검찰 수사까지 첩첩산중 랭크뉴스 2025.02.18
44363 난동 부리더니 "오줌 싸버린다"…고속버스 만취남 소변 테러 랭크뉴스 2025.02.18
44362 990원 핫바·2000원대 피자…편의점 업계, 너도나도 '초저가 전략' 랭크뉴스 2025.02.18
44361 [단독] 윤석열 “이재명은 비상대권 조치 필요“…정적 제거용 계엄 랭크뉴스 2025.02.18
44360 與 김장겸, ‘오요안나 방지법’ 발의… “직장 내 누구나 피해자 인정” 랭크뉴스 2025.02.18
44359 "남편이 혼자 못 키울까봐"…20억 빚 때문에 자녀와 극단선택 시도한 친모 랭크뉴스 2025.02.18
44358 “용왕님이 허락하셨다”…183㎝ 돗돔, 낚싯줄로 잡혀 랭크뉴스 2025.02.18
44357 국회 탄핵소추단 “윤석열, 복귀하면 또 계엄 선포…파면해야” 랭크뉴스 2025.02.18
44356 ‘캡틴아메리카 코스프레’ 남성 단독인터뷰…“‘선관위 간첩’ 기사 정보원은 나” 주장 랭크뉴스 2025.02.18
44355 진선규 “시도 때도 없이 맞았다” 가정폭력·학교폭력 고백 랭크뉴스 2025.02.18
44354 [단독]기업 도산 앞서 '사전 구조조정' 도입 랭크뉴스 2025.02.18
44353 헌재 왔다 갑자기 돌아간 尹‥3월 중순 선고 가능성 높아져 랭크뉴스 2025.02.18
44352 "중국인 간첩 99명 체포" 황당 보도 기자 출금...'캡틴 아메리카'가 출처? 랭크뉴스 2025.02.18
44351 김경수는 친문, 김부겸은 원외…비명 '세 불리기' 시작됐다 랭크뉴스 2025.02.18
44350 제주서 낚시로 잡은 ‘전설의 심해어’ 돗돔… 길이 183㎝에 140㎏ 랭크뉴스 2025.02.18
44349 "내일 더 추워져요"… 아침 최저 -13도 '꽁꽁' 랭크뉴스 2025.02.18
44348 尹탄핵심판 중간결산…"국민 배신해 파면"vs"대국민 호소 계엄"(종합) 랭크뉴스 2025.02.18
44347 “2시간 안 쓰면 나중에 더 주나요?”…헌재서 벌어진 ‘시간 흥정’ [지금뉴스] 랭크뉴스 2025.0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