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비용 부담 낮고 볼거리 풍부
수요 증가에 중국 노선 확대

지난해 12월 쓰촨성 청두시 여행을 다녀온 김모(35)씨는 중국 여행에 빠졌다. 올해는 산둥성 쯔보시로 여행 갈 예정이다. 쯔보시는 중국 젊은이들 사이에서 소셜미디어를 통해 입소문을 타면서 인기 여행지로 꼽히고 있다. 김씨는 “항공료, 현지 숙박비, 음식값 등이 모두 저렴한 게 중국 여행지의 장점”이라며 “무비자로 편리해진 데다 여행비 부담이 적다는 것이 무엇보다 매력적”이라고 말했다.

김씨처럼 중국으로 여행하는 이들이 늘고 있다. 16일 국토교통부 항공정보포털시스템에 따르면 지난달 중국 여행을 떠난 여객 수는 121만4455명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같은 기간 87만3329명 대비 39.1% 늘어난 수치다.


지난해 11월 시작된 무비자 정책의 영향으로 분석된다. 중국은 한국 등 9개국을 대상으로 올해 말까지 무비자 입국을 허용하기로 했다. 중국 여행객 수는 최근 3개월 연속 상승세를 기록했다. 중국 여행객 수는 무비자 정책 시행 첫 달인 지난해 11월 106만5281명에서 한 달 뒤인 12월 114만6224명으로 늘었다. 지난달엔 120만명을 넘어섰다.

중국 여행이 인기를 끄는 이유로는 비자 발급 절차와 비자 비용 부담이 사라지면서 여행 접근성이 커진 점, 항공권이 저렴한 점, 볼거리·먹거리가 풍부한 점 등이 꼽힌다. 태국 등 동남아시아 여행 계획을 짜던 이모(55)씨도 중국 무비자 정책에 여행지를 바꿨다. 지난 1월 친구들과 중국 산시성 시안을 다녀왔다. 이씨는 “진시황릉, 병마용갱 등 볼거리가 정말 많았다”며 “다음엔 중국 내 다른 지역을 가볼까 한다”고 말했다.

항공사들은 중국 노선 공급을 늘릴 예정이다. 정부가 대한항공·아시아나항공의 합병에 따라 일부 운수권과 슬롯을 재분배하기로 하면서 중국 노선 공급이 늘어날 여지가 더 생겨났다. 장자제, 시안, 베이징, 상하이 노선이 인기가 높을 것이란 전망이 업계에서 나온다.

중국 여행 수요 또한 더 많아질 것으로 전망한다. 성수기를 피해 본인이 원하는 시기에 즉흥적인 여행을 떠나는 이들이 증가한 것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무비자 정책으로 중국 자유여행이 가능해지면서 젊은 층으로 수요가 확대될 수 있기 때문이다.

업계 관계자는 “그동안 중국은 50~60대 사이에서 인기가 높았는데, 자유여행이 수월해지면서 색다른 여행지를 찾는 젊은 여행객이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국민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3493 복귀작이 유작으로…김새론 비보에 김옥빈, '국화꽃' 애도 랭크뉴스 2025.02.17
43492 최상목 대행, 방미 앞둔 최태원 등 만나 “미 신정부와 협력해나갈 기회 발굴해달라” 당부 랭크뉴스 2025.02.17
43491 ‘상호관세’ 불 끄러 미국 가는 정부…‘철강관세’는 득 될 수도 랭크뉴스 2025.02.17
43490 美 증시, 트럼프 관세 위협에 '인내심'…투자자 불안감은 여전 랭크뉴스 2025.02.17
43489 배우 김새론, 자택에서 숨진 채 발견…향년 25세 랭크뉴스 2025.02.17
43488 "내일 월급 나오면 갚을게요" 외상했는데…'먹튀'한 20대 실형 선고 랭크뉴스 2025.02.17
43487 질서 Yuji [한겨레 그림판] 랭크뉴스 2025.02.17
43486 “제발 그만 좀…” 생전 거센 여론 마주했던 김새론 랭크뉴스 2025.02.17
43485 비싼 화장품 써도 여드름이 난다고요? ‘이것’ 드셔보세요 랭크뉴스 2025.02.17
43484 야당 ‘계엄군 국 회 단전’ 영상 공개, 윤측 “대통령 지시 안 해” 랭크뉴스 2025.02.17
» »»»»» 무비자 시행 3개월, 중국 여행객 40% 안팎 늘었다 랭크뉴스 2025.02.17
43482 美 “향후 몇주간 러시아와 협상… 적절한 시기 한자리 모을 것” 랭크뉴스 2025.02.17
43481 '농약 우롱차' 논란에 고개 숙인 현대백화점 "즉시 영업 중단…환불 조치할 것" 랭크뉴스 2025.02.17
43480 尹측, 5가지 ‘불공정’ 주장… 대부분 “위법하지 않다”가 우세 랭크뉴스 2025.02.17
43479 TSMC, 인텔 공장 품나…미국·대만 실리콘동맹, 한국은? 랭크뉴스 2025.02.17
43478 “콜 차단으로 손해” 타다, 카카오모빌리티에 100억 손배소 랭크뉴스 2025.02.17
43477 美 "향후 몇주간 러와 협상…적절한 때 모두를 한자리에 모을것" 랭크뉴스 2025.02.17
43476 ‘부가세=대미관세’ 간주한 트럼프… 한국도 직접 영향 랭크뉴스 2025.02.17
43475 인천서 노부부 집 방화…4시간 만에 붙잡힌 '의외의 범인' 정체 랭크뉴스 2025.02.17
43474 트럼프 “부가세가 곧 대미 관세”…한국, 상호관세 영향권 드나 랭크뉴스 2025.02.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