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CTV 공개… “경고용” 尹 주장 반박
일부 언론사 단전·단수도 수사 촉구
일부 언론사 단전·단수도 수사 촉구
국회 비상계엄 진상규명 국정조사특별위원회 소속인 한병도(왼쪽)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16일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12·3 비상계엄 선포 당시 국회 단전 조치에 나선 계엄군 모습이 담긴 CCTV 영상을 공개하고 있다. 이병주 기자
12·3 비상계엄 선포 당시 국회에 진입한 계엄군이 본관 일부 층에 실제 단전 조치를 실시했던 것으로 뒤늦게 드러났다. 더불어민주당은 이 같은 내용이 담긴 CCTV 영상을 토대로 계엄이 ‘경고용’이었다는 윤석열 대통령 측 주장을 반박했다.
국회 ‘비상계엄 진상규명 국정조사특별위원회’ 소속 민주당 의원들은 16일 기자회견을 열고 관련 장면이 담긴 다수의 국회 본관 CCTV 영상 사진을 공개했다.
지난해 12월 4일 오전 1시를 전후해 녹화된 해당 촬영본엔 김현태 707특수임무단장을 비롯한 계엄군 16명이 본관 지하 1층으로 이동해 해당 층의 조명을 차단한 정황이 담겼다. 계엄 해제 요구안이 본회의를 통과한 지 5분여 뒤인 오전 1시7분쯤 시작된 단전 상태는 이후 군이 지하 통로를 이용하기 위해 차단기를 다시 올릴 때까지 5분48초간 계속됐다.
앞서 김 단장은 지난 6일 헌법재판소에서 열린 윤 대통령 탄핵심판에 출석해 국회 단전 시도 관련 통화 내용을 증언한 바 있다. 계엄 당시 곽종근 특수전사령관이 전화로 “전기라도 차단할 방법이 없겠느냐”고 물어 “찾아보겠다”고 답했다는 내용이다.
민주당은 이 같은 단전 시도가 국회의 의결을 막으려던 윤 대통령의 지시에서 비롯됐다고 지적했다. 국조특위 위원들은 “지하가 아닌 본관 전체의 전기를 끊었거나 그 조치가 조금 일찍 이뤄졌다면 국회는 어둠 속에서 혼란에 빠져 비상계엄을 해제하지 못했을 것”이라고 말했다.
윤 대통령 측은 비상계엄 선포가 국회에 대한 ‘경고성’ 조치였다고 일관되게 주장해 왔다. 지난해 12월 12일 대국민 담화에선 “국회 기능을 마비시키려 했다면 단전·단수 조치부터 취했을 것”이라고 말하기도 했다.
민주당은 국회뿐 아니라 일부 언론사에 대한 단전·단수 지시 정황도 국정조사 과정에서 드러났다며 수사를 촉구했다. 국조특위 위원들은 “(윤 대통령은) 국회 병력 투입이 질서 유지 목적이었다는 뻔뻔한 거짓말로 국민을 기만하지 말라”며 “지금이라도 국민 앞에 진실을 밝히고 사죄하는 것만이 역사 앞에 더 이상의 죄를 짓지 않는 길”이라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