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장면 이후 ‘암흑’ ‘내란 혐의 진상규명 국정조사특별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위원들이 16일 국회에서 긴급 기자회견을 열고 12·3 비상계엄 당시 국회에 진입한 계엄군이 국회 본관의 일부 전력을 차단하는 모습이 담긴 폐쇄회로(CC)TV 영상을 공개하고 있다. 펜으로 지목한 부분은 계엄군이 본관 지하 1층 분전함 쪽으로 달려가는 모습. 성동훈 기자
민주당, 당시 국회 CCTV 공개
본관 지하 1층 5분48초간 단전
계엄 해제 의결 저지 시도 ‘증거’
윤 측 “곽종근 지시로 생긴 일”
12·3 비상계엄 당시 국회에 진입한 계엄군이 국회 본관의 일부 전력을 차단한 사실이 확인됐다고 더불어민주당이 16일 밝혔다.
민주당은 계엄 문건과 일부 증언으로만 언급됐던 국회 단전이 실제 확인된 만큼, 향후 윤석열 대통령의 헌법 위반과 범죄 혐의 증명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고 있다.
‘윤석열 정부의 비상계엄 선포를 통한 내란 혐의 진상규명 국정조사특별위원회’ 소속 민주당 위원들은 이날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지난해 12월4일 새벽 국회에 진입한 계엄군이 본관 일부 전력을 차단한 사실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비상계엄 당시 국회에 출동한 병력이 단전을 계획한 사실 등은 알려졌으나 구체적인 이행 상황은 확인되지 않았다. 윤 대통령은 지난해 12월12일 대국민 담화에서 “국회를 마비시키려 했다면 단전·단수부터 했을 것”이라며 단전 지시를 하지 않았다는 취지로 주장한 바 있다.
민주당 위원들은 국회사무처가 공개한 폐쇄회로(CC)TV 영상 등을 근거로 당시 지하 1층 전력이 실제 차단됐다고 설명했다. 영상을 보면 본관 2층에 모여 있던 군인 7명이 엘리베이터를 통해 지하 1층에 내려간 뒤 몇분 지나지 않아 지하층 조명이 꺼졌다.
계엄군 7명은 4일 오전 1시1분쯤 지하 1층에 내려간 것으로 확인됐다. 이들은 오전 1시6분26초에 지하 1층 분전함을 열고 일반조명 차단기와 비상조명 차단기를 내렸다.
민주당 위원들은 “단전 조치는 약 5분48초간 지속됐다”고 했다. 7명은 4일 0시32분쯤 김현태 707특수임무단장을 포함해 국회 본관 2층 창문을 깨고 내부로 진입한 계엄군 16명 중 일부인 것으로 전해졌다.
민주당 위원들은 “(단전 조치는) 새벽 1시1분쯤 국회가 ‘비상계엄 해제 요구 결의안’을 통과시키고 불과 5분여 후에 일어난 일”이라며 “계엄군이 본관 전체의 전기를 끊었거나 그 조치가 조금 일찍 이뤄졌다면 국회는 혼란에 빠져 비상계엄을 해제하지 못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들은 “계엄군은 당초 본회의장이 있는 2층에도 진입을 시도했지만 직원들에 막혀 (진입하지) 못했다”며 “2층 분전함도 계엄군에 노출돼 단전됐다면 본회의를 진행할 수 있었을까 하는 생각이 든다”고 했다.
민주당 측은 “영상은 윤석열이 국회를 마비시켜 계엄 해제 의결을 저지하려 했다는 것을 뒷받침할 주요 증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윤 대통령 법률대리인단은 이날 “(민주당 발표는) 사실의 왜곡과 조작”이라며 “대통령과 국방부 장관은 곽종근 전 특수전사령관에게 단전 지시를 한 사실이 없다”고 밝혔다. 곽 전 사령관의 지시에 따라 이뤄진 조치라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