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상원 전 국군정보사령관이 현역 시절인 2016년 10월5일 오전 국회 국방위원회의 국방부 국정감사에 출석해 인사하고 있다. 이정우 선임기자 [email protected]
12·3 내란의 비선으로 꼽히는 노상원 전 정보사령관이 김봉규 정보사 대령에게 사격·폭파를 잘하는 인원을 추천하라고 지시한 사실이 16일 확인됐다. 비상계엄 당시 정보사의 임무는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장악이었고, 이를 위해 사격·폭파 능력이 필요없는 상황이었기 때문에 노 전 사령관이 자신의 수첩 속 계획 실행을 위한 정보사 요원을 선발하려 한 것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된다. ‘노상원 수첩’에는 이른바 ‘수거 대상’을 폭파 방식으로 제거하는 방안이 여러 차례 언급된다.
김 대령은 지난해 검찰 조사에서 “조금 특이한 상황이 있었다”며 “(지난해 10월 초중순) 노 전 사령관이 전화를 해서 ‘특수요원 중에 사격 잘하고 폭파 잘하는 인원 중에 한 7~8명을 나에게 추천 좀 해달라’고 이야기했다”고 밝혔다. 김 대령은 이어 “(지난해) 10월 말경에 노 전 사령관으로부터 텔레그램 전화가 와서 특수부대 요원으로 5명 정도를 선발하고, 우회공작(제3자를 통한 공작) 인원으로 15명 정도를 선발”하라고 했다고 검찰에 진술했다.
당시 노 전 사령관은 “특수부대 쪽은 특수무술 잘하는 인원으로 선발”하고 “우회공작 인원도 마찬가지로 일 잘하는 인원을 선발하라”라고 했다고 한다. 실제 비상계엄 당일에는 사격·폭파 인원이 아닌 무술이 뛰어난 북파공작원부대(HID) 요원 5명이 경기도 판교에 있는 정보사 100여단에 대기하고 있었다.
한겨레가 입수한 70쪽 분량의 ‘노상원 수첩’에는 수거 대상을 “민간 대형 선박”이나 “폐군함”에 실어 “연평도(로) 이송”하고 “(집행인원은) 실미도 하차 후 이동간 적정한 곳에서 폭파하도록 한다”는 계획이 등장한다. 민통선 이북에서 수거 대상을 사살하는 방안을 거론하는 대목에서도 “막사 내 잠자리 폭발물 사용”이라는 문구도 나온다. 그리고 이런 계획을 집행하는 주체로 ‘특수 요원’이 언급됐다. 노 전 사령관이 정보사 요원을 활용해 수첩 속 계획을 실행하려 한 것 아니냐는 의심이 나오는 이유다.
민간인인 노 전 사령관이 이처럼 정보사를 좌지우지할 수 있었던 것은 ‘국방부 장관’이라는 ‘뒷배’가 있었기 때문이다. 문상호 전 정보사령관은 검찰 조사에서 노 전 사령관이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과 자주 전화했고 지난해 10월 중순께 “고위급 탈북 징후가 있으니 임무수행 잘할 만한 애들 추려봐라” 등의 지시를 했다고 진술했다. 이어 “아무래도 ‘왜 이런 일을 시키는지’ 의구심이 있던 상황”이어서 “(하루는 노 전 사령관과 통화에서) 소극적으로 퉁명스럽게 대응을 하다 보니 노상원이 제게 ‘너 나 못 믿냐’라고 했고, 제가 ‘아닙니다’라고 말했더니 ‘너 좀 있으면 장관이 너한테 전화할 거야. 전화 받아봐’라고 했고, 10분 내로 장관님으로부터 전화가 왔다”고 검찰에 밝혔다.
김 전 장관은 당시 문 전 사령관과의 통화에서 “노상원을 잘 도와주라”고 말했다고 한다. 이후 문 전 사령관은 김 대령 등에게 “장관님 전화를 받았다. 노상원 일하는 걸 도와주라고 하시더라. 결국 장관님 지시하신 사항들이다”라고 말했고, 정보사는 비상계엄 때도 노 전 사령관의 지시에 따라 선관위 장악 업무 등을 수행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