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공공일자리 덕에 취업자 늘었지만
청년층 22만명 감소 4년만에 최악
고용률도 1.5%P 하락 44% 그쳐
기재부 "경기하방 압력 큰폭 증가"
14일 서울 마포구 서울서부고용복지플러스센터에서 한 구직자가 구인정보를 보고 있다. 연합뉴스.

[서울경제]

최근 국내 주요 대기업들이 신입 정기 채용을 대폭 줄이고, 수시 채용을 확대하는 흐름을 보이면서 청년층 취업 시장이 더욱 얼어붙고 있다. 이에 따라 정부가 올 3월까지 역대 최대인 120만 개의 직접 일자리를 만들고 공공기관 신규 채용을 늘리기로 했다.

14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5년 1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취업자 수는 2787만 8000명으로 전년 대비 13만 5000명 증가했다. 지난해 12월 전년 대비 5만 2000명 감소했던 취업자 수는 한 달 만에 다시 늘었다. 보건업·사회복지서비스업(11만 9000명)과 전문과학·기술서비스업(9만 8000명), 정보통신업(8만 1000명) 등을 중심으로 취업자가 증가했다.

반면 건설업 취업자는 16만 9000명 줄어 2013년 산업분류 개편 이후 가장 크게 줄었다. 건설업 취업자는 9개월 연속 감소하고 있다. 제조업 취업자도 5만 6000명 줄었다.

건설 취업자 감소는 정부의 대출 규제 강화로 건설사들이 신규 프로젝트를 줄이면서 현장 인력 수요가 줄어든 영향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여기에 원자재 가격까지 뛰면서 상당수 건설사들이 신규 프로젝트를 연기하거나 중단하는 등 적극적인 사업 확장을 꺼리고 있다. 특히 건설업 특성상 프로젝트 단위 계약이 많아 업황 악화 시 고용 조정이 빠르게 이뤄진다. 건설업 취업자 감소가 향후 경기 침체가 더욱 심화될 가능성을 보여주는 신호라는 분석도 나온다.

연령별로는 청년층(15~29세) 취업자 수 감소가 두드러졌다. 청년층 취업자 수는 전년 대비 21만 8000명 줄면서 2021년 1월(-31만 4000명) 이후 4년 만에 최대 감소 폭을 기록했다. 같은 기간 청년층 고용률도 44.8%로 1.5%포인트 하락하며 2021년 1월(-2.9%포인트) 이후 가장 큰 낙폭을 보였다. 그동안 정부는 청년층 취업자 수가 줄어드는 원인으로 청년층 인구 감소를 꼽았는데 이를 반영한 고용률까지 떨어지면서 청년 고용을 늘리기 위한 특단의 대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반면 60세 이상과 30대 취업자는 이 기간 각각 34만 명, 9만 8000명 증가했다.

전문가들은 최근 청년층 고용이 크게 악화된 이유 중 하나로 대기업들의 정기 공채 폐지와 수시 채용 확대를 꼽고 있다. 과거에는 상·하반기 대규모 신입 공채가 열려 청년들이 준비된 일정에 맞춰 취업을 준비할 수 있었지만 이제는 기업들이 필요할 때만 인력을 채용하는 수시·경력 채용 방식으로 전환하면서 청년층이 원하는 시기에 취업할 기회가 줄어들었다는 것이다.

실제 HR테크기업 인크루트에 따르면 올해 채용 계획을 확정 지은 대기업 비중은 54%에 불과해 전년 대비 13.0%포인트 떨어지며 기업 규모 중 가장 큰 하락률을 보였다. 올해 대기업 채용 방식에서 경력직 수시 채용의 비율이 전년 대비 27.5%포인트 상승한 반면 대졸 정기 공채는 19.8%포인트 감소해 큰 폭으로 떨어졌다.

정부는 경기 부진 장기화를 우려하고 있다. 기획재정부는 이날 발표한 ‘최근 경제동향(그린북)’ 2월호에서 “소비·건설투자 등 내수 회복이 지연되고 취약 부문 중심 고용 애로가 지속되는 가운데 대내외 불확실성에 따른 경제심리 위축 등으로 경기 하방 압력이 증가했다”고 밝혔다. 두 달 연속 경기에 대해 경기 하방 압력이 증가했다고 진단한 데 이어 이달에는 ‘내수 회복 지연’이라는 표현이 새롭게 들어갔다. 정부는 “1분기 민생·경제 대응 플랜을 통해 일자리·서민금융·소상공인 등 분야별 개선 조치를 신속히 마련하겠다”며 “미국 관세 부과에 따른 우리 기업의 피해를 지원하기 위해 첨단전략산업기금을 설치하는 등 통상 환경 불확실성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겠다”고 강조했다.

또한 고용시장 개선을 위해 올해 공공기관 신규 채용을 지난해 2만 명에서 2만 4000명으로 늘리기로 했다. 여기에 경제단체와 정부 간 ‘고용 애로 해소 핫라인’을 구축해 기업의 고용 관련 현장 애로를 적극 청취하고 실효적인 개선책을 마련할 예정이다.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재부 장관은 이날 민생경제점검회의에서 “신속 채용으로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 직접 일자리를 1분기까지 역대 최대 수준인 120만 개 이상 창출하겠다”고 말했다.

서울경제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3980 암수술도 장기이식도 못해…눈 감을 날만 기다리는 비극 [의정 갈등 1년] 랭크뉴스 2025.02.18
43979 청년층 스며든 반중 정서 자극해 '혐중 몰이'... 보수의 위험한 도박 랭크뉴스 2025.02.18
43978 멕시코서 K팝 즐긴다는 이유로 교내 따돌림 받아…온라인 공분 랭크뉴스 2025.02.18
43977 “신풍제약 오너 2세, 코로나 치료제 실패 미리 알고 팔았다” 랭크뉴스 2025.02.18
43976 '커터칼 드르륵'…故 김하늘 살해 교사, 범행 전부터 '이상 행동' 랭크뉴스 2025.02.18
43975 “딥시크 사용자 정보, 틱톡 모기업 넘어가”…신규 다운 중단 랭크뉴스 2025.02.18
43974 권성동 만난 MB “이재명, 한덕수 탄핵 철회해야” 랭크뉴스 2025.02.18
43973 당뇨 전 단계 “홍삼 먹으면 혈당 조절” 과학적 입증 랭크뉴스 2025.02.18
43972 美서 '테슬라 중고차 팝니다' 28% 증가…머스크에 대한 반감 탓? 랭크뉴스 2025.02.18
43971 근로소득세 60조 돌파…펑크난 세수, 직장인 지갑서 메웠다 랭크뉴스 2025.02.18
43970 원빈, 김새론 추모…‘아저씨’ 감독도 “비극으로 남지않길” 랭크뉴스 2025.02.18
43969 707단장 “야당, 곽종근에 지켜주겠다고 했다”…회유설 증폭 랭크뉴스 2025.02.18
43968 ‘김건희 부실 수사’ 검사 탄핵심판···국회, 24일 직접 신문 나선다 랭크뉴스 2025.02.18
43967 "아들 걸고 11억" 어머니 사기사건에 입 연 '피원하모니' 기호 랭크뉴스 2025.02.18
43966 美종전특사 "우크라에 평화협정 강요안해"…북러관계 대응 시사(종합) 랭크뉴스 2025.02.18
43965 "마치 유도하듯 넘어뜨려"…경비원 숨지게 한 20대 결국 랭크뉴스 2025.02.18
43964 美 심기 건들라… ‘플랫폼법’ 입법 진퇴양난 랭크뉴스 2025.02.18
43963 30대 새신랑 극단선택…"킹크랩 사와라" 괴롭힌 장수농협 4명 랭크뉴스 2025.02.18
43962 "트럼프 관세 땐 독일 GDP 1.5%↓…美도 타격"(종합) 랭크뉴스 2025.02.18
43961 "정치 복귀? 돌아갈 생각 없다"…류호정, 최연소 국회의원서 '목수' 된 사연 랭크뉴스 2025.0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