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유럽 한복판서 ‘유럽 민주주의’ 비판
연설 후 독일 극우정당 AfD 대표 만나
부글부글 끓는 유럽 “푸틴 보는 줄”
J D 밴스 미국 부통령이 14일(현지시간) 독일 뮌헨에서 열린 뮌헨안보회의에서 연설하고 있다. AFP연합뉴스


J D 밴스 미국 부통령이 14일(현지시간) 유럽 지도자들이 모인 자리에서 ‘유럽 민주주의’를 직격하며 “마을에 새 보안관이 왔다”고 말했다. 유럽의 민주주의, 이민 정책 등을 비판하며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이끄는 ‘새로운 미국’에 적응하라고 도발한 것이다.

밴스 부통령은 이날 독일 뮌헨에서 열린 뮌헨안보회의에서 기조연설을 통해 트럼프 대통령을 ‘마을에 새로 부임한 보안관’에 비유한 뒤 “트럼프의 리더십 하에서, 우리는 당신들과 견해를 달리할 수 있지만 우리는 당신들이 공론의 장에서 생각을 말할 권리를 수호하기 위해 싸울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내가 유럽에서 가장 걱정하는 것은 러시아도 중국도 아니며, 다른 어떤 외부 행위자도 아니다”라며 “내가 걱정하는 것은 유럽 내부로부터의 위협”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유럽이 직면한 ‘내부 위협’에 대해 “가장 근본적인 일부 가치로부터 유럽이 후퇴하고 있는 것”이라고 규정한 뒤 “유럽 전역에서 언론의 자유가 후퇴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미국이 트럼프 대통령 취임 후 온라인상 가짜뉴스와 혐오 발언 검증 등을 위해 시행했던 규제를 줄줄이 완화한 가운데, 유럽이 이런 규제를 유지하고 있는 상황을 염두에 둔 발언으로 보인다.

밴스 부통령은 또 뮌헨에서 전날 아프가니스탄 출신 이민자가 차량을 몰고 군중을 향해 돌진해 30여명이 부상한 사건을 거론하며 유럽이 이민 문제에서 “행로를 바꿔야 한다”고 주장했다.

밴스의 도발에 유럽 국가들은 즉각 불쾌감을 쏟아냈다. 독일 보리스 피스토리우스 국방장관은 이후 연설에서 “조금 전 미국 부통령이 유럽 전체의 민주주의를 의심하는 발언을 했다”며 “내가 제대로 이해했다면 그는 유럽의 상황을 일부 권위주의 정권에서 만연하는 상황과 비교했는데, 이는 용납할 수 없는 일”이라고 비판했다.

특히 밴스 대통령은 이날 독일 내정에 개입하는 발언과 행보를 이어가 독일 정치권의 공분을 샀다. 밴스 부통령은 이날 뮌헨안보회의 연설에서 “민주주의에 ‘방화벽’의 자리는 없다”며 독일 정치권을 직격했는데, 이후 독일 극우정당 ‘독일을 위한 대안(AfD)’ 대표와 회동해 방화벽에 대해 논의하기도 했다.

‘방화벽’은 나치 옹호 등으로 논란을 일으켰던 AfD와 어떤 경우에도 협력하지 않는다는 독일 연방의회 원내정당들의 원칙을 가리킨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의 최측근이자 트럼프 2기 정부 실세로 떠오른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도 오는 23일 독일 연방의회 선거를 앞두고 AfD를 지원해 논란을 빚었다.

독일 정치권은 부글부글 끓고 있다. 올라프 숄츠 독일 총리는 엑스(옛 트위터)에 “밴스 부통령의 발언 내용을 단호히 거부한다. 독일의 민주정당들 사이에는 나치의 경험으로 인해 극우 정당에 대한 방화벽이라는 공통의 합의가 있다”고 비판했다.

밴스 부통령 연설 때 마르쿠스 죄더 바이에른 주총리 겸 기독사회당(CSU) 대표가 황당하다는 듯 웃으며 좌우를 둘러보는 장면이 중계 화면에 잡히기도 했다.

영국 일간 파이낸셜타임스(FT)는 뮌헨에 모인 유럽 당국자들이 밴스 부통령의 일련의 발언을 “부당하고 사실이 아닌 주장”이라며 경악하는 분위기라고 전했다. 한 익명의 유럽 외교관은 “완전히 미쳤다”며 “아주 위험하다”고 말했다.

일부 유럽 당국자들은 이 같은 연설을 2007년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뮌헨안보회의 연설과 비교했다. 당시 푸틴 대통령은 서유럽 지도자들 앞에서 북대서양조약기구(나토) 확장이 러시아와 분쟁을 일으킬 수 있다고 경고한 바 있다.

한 고위 유럽연합(EU) 외교관은 “그가 우리에게 설교하고 우리를 모욕했다”며 “연설장 분위기는 2007년과 꼭 같았다. 충격적이었다”고 말했다.

경향신문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3648 권영세 “비상계엄은 분명히 잘못… 과도한 조치였다” 랭크뉴스 2025.02.17
43647 군인권센터 "조정래 서울청 공공안전차장, 부하들에게 '尹 찬양가' 시켜" 랭크뉴스 2025.02.17
43646 권영세 "尹 하야, 현실적으로 고려되지 않아…옳은 방법 아냐" 랭크뉴스 2025.02.17
43645 '명태균 의혹' 관련자 추가 기소…남은 사건 서울중앙지검 이송 랭크뉴스 2025.02.17
43644 “한국의 경제 성장 재역전” 日 성장률 4년 만에 최저 랭크뉴스 2025.02.17
43643 [속보] 개인정보위 “딥시크 앱 국내 서비스 잠정 중단” 랭크뉴스 2025.02.17
43642 지난해 '월급쟁이'가 낸 세금 60조 원 돌파‥법인세는 감소 랭크뉴스 2025.02.17
43641 개인정보위 "딥시크 국내 신규서비스 중단…개인정보 정책 미흡" 랭크뉴스 2025.02.17
43640 [속보] 개인정보위 “딥시크 국내 서비스 잠정 중단” 랭크뉴스 2025.02.17
43639 [속보] '개인정보 침해 논란' 딥시크 다운로드 당분간 차단 랭크뉴스 2025.02.17
43638 [단독]이재명, ‘삼프로TV’ 출연한다…‘우클릭’ 여론전 강화 랭크뉴스 2025.02.17
43637 [속보]공항철도 공덕역 무정차 통과…역사 화재 가능성 랭크뉴스 2025.02.17
43636 전 국정원장 “난 영부인 문자 받은 적 없다…김건희는 별걸 다 해” 랭크뉴스 2025.02.17
43635 허허벌판서 맛집 일궜더니...건물주 "시설비 8800만원 달라" [자영업자 울리는 임대 갑질] 랭크뉴스 2025.02.17
43634 [속보] 개인정보위 "딥시크 앱 국내 서비스 잠정 중단" 랭크뉴스 2025.02.17
43633 공항철도 공덕역에서 연기 발생‥무정차 통과 중 랭크뉴스 2025.02.17
43632 박지원 "미국도 이재명 인정…혹시 안 되면 나도 대선 출마" 랭크뉴스 2025.02.17
43631 [속보]검, ‘대통령 부부 공천개입 수사’ 명태균 구속 두 달 만에 중앙지검 이송 랭크뉴스 2025.02.17
43630 [속보] 권영세 “尹 하야, 고려되지 않는 것으로 생각…옳은 방법 아냐” 랭크뉴스 2025.02.17
43629 이재명 43.3% 김문수 18.1%…국힘 41.4% 민주 43.1% [리얼미터] 랭크뉴스 2025.02.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