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국회교육·사회·문화에 관한 대정부질문
"극우 정치인이냐" 질문에 "자유민주 정치인"
"대권도전" 질문엔 "전혀 그런 생각 없다"
與 "김문수 키워드, 기득권과 거리 멀고 청렴"
계엄 비판엔 "찬성 않지만 내란은 아니다"
김문수 고용노동부 장관이 14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제422회 국회(임시회) 제6차 본회의 교육-사회-문화 분야 대정부 질문에서 임이자 국민의힘 의원 질의에 답하고 있다. 뉴시스


최근 여론조사에서 범보수층 대선주자 1위를 달리는 김문수 고용노동부 장관을 두고 여야가 14일 국회 본회의에서 신경전을 벌였다. 이날 한국갤럽이 밝힌 여론조사 결과에 따르면 김 장관의 장래 정치 지도자 선호도는 12%로,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34%)에 이어 두 번째로 높다. 이에 이날 교육·사회·문화에 관한 대정부질문에 나선 김 장관을 향해 야당 의원들은 견제구를 날렸고, 여당 의원들은 '청렴하게 일 잘하는 분'이라며 추켜세웠다.

이날 최민희 민주당 의원은 앞서 김 장관 인사청문회 당시 불거졌던 ‘일제시대 선조 국적 논란’을 다시 꺼내 들며 포문을 열었다. 최 의원은 “일제시대 우리 선조들의 국적이 뭐냐”며 “일본이라고 했는데, 일본이 일제시대 우리 국민에게 국적을 줬느냐”고 물었다. 이에 김 장관은 “우리 학계에도 다 연구되고 정리된 내용이고 국회에서도 여러 번 답변 드렸다”며 “일본 식민지는 다 일본 국적을 강제한 것이다. 그것을 식민지라고 한다”고 주장했다. 최 의원은 “대권 도전하시냐”고 물었고 이에 김 장관은 “지금 전혀 그런 생각이 없다”고 말하기도 했다.

민형배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극우 논쟁'을 꺼냈다. 민 의원은 ‘극우 세력’의 집회 횟수와 국민의힘 지지율 추이를 들어 “극우 세력의 팽창이 우리 사회에서 내란을 조장하고, 불안정을 조성하는 핵심 원인이 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김 장관에게 “우리 사회가 극우화되고 있다는 진단에 대해 어떻게 보느냐”고 묻자, 김 장관은 “동의하지 않는다. 우리 사회 40%가 극우라는 말이냐”고 맞받아쳤다.

김 장관은 “보수 정치인이냐, 극우 정치인이냐”는 민 의원의 질문에 “저는 자유 민주 정치인”이라고 답했다. 그는 “자유민주주의가 대한민국에서 매우 진보적인 정치로 생각한다”면서 “특히 친북, 반기업, 반미, 반일은 ‘극좌’지 자유민주주의가 아니다”고 주장했다. 전광훈 목사를 두고도 “자유민주주의를 수호하기 위한 목사”라고 규정했다.

반면 임이자 국민의힘 의원은 김 장관 띄우기에 나섰다. 그는 “이재명 민주당 대표나 김 장관이나 똑같이 경기지사를 했는데 참 청렴하게 일 잘하신 분이 누구겠느냐”고 강조했다. 이어 “김 장관을 떠올리면 위장취업, 수배, 학적 제적, 투옥, 해고 등 노동운동가 김문수를 상징하는 키워드로, 기득권과는 거리가 멀고 아주 청렴하다고 국민들이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질의 도중 야당 의원들이 항의하자 “민주당 의원님들이 김 장관님에게 굉장히 민감하신가 보다”며 “많이 쫄리시죠”라고 비꼬기도 했다.

한편 김 장관은 12·3 비상계엄과 관련해서는 "찬성하지 않는다"면서도 "(계엄이 곧바로) 내란과 같은 것이라는 정의에 대해서는 동의할 수 없다"고 선을 그었다. 김 장관은 “(계엄 당일) 국무회의에 참석해 찬성한 적도 없고 (저를) 부르지도 않았지만, 만약 제가 참석했다면 적극적으로 ‘이 계엄은 안 된다’고 반대를 했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럼에도 그는 ‘내란’이라는 표현은 동의할 수 없다고 강조했다.

※자세한 여론조사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나 한국갤럽 홈페이지 참조.

한국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3605 버티는 것도 버겁다…유통업계는 악화일로[불황의 시그널②] 랭크뉴스 2025.02.17
43604 “알파벳, AI 꽃이 필 2025년” [돈 되는 해외 주식] 랭크뉴스 2025.02.17
43603 계란 값 치솟는데... "트럼프, 조류 독감 방역 인력까지 해고" 랭크뉴스 2025.02.17
43602 쌀쌀한 월요일, 어제보다 기온 5~10도 ‘뚝’…찬바람 쌩쌩 랭크뉴스 2025.02.17
43601 '유리지갑'으로 세수펑크 버텼다…근소세 60조, 법인세만큼 커져 랭크뉴스 2025.02.17
43600 "故김새론, 음주사고 후 '김아임' 개명…생계 위해 카페 알바" 랭크뉴스 2025.02.17
43599 부모 건물에 불지른 30대…“경제적 지원 안 해줘서” [잇슈 키워드] 랭크뉴스 2025.02.17
43598 노상원 수첩, 누가 지시했고 어디까지 보고됐나? [2월17일 뉴스뷰리핑] 랭크뉴스 2025.02.17
43597 억대 연봉 전무님 됐다…'입주청소 아줌마' 놀라운 자격증 랭크뉴스 2025.02.17
43596 일본군 ‘위안부’ 피해 길원옥 할머니 별세···생존자 7명뿐 랭크뉴스 2025.02.17
43595 SK證 "삼성증권, 배당 확대…목표가 5만 7000→6만 2000원" [줍줍리포트] 랭크뉴스 2025.02.17
43594 “이젠 金보다 銀… 저평가·중국 수요 확대 전망” 랭크뉴스 2025.02.17
43593 "하혈한다" 응급실 온 여성…봉지 속 아기 시신, 부검 충격 랭크뉴스 2025.02.17
43592 트럼프 "푸틴과 만남 매우 곧 이뤄질 가능성 있다" 랭크뉴스 2025.02.17
43591 트럼프 "푸틴과의 만남 곧 이뤄질 것…우크라도 관여할 것" 랭크뉴스 2025.02.17
43590 “아파트 아니면 안 살래요”··· 아파트 주택매매거래 비중 ‘역대 최고’ 랭크뉴스 2025.02.17
43589 카약 타다 고래 입 안으로 ‘꿀꺽’…“죽었다 생각” [잇슈 SNS] 랭크뉴스 2025.02.17
43588 양자 대결…이재명 46.3% vs 김문수 31.8%[리얼미터] 랭크뉴스 2025.02.17
43587 [삶] "난 지능낮아 아이 키울 수 없다네요"…강제분리된 엄마의 눈물 랭크뉴스 2025.02.17
43586 “연예계 복귀 준비했는데”…故김새론 비보에 애도 물결 랭크뉴스 2025.02.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