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4월 1일까지" 비관세 장벽에 긴장하는 한국
수출 효자 자동차·반도체 관세 우려
'권한대행' 체제로 한계... 부정적 시각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3일(현지시간) 워싱턴DC 백악관 집무실에서 행정명령에 서명한 뒤 들어보이고 있다. 워싱턴DC=로이터 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상호관세 카드를 본격적으로 꺼내들면서 우리 정부의 셈법이 복잡해졌다. 대(對)미 무역 흑자국인 한국은 자유무역협정(FTA)으로 대부분 미국산 수입품에 관세가 없지만, 법적 규제 등 비관세 장벽을 트집 잡아 원하는 품목에 관세를 부과할 가능성이 농후하다.

14일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정부는 이번 트럼프 행정부의 상호관세 발표를 두고 '국가별로 관세율을 정하겠다'는 큰 틀의 취지를 밝힌 거라 보고 있다. 취임 당일 서명한 '미국 우선 무역 정책' 각서에 따라 각 부처가 비관세 장벽을 포함해 각국의 무역 행태를 4월까지 조사하면 이를 바탕으로 국가별 관세율을 미국이 매기겠다는 선언이라는 해석이다. 품목별로 양국이 서로 같은 관세를 매기는 기존의 상호관세와는 다르지만, 미국 입장에서는 무역 불균형을 맞춘다는 취지에서 상호적이라고 표현한 것으로 보인다. 이번 발표에서 구체적인 부과 시기나 방법은 언급되지 않았다.

'대미 무역 흑자국' 한국, FTA 무력화되나

박종원 산업통상자원부 통상차관보가 14일 오후 서울 강남구 한국섬유센터에서 열린 미국 관세 조치 대응 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산업통상자원부 제공


무역 균형을 따지는 기준은 대미 흑자 규모가 될 것으로 보인다. 한국도 FTA로 관세가 0%에 가깝지만 지난해 대미 무역 흑자 규모 7위를 기록해 상호관세 대상국에 들 수 있다. 한국무역협회에 따르면 한국의 대미 무역 흑자 규모는 2015년 오바마 정부(258억8,000만 달러) 때부터 꺾여 2019년 114억6,500만 달러까지 떨어졌다가 매년 상승해 2024년 556억6,500만 달러를 기록했다. 미국은 2년 연속 한국의 최대 흑자 대상국이기도 하다.

통상교섭본부장을 지낸 여한구 피터슨경제연구소 선임연구위원은 "미국이 무역적자를 많이 내는 나라부터 (상호관세) 대상국으로 삼을 것"이라며 "미국이 '한국은 서비스 등 다른 분야 규제가 많아 무역 적자를 확대시킨다'고 규정하면 관세 부과가 충분히 가능하다"고 말했다. "무역적자를 해소하는 수단으로 상호관세를 꺼낸 것"이라는 말이다. 최근 제이미슨 그리어 미국 무역대표부(USTR) 대표 후보자는 인사청문회에서 한국 공정거래위원회가 추진하는 '플랫폼 공정경쟁촉진법'을 미국 플랫폼 기업 규제라며 맹렬히 비판한 바 있다.

상호관세의 화살이 어디로 향할지는 미지수다. 로이터통신은 마이크 존슨 하원의장의 말을 빌려 상호관세 대상에서 자동차, 의약품 등 네 가지 품목은 면제 가능성이 있다고 보도했지만 계속되는 미국의 관세 관련 발표에 자동차, 반도체 생산업체들은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상호관세에 최근 발표된 철강·알루미늄에 대한 25% 관세 부과처럼 특정 품목에 대한 보편관세 부과도 병행될 것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공통된 의견이다. 여 선임연구위원은 "상호관세를 중심으로 끌고 가면서, 철강이나 자동차 등의 경우 분야별로 (관세가) 부과 가능하다"고 했다.

복잡해지는 협상안... "설득과 동시에 전선 잘 갖춰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왼쪽)이 13일(현지시간) 워싱턴DC 백악관에서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를 만나 악수하고 있다. 워싱턴DC=AFP연합뉴스


협상안은 한층 더 복잡해지게 됐다. 특정 산업에 대한 대미 투자 확대 같은 산업적 해결책과 함께, 규제·세금·보조금 등 다양한 요소를 통합적으로 봐야 해서다. 외교부 경제통상대사를 지낸 최석영 법무법인 광장 고문은 "비관세 장벽을 포함한다는 건 우리의 정치·경제 정책과도 연관돼 훨씬 더 충격이 크다"며 "미국이 원하는 것이 구체적으로 무엇인지 언급되기 전까지 여러 가능성을 열어두고 (협상안을) 준비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장상식 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장도 "(협상안을 제시해) 품목별 관세에 대해 예외 인정을 받으면서, 한국이 미국과의 무역에서 불공정하지 않다는 점을 해명해 상호관세까지 동시에 피하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했다.

일부에서는 리더십 부재로 인한 협상에 한계가 있을 거란 부정적 시각도 있다. 한 통상 전문가는 "상호관세든 품목별 관세든 협상은 한 번에 해야 하는데, 권한대행 체제에서 이해관계를 조율할 리더십이 있는지 의문"이라며 "이미 정상회담을 한 일본이나 인도처럼 미국의 관심이나 요구 사항을 조기에 들을수록 4월 조치에 대응할 시간이 생기는데, 후순위로 밀리는 듯해 우려스럽다"고 했다.

정부는 미국을 설득하면서도 각계와의 협의를 통해 종합적인 대응책을 고민해 나가고 있다는 입장이다. 박종원 통상차관보는 이날 오후 업종별 협·단체 및 경제단체를 대상으로 긴급 회의를 개최했다. 산업부 관계자는 "논리를 세워서 미국을 설득해 상호관세의 영향력을 최소화할 것"이라면서 "품목별 관세 부과에 있어서도 하나씩 대응한다기보다는 원하는 바가 무엇인지 가능성을 열어두고 대응 방안을 짜고 있다"고 했다.

한국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3601 '유리지갑'으로 세수펑크 버텼다…근소세 60조, 법인세만큼 커져 랭크뉴스 2025.02.17
43600 "故김새론, 음주사고 후 '김아임' 개명…생계 위해 카페 알바" 랭크뉴스 2025.02.17
43599 부모 건물에 불지른 30대…“경제적 지원 안 해줘서” [잇슈 키워드] 랭크뉴스 2025.02.17
43598 노상원 수첩, 누가 지시했고 어디까지 보고됐나? [2월17일 뉴스뷰리핑] 랭크뉴스 2025.02.17
43597 억대 연봉 전무님 됐다…'입주청소 아줌마' 놀라운 자격증 랭크뉴스 2025.02.17
43596 일본군 ‘위안부’ 피해 길원옥 할머니 별세···생존자 7명뿐 랭크뉴스 2025.02.17
43595 SK證 "삼성증권, 배당 확대…목표가 5만 7000→6만 2000원" [줍줍리포트] 랭크뉴스 2025.02.17
43594 “이젠 金보다 銀… 저평가·중국 수요 확대 전망” 랭크뉴스 2025.02.17
43593 "하혈한다" 응급실 온 여성…봉지 속 아기 시신, 부검 충격 랭크뉴스 2025.02.17
43592 트럼프 "푸틴과 만남 매우 곧 이뤄질 가능성 있다" 랭크뉴스 2025.02.17
43591 트럼프 "푸틴과의 만남 곧 이뤄질 것…우크라도 관여할 것" 랭크뉴스 2025.02.17
43590 “아파트 아니면 안 살래요”··· 아파트 주택매매거래 비중 ‘역대 최고’ 랭크뉴스 2025.02.17
43589 카약 타다 고래 입 안으로 ‘꿀꺽’…“죽었다 생각” [잇슈 SNS] 랭크뉴스 2025.02.17
43588 양자 대결…이재명 46.3% vs 김문수 31.8%[리얼미터] 랭크뉴스 2025.02.17
43587 [삶] "난 지능낮아 아이 키울 수 없다네요"…강제분리된 엄마의 눈물 랭크뉴스 2025.02.17
43586 “연예계 복귀 준비했는데”…故김새론 비보에 애도 물결 랭크뉴스 2025.02.17
43585 "음식값 내일 낼게요"‥'먹튀' 20대 실형 랭크뉴스 2025.02.17
43584 [속보] 국민의힘 41.4%·민주 43.1%…정당지지도 역전 [리얼미터] 랭크뉴스 2025.02.17
43583 미-러, 우크라 종전 협상 이번주 사우디서 시작…공식 확인 랭크뉴스 2025.02.17
43582 트럼프 “푸틴 곧 만날 것, 젤렌스키도 협상 참여” 랭크뉴스 2025.02.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