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조태용 “메모 종류 네 가지”란 진술에
“내 진술 신뢰 흔들기 위한 혼란전술”
시비에스(CBS) 박재홍의 한판승부 유튜브 갈무리.

홍장원 전 국가정보원 1차장은 14일 12·3 내란사태 당시 ‘체포자’ 명단이 담긴 원본 메모를 공개하며, 자신의 증언 신빙성에 의문을 제기한 조태용 국가정보원장에게 “제 동선을 초 단위로 공개하면 진실이 확인될 것”이라고 반박했다.

홍 전 차장은 이날 저녁 시비에스(CBS) 라디오에 출연해 자신이 가지고 있던 체포자 명단 메모를 공개했다. 그는 “체포자 명단을 저 혼자 주장을 한다면 갸우뚱할 수도 있겠지만, 금방 방첩사 수사단장으로부터 똑같이 14명의 명단이 나왔다. 그 이후에 조지호 (전) 경찰청장이 ‘여인형 (전 국군 방첩)사령관으로부터 14명, 차후에 한동훈까지 (포함된) 15명의 명단을 받았다’고 얘기했으니 지금 체포자 명단은 국정원, 방첩사, 경찰 3개 기관에서 크로스체크가 된 내용”이라고 했다.

앞서 홍 전 차장은 지난 4일 윤 대통령 탄핵심판 5차 변론에 출석해 윤 대통령으로부터 ‘싹 다 잡아들이라’는 취지의 지시를 받았고, 여 전 방첩사령관으로부터는 체포 명단을 전달받아 메모한 뒤 보좌관에게 시켜 다시 정리했다고 설명했다. 조태용 국정원장은 이와 관련해 지난 13일 탄핵심판 8차 변론에 나와 “옮겨 적은 보좌관으로부터 메모의 종류가 네가지라고 들었다. 그렇게 되면 홍 전 차장이 (4일 5차 변론에서) 설명한 내용의 뼈대가 사실과 다른 것”이라며 신빙성에 의문을 제기한 바 있다.

윤석열 대통령이 ‘싹 다 잡아들이라’며 여 전 방첩사령관을 통해 체포 명단을 전달했다는 홍 전 차장의 증언은 윤 대통령 탄핵심판의 결과를 가를 핵심 요소로 꼽히고 있다. 홍 전 차장은 조 원장의 이런 진술을 두고 “제가 얘기한 부분에 신뢰를 흔들기 위한 굉장히 고도의 용어 혼란 전술”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와 관련해 “여 전 사령관으로부터 명단을 받은 건 사실이지만 그전에 대통령으로부터 ‘이번에 다 잡아들여서 싹 다 정리하라’는 (취지의) 지시를 받았으니, 진술들의 최종점이 대통령하고 연결되는 유일한 접점이기 때문에 아마 ‘홍장원이 죽어야 산다’고 하는 생각으로 저에 대해 집중포화를 가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홍 전 차장은 이어 “(조 원장은) 충격적인 상황이라고 말씀하시면서 왜 저한테만 인공지능(AI)의 기억력을 요구하시냐”며 “시시티브이(CCTV)나 통화 내역 등을 합쳐서 초 단위로 (진실을) 알고 싶다. 제가 움직이는 동선을 다 열어보자”고 조 원장에 제안했다.

홍 전 차장은 또 이날 자신이 국정원장 직무대행을 맡고 있던 2023년 발생한 자승스님 입적에 윤 대통령이 대공 혐의점을 의심하며 국정원 요원들을 대거 투입하라고 지시했다고 밝히기도 했다. 그는 이날 제이티비시(JTBC) 인터뷰에서 “대통령께서 자승스님이 돌아가신 것에는 대공용의점이 있다고 했다”며 “(1차장 산하 요원들이) 밤중에 거의 70∼80명이 현장에 나갔다”고 했다. 하지만 경찰 수사에서도 대공혐의점을 포함해 타살 혐의는 드러나지 않았다.

홍 전 차장은 “밤중에 출동해서 그 난리를 친 걸 보니 (윤 대통령이) ‘어 이거 (지시하면) 국정원도 움직이네’하고 경험하신 것”이라고 설명했다. 홍 전 차장은 비상계엄 당일 윤 대통령과의 두번째 통화에서 “(윤 대통령이) 국정원에도 대공 수사권을 줄 테니까 우선 방첩사를 도와. 자금이면 자금, 인력이면 인력 무조건 도와. 굉장히 강한 말씀을 하셨다”고도 했다.

한겨레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3521 한동훈 “머지않아 찾아뵙겠다”…여당 ‘조기 대선 모드’ 가속화? 랭크뉴스 2025.02.17
43520 전광훈엔 선 그었다…금남로 '반탄 3만' 동원한 기도회 실체 랭크뉴스 2025.02.17
43519 이상기후에 과일 수입량 늘었다…작년 수입액 2조원 '역대 최대' 랭크뉴스 2025.02.17
43518 배관실 최초 불꽃에 “불이야”…‘자동화재신고장치’도 없었다 랭크뉴스 2025.02.17
43517 '파과' 민규동 감독 "액션배우 이혜영 신선한 경험 될 것" 랭크뉴스 2025.02.17
43516 내다 버린 물김만 5200톤…돈 되자 달려든 불법양식에 김 산지 초토화 랭크뉴스 2025.02.17
43515 [단독]조지호 "체포조 지원 지시 안했다"…그날밤 11시59분 진실 랭크뉴스 2025.02.17
43514 [국제금융캘린더] 대형지표 부재 속 '트럼프 입'에 주목 랭크뉴스 2025.02.17
43513 [단독] 명태균이 尹에 보낸 유튜브 채널, '곽종근 가스라이팅'에도 쓰였다 랭크뉴스 2025.02.17
43512 트럼프 "출생시민권, 불체자와 무관…건국아버지들 무덤서 탄식" 랭크뉴스 2025.02.17
43511 팝업스토어의 저주…성수동 구두명장 1호, 56년만에 길을 잃다 [자영업자 울리는 임대 갑질] 랭크뉴스 2025.02.17
43510 짝 잃은 신발, 주인 없는 휴대폰…12월 29일에서 멈춘 그곳 랭크뉴스 2025.02.17
43509 권성동, 이명박 전 대통령 예방…탄핵정국 조언 청취 랭크뉴스 2025.02.17
43508 법사위, '명태균 특검법' 심사 착수…野, 27일 본회의 처리 목표 랭크뉴스 2025.02.17
43507 '아저씨' 아역 눈도장…16년간 스크린·안방 누빈 김새론(종합) 랭크뉴스 2025.02.17
43506 조류독감에 美달걀 금값인데…트럼프, 관련 업무 공무원도 해고 랭크뉴스 2025.02.17
43505 여야 상속세 공방…"리플리 증후군" vs "발목잡기 흑색선전" 랭크뉴스 2025.02.17
43504 '별 헤는 밤' 윤동주 떠난 지 80년 만에…日 모교서 명예박사 학위 받아 랭크뉴스 2025.02.17
43503 미-러, 금주 '우크라戰 종전' 협상…이르면 이달 말 정상회담?(종합) 랭크뉴스 2025.02.17
43502 '우크란 종전안' 기대 모은 뮌헨회의…미국 일방주의만 재확인 랭크뉴스 2025.02.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