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12·3 비상계엄 당시 선거관리위원회 장악을 주도한 문상호 전 정보사령관이 검찰 조사에서 노상원 전 정보사령관으로부터 구체적인 지시를 받아온 사실을 시인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KBS 취재를 종합하면, 검찰 비상계엄 특별수사본부(본부장 박세현 서울고검장)는 지난해 12월 문 전 사령관을 소환해 노 전 사령관이 민간인으로서 현역 군인들의 작전에 개입한 정황과 관련된 진술을 다수 확보했습니다.

문 전 사령관은 지난해 12월 3일 노 전 사령관이 "이번 주 중 야간에 임무가 있을 수 있으니 1개 팀을 준비시켜 놓고 있으라"며 "각별히 보안을 유지하라"는 지시를 했다고 진술한 걸로 알려졌습니다.

노 전 사령관이 "단독 군장을 하고 실탄까지 챙기라"는 지시를 내리자 문 전 사령관이 "소총을 휴대할지, 권총을 휴대할지" 물었고, 노 전 사령관이 "권총을 휴대하라"고 답했다는 겁니다.

문 전 사령관은 "권총은 공포탄이 없어서 실탄을 가지고 가도록 했는데, 탄환은 봉인된 탄통에 넣어서 가져가라고 했다"며 "실제 작전에 투입될 때는 권총에 삽탄이 되어있지는 않았다"라고도 진술했습니다.

노 전 사령관이 비상계엄 전에도 현역 장성인 문 전 사령관의 공식 일정을 뒤에서 조정하려 한 정황도 드러났습니다.

문 전 사령관은 지난해 11월 25일부터 29일까지 4박5일의 해외 출장을 앞두고 있었는데, 출발 전날인 24일 노 전 사령관의 전화를 받았다고 진술했습니다.

당시 "노 전 사령관이 해외 출장 사실을 듣고 갑자기 흥분해 화를 내며 '이 중요한 시기에 무슨 해외 출장을 가냐, 당장 취소하라'고"했다는 겁니다.

문 전 사령관이 "국가 대 국가로 오래전부터 약속된 일이니 가야 한다"고 말하자, 노 전 사령관이 "늦어도 27일 밤까지는 귀국하라"고 했고, 이후 문 전 사령관도 참모들과 상의해 일정을 조정한 걸로 알려졌습니다.

다만 문 전 사령관은 원래 일정인 29일에 귀국했는데, 기상 악화로 인한 항공기 결항 때문이었다고 설명했습니다.

문 전 사령관은 해외 출장 일정을 조정한 이유에 대해 '노 전 사령관의 지시가 곧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의 지시임을 알고 있었기 때문'이라는 취지로 진술했습니다. 노 전 사령관이 사실상 비선 역할을 하고 있었던 사실을 시인한 겁니다.

노 전 사령관은 비상계엄 이틀 전인 지난해 12월 1일 '롯데리아 회동'에서 문 전 사령관과 함께 정보사 김봉규 대령, 정성욱 대령을 만났는데, 이 자리에서도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장악 관련 지시를 직접 내린 걸로 파악됐습니다.

정 대령은 수사기관에 "당시 노 전 사령관이 선관위 직원 2명의 이름을 불러주면서 '이들은 협조적일 테니 살살 다루라'라고 말했다"고 진술한 걸로 알려졌습니다.

노 전 사령관이 "한 명은 여당이 추천한 인원이라 협조적이고, 다른 한 명은 정치색이 없는 공무원 출신"이라고 말했다는 겁니다.

검찰은 노 전 사령관이 당시 정보사의 수장인 문 전 사령관을 건너뛰고 정 대령과 김 대령에게 직접 지시를 내린 정황도 확보했습니다.

문 전 사령관은 "수사기관의 조사 과정에서 노 전 사령관이 두 대령에게 임무를 직접 주면서 '사령관에게 보고하지 말라'고 말했다는 사실을 알게 됐다"고 진술했습니다.

문 전 사령관은 보안 유지가 필요한 대화를 나누는 장소로 햄버거 가게를 고른 이유에 대해 "별생각 없이 상록수역 근처에 있는 장소 중에 자리가 빈 곳으로 들어갔다"고 진술했습니다.

문 전 사령관은 지난해 12월 3일 윤석열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 후 경기도 과천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병력 투입을 지시한 혐의로 지난달 6일 재판에 넘겨졌습니다.

노 전 사령관은 민간인 신분으로 김 전 장관과 가까운 관계를 유지하며 비상계엄을 사전에 모의한 혐의로 지난달 10일 재판에 넘겨졌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제보하기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email protected]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네이버, 유튜브에서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KB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3523 지난해 '월급쟁이'가 낸 세금 60조원 돌파…법인세만큼 커졌다 랭크뉴스 2025.02.17
43522 트럼프가 '부가가치세'를 상호관세 빌미로 삼는 이유는? 랭크뉴스 2025.02.17
43521 한동훈 “머지않아 찾아뵙겠다”…여당 ‘조기 대선 모드’ 가속화? 랭크뉴스 2025.02.17
43520 전광훈엔 선 그었다…금남로 '반탄 3만' 동원한 기도회 실체 랭크뉴스 2025.02.17
43519 이상기후에 과일 수입량 늘었다…작년 수입액 2조원 '역대 최대' 랭크뉴스 2025.02.17
43518 배관실 최초 불꽃에 “불이야”…‘자동화재신고장치’도 없었다 랭크뉴스 2025.02.17
43517 '파과' 민규동 감독 "액션배우 이혜영 신선한 경험 될 것" 랭크뉴스 2025.02.17
43516 내다 버린 물김만 5200톤…돈 되자 달려든 불법양식에 김 산지 초토화 랭크뉴스 2025.02.17
43515 [단독]조지호 "체포조 지원 지시 안했다"…그날밤 11시59분 진실 랭크뉴스 2025.02.17
43514 [국제금융캘린더] 대형지표 부재 속 '트럼프 입'에 주목 랭크뉴스 2025.02.17
43513 [단독] 명태균이 尹에 보낸 유튜브 채널, '곽종근 가스라이팅'에도 쓰였다 랭크뉴스 2025.02.17
43512 트럼프 "출생시민권, 불체자와 무관…건국아버지들 무덤서 탄식" 랭크뉴스 2025.02.17
43511 팝업스토어의 저주…성수동 구두명장 1호, 56년만에 길을 잃다 [자영업자 울리는 임대 갑질] 랭크뉴스 2025.02.17
43510 짝 잃은 신발, 주인 없는 휴대폰…12월 29일에서 멈춘 그곳 랭크뉴스 2025.02.17
43509 권성동, 이명박 전 대통령 예방…탄핵정국 조언 청취 랭크뉴스 2025.02.17
43508 법사위, '명태균 특검법' 심사 착수…野, 27일 본회의 처리 목표 랭크뉴스 2025.02.17
43507 '아저씨' 아역 눈도장…16년간 스크린·안방 누빈 김새론(종합) 랭크뉴스 2025.02.17
43506 조류독감에 美달걀 금값인데…트럼프, 관련 업무 공무원도 해고 랭크뉴스 2025.02.17
43505 여야 상속세 공방…"리플리 증후군" vs "발목잡기 흑색선전" 랭크뉴스 2025.02.17
43504 '별 헤는 밤' 윤동주 떠난 지 80년 만에…日 모교서 명예박사 학위 받아 랭크뉴스 2025.02.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