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뉴스데스크]
◀ 앵커 ▶

노상원 수첩 취재해 온 사회팀 이재욱 기자에게 좀 더 물어보겠습니다.

이 기자, 노 씨의 수첩 내용 전부를 직접 확인했을 텐데, 크기가 어느 정도인 수첩입니까?

◀ 기자 ▶

노상원 수첩은 가로 8㎝, 세로 15㎝ 정도 되는 크기로 약 70쪽 분량입니다.

'내란의 비선'으로 지목된 노 씨의 수첩엔 정치인, 언론인 등을 이른바 수거대상으로 지목하고, 사살한다는 내용이 담긴 걸로 알려져 충격을 줬었는데요.

저희가 수첩 내용 전문을 확인해보니, 내용이 훨씬 더 방대했습니다.

이미 총선 전부터 이른바 수거 작전을 구상한 것으로 보여, 계엄이 훨씬 전부터 준비됐을 가능성이 있어 보입니다.

◀ 앵커 ▶

70페이지 수첩이라 내용이 상당히 많겠네요.

종북세력 척결을 위해 비상계엄을 선포한다더니, 실제로는 뒤에서 북한을 끌어들이려 했던 흔적도 발견된 거고요.

그래서 외환죄를 적용해야 한단 얘기도 나오죠?

◀ 기자 ▶

네. 체포한 인물들을 처리하는 방안 중 하나로 "북에서 조치", 북에서 나포 직전 격침시킨다는 등 북한을 이용하는 방안을 적었습니다.

비공식 방법이라면서 무엇을 내어줄 것인지를 고민하는 대목도 담겼습니다.

계엄을 위해서 북한과 공조할 생각을 한 것으로 보이는데, 외국인과 모의해 대한민국에 대적하는 외환죄에 해당할 수 있습니다.

실제 계엄 직전, 정보사령부 요원들이 몽골에서 대북 공작을 하려다 현지 정보당국에 체포된 사실도 최근 드러났는데요.

외환죄 관련 수사도 필요해보입니다.

◀ 앵커 ▶

그런데 이 노상원 수첩에 적힌 글씨가 노 씨 것인지에 대해 필적감정이 불가능하다는 결과, 우리가 단독으로 전해드렸잖아요.

노상원 수첩이 아니라는 게 아니라, 그 필적 감정이 불가능하다는 거죠?

◀ 기자 ▶

네. 경찰과 검찰은 노 씨가 쓴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경기 안산에 있는 노 씨의 점집에서 수첩이 발견됐고요.

노 전 사령관도 경찰에 "김용현 전 국방장관이 불러준 내용을 받아 적은 것"이라고 진술했습니다.

다만 이 수첩의 글씨가 상당히 빠르게 쓴 듯 휘갈겨 쓴 글자로 채워져 있습니다.

여기에 글씨를 비교할 대조군도 부족한데요.

그렇다 보니, 경찰이 노 씨가 쓴 게 맞는지 필적감정을 맡겼는데, '감정 불능', 분석하기 어렵다는 결과가 나온 건데요.

노 씨는 김용현 전 장관의 공관을 계엄 전 22차례나 찾는 등 서로 밀접하게 논의해 왔다는 점 등에서 혹시라도 김용현 전 장관이 직접 쓴 걸 노 씨가 가지고 있었을 가능성도 공조수사본부내에서 일부 제기됐습니다.

◀ 앵커 ▶

사실 그런데 이 노상원 전 사령관에 대해서는 수사에서 나온 내용이 많지 않잖아요.

본인이 거의 진술도 안 하고 있다고 하고 이 노상원 수첩에 대한 수사, 이루어져야 할 텐데 어떻게 돼 가고 있습니까?

◀ 기자 ▶

노상원 수첩에 대해 경찰은 내용만 확인한 채 검찰로 넘겼습니다.

검찰은 내용이 파편적으로 적혀있고, 노 씨가 수첩 내용에 대해 진술하지 않는다는 등의 이유로 노 씨를 내란 혐의로 기소하면서도 수첩 관련 내용은 포함하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오늘 김석우 법무부 장관 대행이 국회에서, 저희가 보도한 노 씨 수첩의 내용에 대해 "이런 문구가 있는 걸 안다"면서 "재판 과정에서 심리가 이뤄질 필요가 있다"고 말했는데요.

수첩에 드러난 음모에 누가 가담했고, 어디까지 보고됐는지, 검찰이 수사해야 할 부분으로 보입니다.

검찰 송치 후 노 씨 수첩 수사에 진척이 없는 탓에 야권에선 '내란 특검'으로 진상을 밝혀야 한다는 주장도 나옵니다.

◀ 앵커 ▶

네, 이재욱 기자 잘 들었습니다.

영상편집: 배우진

MBC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02-784-4000
▷ 이메일 [email protected]
▷ 카카오톡 @mbc제보

MBC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3521 한동훈 “머지않아 찾아뵙겠다”…여당 ‘조기 대선 모드’ 가속화? 랭크뉴스 2025.02.17
43520 전광훈엔 선 그었다…금남로 '반탄 3만' 동원한 기도회 실체 랭크뉴스 2025.02.17
43519 이상기후에 과일 수입량 늘었다…작년 수입액 2조원 '역대 최대' 랭크뉴스 2025.02.17
43518 배관실 최초 불꽃에 “불이야”…‘자동화재신고장치’도 없었다 랭크뉴스 2025.02.17
43517 '파과' 민규동 감독 "액션배우 이혜영 신선한 경험 될 것" 랭크뉴스 2025.02.17
43516 내다 버린 물김만 5200톤…돈 되자 달려든 불법양식에 김 산지 초토화 랭크뉴스 2025.02.17
43515 [단독]조지호 "체포조 지원 지시 안했다"…그날밤 11시59분 진실 랭크뉴스 2025.02.17
43514 [국제금융캘린더] 대형지표 부재 속 '트럼프 입'에 주목 랭크뉴스 2025.02.17
43513 [단독] 명태균이 尹에 보낸 유튜브 채널, '곽종근 가스라이팅'에도 쓰였다 랭크뉴스 2025.02.17
43512 트럼프 "출생시민권, 불체자와 무관…건국아버지들 무덤서 탄식" 랭크뉴스 2025.02.17
43511 팝업스토어의 저주…성수동 구두명장 1호, 56년만에 길을 잃다 [자영업자 울리는 임대 갑질] 랭크뉴스 2025.02.17
43510 짝 잃은 신발, 주인 없는 휴대폰…12월 29일에서 멈춘 그곳 랭크뉴스 2025.02.17
43509 권성동, 이명박 전 대통령 예방…탄핵정국 조언 청취 랭크뉴스 2025.02.17
43508 법사위, '명태균 특검법' 심사 착수…野, 27일 본회의 처리 목표 랭크뉴스 2025.02.17
43507 '아저씨' 아역 눈도장…16년간 스크린·안방 누빈 김새론(종합) 랭크뉴스 2025.02.17
43506 조류독감에 美달걀 금값인데…트럼프, 관련 업무 공무원도 해고 랭크뉴스 2025.02.17
43505 여야 상속세 공방…"리플리 증후군" vs "발목잡기 흑색선전" 랭크뉴스 2025.02.17
43504 '별 헤는 밤' 윤동주 떠난 지 80년 만에…日 모교서 명예박사 학위 받아 랭크뉴스 2025.02.17
43503 미-러, 금주 '우크라戰 종전' 협상…이르면 이달 말 정상회담?(종합) 랭크뉴스 2025.02.17
43502 '우크란 종전안' 기대 모은 뮌헨회의…미국 일방주의만 재확인 랭크뉴스 2025.02.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