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중년의 여성 A씨는 3대 독자였던 귀한 아들을 하늘로 먼저 떠나보냈다. 다니던 직장을 그만두고 슬픔 속에서 폐인처럼 산 게 15년. 오랜 기간 고통받는 A씨를 보며, 그의 남편은 점점 비뚤어지기 시작했다. “너만 고통스럽냐, 나도 고통스러우니 작작 울어라”라며 막말을 쏟아냈다.
결국 남편은 외도까지 했고, 상간녀를 집에 데려왔다. 아내 A씨를 보여주며 “나랑 같이 산 여자인데, 정신을 못 차려서 미친 여자”라고 손가락질했다. 옆에 아내가 있는데도 무시하고, 상간녀와 잠자리까지 했다. 게다가 이 모든 순간을 딸이 지켜봤다.

25년 넘게 부부·가족 상담을 해온 이호선(숭실사이버대 기독교상담복지학과) 교수가 들려준 이야기입니다. JTBC ‘이혼숙려캠프’의 전속 상담가로도 활약하고 있는 이 교수는, 눈물이 쏙 빠질 만큼 냉철하고 따끔한 조언을 건네 ‘호랑이 상담가’로 불리죠. 위 사례는 이 교수가 만난 가장 아프고 답답한, 최악의 50대 부부 사례였습니다. 이 부부는 2년 반 동안 이 교수의 상담을 받았는데요. 결국 부부는 어떤 결말에 이르렀을까요?

‘이혼숙려캠프’에서 ‘폭군부부’ ‘알코올부부’ ‘바람부부’ 등 다양한 케이스를 맡아온 이 교수는 “최악으로 치닫는 부부에겐 공통점이 있다”고 설명합니다. 살면 살수록 불행한 부부는 관계의 ‘나쁜 지도’를 갖고 있다는 것이죠. 이 패턴을 알면 최악의 결말은 피할 수 있다고 하는데요. 그것은 무엇일까요?

또 최근 중·노년 부부가 이혼을 결심하고 이행하는 속도가 더 빨라졌다고 하는데요. 이 교수는 “1~2년 새 외도가 급격히 많아진 게 체감된다”고 했습니다. 특히 여성의 외도가 늘었고, 중년의 불륜 패턴도 과거와 달라졌다고 합니다. 외도의 씨앗은 어떻게 심어질까요? 자세한 내용은 영상으로 확인하세요.


Q : 최근 상담 현장에서 특히 늘어난 부부 갈등의 유형은?

최근 가장 큰 이슈는 돈 문제다. 경기가 어려워졌고, 은퇴가 빨라진 측면도 있다. 여전히 (가정에서) 해야 할 역할은 많은데, 앞으로 살아가야 할 긴 세월 대비 가진 자산은 적으니까 갈등이 커지게 된다. 또 여성들이 사회활동을 많이 하면서 가정 내에서 파워도 커졌다. 권리에 대한 이야기도 많이 하면서 ‘돈 문제를 같이 고민할 게 아니라, 각자 한번 살아보자’며 갈등이 표면화되고 있다.

그리고 1~2년 사이에 많이 늘어난 것 중 하나가 외도다. 과거의 외도는 남성들의 전유물에 가까웠다. 최근에는 여성 외도가 어마어마하게 늘고 있다. 흔히 말하는 한 번의 ‘도덕적 실수’ 정도가 아니고 즐기는 형태도 많다. 과거에 볼 수 없었던 특징인 동시에, 최근 이혼 트렌드의 새로운 변환점으로 볼 수 있을 것 같다.


Q : 중년 부부에게 특히 두드러지는 이혼 양상이 있나?

보통 결혼생활이 10년, 20년 때로는 30년 이렇게 세월이 묵어가다 보면 실제 생각하는 것보다 더 많이 참고 산다. 젊은 부부보다 훨씬 많이 참는다. 흥미로운 게 50세가 넘어간 부부들이 과거와는 다르게 굉장히 빠르게 이혼에 접근하고 있다. 예전에는 이혼하기까지 긴 숙고의 시간이 있었는데, 지금은 중년 부부도 이혼을 결정하기까지 호흡이 짧아졌다.

정확한 원인은 알 수 없지만 여러 이유를 짐작할 수 있다. 많은 사람이 이혼하고 있고, 이혼한 뒤에도 살 만해 보이고, 그리고 내가 앞으로 살아가야 할 생이 굉장히 길기도 하다. 또 재산 분할을 하거나 새로운 직업을 가질 수도 있는 상황이다. 이런 다양한 변화들 때문에 참지 않고 바로 이혼을 이야기하거나 계획 이혼을 하는 경우도 많이 보인다. ‘큰아이가 대학 가면 이혼할 거야’ ‘막내가 결혼하면 할 거야’ 이런 식으로 계획을 짠다. ‘행복 플랜’을 짜는 것이 아니라 ‘이혼 플랜’을 짜고 내 계획을 성취하듯이 이혼하는 중년 부부들이 꽤 많아지고 있다.

이호선(숭실사이버대 기독교상담복지학과) 교수는 "최근 50대 이상 중년 부부의 이혼 양상이 급격히 달라지고 있다"고 말했다.

Q : 교수님에게도 충격적이었던 사례가 있나?

6개월 전 상담한 사례인데, 이 사례는 얘기해도 좋다고 당사자에게 동의를 받았다. 23년을 함께 살며 아이를 셋 둔 50대 부부였다. 큰아들이 결혼을 빨리 해서 아이를 낳았는데, 아들과 며느리가 아이를 돌보기 어렵다고 했다. 50대 부부는 시름이 컸다. 아내는 “손주를 볼 수 없다. 내 인생 살겠다”고 했고, 남편은 손주를 돌볼 마음은 있었지만 직장이 있었다. ‘손주를 보느냐 마느냐’로 갈등이 시작됐는데, 얘기를 하다 보니 과거 남편의 외도 사건까지 끌고 나오게 됐다. 현재의 문제가 과거에 물리고, 과거의 문제가 결혼 전 얘기로 물리면서 결국 3개월 만에 이혼했다.

이혼 후에 상담 받으러 왔다. 보통 조금은 후회하는데 두 사람 다 후회가 없었다. 이혼을 더 빨리 못한 것에 아쉬움을 느낄 뿐이었다. 각자 속내를 이야기하는데, “단 한 번도 행복한 적이 없었다”고 말하더라. 상담하다 보면 “그래도 아이를 낳았을 때 좋았어. 아이가 유치원에 갔을 때 이 순간 좋았어” 이런 말을 하는데 아니었다. 또 막내가 아직 고등학생인데 이 아이에 대한 의무감도 없어 보였다. 그저 내 인생을 가정과 배우자에게 갈아 넣었다는 생각이 컸다.

과거 중년 부부들이 이혼할 때에는, 피해 의식이 이렇게 지배적이지 않았다. 최근 상담하다 보면 ‘내 인생이 너무 피해를 받았다, 짓밟힌 채 살았다’ 이런 표현을 정말 많이 듣는다.

(계속)
최근 중년 이혼은 외도로 인한 경우도 많다고 하는데요, 특징이 있습니다.
바로 '외로움'인데요. 중년이 되면 부부가 함께 있어도 할 말이 없는 시기가 옵니다.
그때 외로움을 해소하기 위해 가는 코스가 있다고 합니다.
20세기엔 없었던 요즘 중년 외도의 특이한 양상, 최악의 관계로 치닫는 부부들의 특징 등 더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를 통해 보실 수 있습니다.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11560


〈‘뉴스 페어링 ’ 팟캐스트〉 더 많은 기사를 보시려면?

“등푸른 생선? 통풍엔 최악” 악마 통증 부르는 뜻밖 음식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11033

70대 노인도 “정관 수술 좀”…‘고자촌’ 불렸던 반포주공 사연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09093

‘ㄱ자’ 단어 1분간 다 대봐라…뇌 노화 아는 간단 테스트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00058

얼굴 팍 삭았을 때 당장 해라…회춘 호르몬 내뿜는 ‘까치발’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285537

중앙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6700 피겨 ‘동반 금메달’ 차준환·김채연…하얼빈 울린 두 번의 애국가 new 랭크뉴스 2025.02.13
46699 차준환·김채연, 한국 피겨 역사 새로 썼다... 남녀 동반 금메달 쾌거 new 랭크뉴스 2025.02.13
46698 피겨 차준환, 남자 싱글 금메달… 男女 모두 日에 역전승 new 랭크뉴스 2025.02.13
46697 [속보] 트럼프 "오늘 오후 1시 상호관세 기자회견" new 랭크뉴스 2025.02.13
46696 김해 한 초교서 교사가 학생 폭행…경찰, 아동학대 여부 조사 new 랭크뉴스 2025.02.13
46695 초등생 때린 교사…폭행 영상 찍던 아이와도 실랑이, 무슨 일 new 랭크뉴스 2025.02.13
46694 입 닫은 상관 대신 ‘의원 체포’ 증언…“부하들도 끌어내란 지시 알아” new 랭크뉴스 2025.02.13
46693 트럼프 "러·우크라와 훌륭한 대화…끔찍한 전쟁 끝낼 가능성↑" new 랭크뉴스 2025.02.13
46692 경비단장 "수방사령관 '의원 끌어내라'"…국회-尹측 증언공방(종합) new 랭크뉴스 2025.02.13
46691 ‘비명’ 김경수 만난 이재명…통합엔 공감대, 개헌엔 온도차 new 랭크뉴스 2025.02.13
46690 [단독] 노상원 수첩, 수거 대상에 “확인 사살”…폭탄·화학약품 사용도 new 랭크뉴스 2025.02.13
46689 ‘아시안 프린스’ 차준환 대관식 new 랭크뉴스 2025.02.13
46688 [단독] 노상원 ‘수거’ 수첩에 문재인·유시민 등 500명…“잠자리 폭발물” new 랭크뉴스 2025.02.13
46687 작은 손으로 발버둥 친 흔적…하늘이 시신서 참혹한 '방어흔' 나왔다 new 랭크뉴스 2025.02.13
46686 트럼프 “러·우크라, 전쟁 끝낼 가능성 커졌다…양국과 전화 통화” new 랭크뉴스 2025.02.13
46685 '우울증'이 살해 원인?‥"우울증과 무관한 계획범죄일 수도" new 랭크뉴스 2025.02.13
46684 ‘노출로 시선끌기’···정통 사극 빈 자리 뜨겁게 데운 ‘19금 사극’ new 랭크뉴스 2025.02.13
46683 16만 ‘대통령 국민변호인단’ 출범… 尹 “청년들의 꿈과 열정을 지지” new 랭크뉴스 2025.02.13
46682 차준환·김채연, 한국 피겨 새로운 역사 쓰다···일본 꺾고 금빛 피날레[하얼빈 동계AG] new 랭크뉴스 2025.02.13
46681 [단독] 노상원 수첩에 “좌파세력 붕괴”…“문재인·유시민 등 500명 수거” new 랭크뉴스 2025.02.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