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한국직업능력연구원, 이공·의약계열 전공 외국인 노동시장 분석 결과 발표
*자료사진


국내에 취업한 이공·의약계열 학업전념 외국인 박사 중 연 근로소득이 5,000만 원 이상은 10명 중 1명(7.8%)이 채 안되는 것으로 파악됐다. 내국인 박사의 경우 근로소득 5,000만원 이상은 42.7%로 나타났다.

한국직업능력연구원은 13일 'KRIVET Issue Brief 298호 (이공·의약계열 전공 외국인 국내 박사 양성 및 노동시장 이행 분석)'를 발표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

이번 분석은 2017년~2023년 국내 대학에서 자연계열, 공학계열, 의약계열 등에서 박사학위를 신규 취득하고 조사에 응답한 박사 42,408명(내국인 37,338명, 외국인 5,070명)을 대상으로 했다. 노동시장 이행은 학업전념 박사 26,339명(내국인 21,734명, 외국인 4,605명)을 중심으로 분석했다.

주요 분석 결과 이공·의약계열 전공 외국인 박사의 장학금 비중은 줄고, 내국인 박사에 비해 연구프로젝트 참여는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공·의약계열 외국인 박사의 학비에서 장학금이 차지하는 비율은 2017년 83.1%에서 2023년 71.2%로 감소했다. 같은 기간 자부담(본인부담 혹은 가족지원) 비율은 13.2%에서 2023년 24.4%로 증가했다.

이공·의약계열 학업전념 외국인 박사의 연구프로젝트 참여 경험은 최근 7년 평균 76.0%(2.72개)로 동일 계열 학업전념 내국인 박사 93.9%(5.72건)보다 낮았다.

이공·의약계열 전공 학업전념 외국인 박사 초기 노동시장 이행 성과가 내국인 박사에 비해 낮게 나타났다. 대부분 박사후연구원으로 취업하는 것으로 조사됐고, 학업전념 외국인 박사의 취업률은 48.9%로 내국인 박사 58.3%에 비해 낮았다.

국내에 취업한 이공·의약계열 학업전념 외국인 박사 중 연 근로소득이 5,000만 원 이상은 7.8%로 내국인 박사 42.7%에 비해 크게 낮았다.

이공·의약계열 전공 외국인 박사는 타 전공 박사에 비해 한국 거주를 더 원하는 편이지만, 국내 취업의 대부분은 박사후연구원인 것으로 조사됐다. 이공·의약계열 전공 외국인 박사의 한국 거주 계획 비율은 45.7%로 타 전공 박사 14.8%에 비해 매우 높았다.

국내에 취업한 이공·의약계열 전공 외국인 박사 중 73.1%는 박사후연구원으로 내국인 박사 비율(43.7%)에 비해 상당히 높았다.

이번 연구를 수행한 한국직업능력연구원 장광남 부연구위원은 “학업전념 박사의 비율이 높은 외국인 박사과정생의 학비 자부담 비율 상승은 학업과 동시에 학비 마련에도 신경써야 하는 환경으로 변화하고 있음을 시사한다”고 말했다.

이어 “이공·의약계열 외국인 박사의 대부분이 박사후연구원으로 취업해, 상대적으로 임금이 낮다”며 “외국인 고급 인재의 국내 정착을 위해서 외국인 박사후연구원의 처우 개선과 경력경로 개발 방안 검토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한경비즈니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8714 알리 이어 테무까지 韓 시장 직진출…'C커머스' 상륙 본격화 랭크뉴스 2025.02.18
48713 [속보] 헌재, 尹 10차 공판 예정대로 20일에 진행 랭크뉴스 2025.02.18
48712 “김건희-명태균, 김상민 검사 공천 놓고 다툼…48분 통화했다” 랭크뉴스 2025.02.18
48711 외신이 본 김새론 죽음…“완벽함 요구, 압박 심한 K엔터” 랭크뉴스 2025.02.18
48710 [속보]윤 대통령, 헌법재판소 도착···20일 기일변경 여부 결정 랭크뉴스 2025.02.18
48709 "女봉사원과 온천서 문란행위…北간부 음주접대에 김정은 격노" 랭크뉴스 2025.02.18
48708 캐나다서 여객기 뒤집힌 채 착륙…탑승 80명 중 최소 15명 부상 랭크뉴스 2025.02.18
48707 “문형배 향한 인격 살인, 악마화…”시민단체 권성동 고발 랭크뉴스 2025.02.18
48706 "다이소가 다이소했네"…화장품 대박 나더니 '5000원 비타민'까지 판다 랭크뉴스 2025.02.18
48705 [비즈톡톡] 대체식품 시장 공략 어려웠는데… “면순이 사랑받은 두유면에서 답 찾았다” 랭크뉴스 2025.02.18
48704 오세훈, 명태균과 '3자 회동' 보도에 "새빨간 거짓말…대가 치를 것" 랭크뉴스 2025.02.18
48703 NYT “설리, 구하라 이어 김새론…죽음으로 내모는 압박 직면” 랭크뉴스 2025.02.18
48702 납치인 줄 알고 택시서 투신 대학생…대법, 택시기사 무죄 확정 랭크뉴스 2025.02.18
48701 연평도 포격 후 15년 칼갈았다…北장사정포 잡는 '우레' 작전배치 랭크뉴스 2025.02.18
48700 [법조 인사이드] 쿠팡 변호하는 김앤장, 1600억 과징금 사건 주심 판사 영입 추진… 법조계 논란 랭크뉴스 2025.02.18
48699 국민의힘 "'명태균 특검' 절대 동의 못 해‥거부권 적극 요구 예정" 랭크뉴스 2025.02.18
48698 “불나면 탈출 불가”…중국산 도어록 주의! 랭크뉴스 2025.02.18
48697 '집단사직 1년'… 재취업 전공의 10명 중 4명은 수도권 동네의원에서 일해 랭크뉴스 2025.02.18
48696 [단독]방첩사, 여인형 지시로 “계엄 예상 못 함” 문건 작성…수사 교란 목적? 랭크뉴스 2025.02.18
48695 김상욱 "尹 하야 고려할 시기 지나...헌재 판단으로 역사에 남겨야" 랭크뉴스 2025.0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