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 분리·금강산 재정비 일환
금강산 이산가족면회소. 한겨레 자료사진
북한 당국이 금강산 이산가족면회소를 철거하고 있다고 13일 통일부가 확인했다.
통일부는 이날 ‘대변인 성명’을 내어 “정부는 이산가족 상시 상봉의 염원을 담고 있는 금강산 이산가족면회소를 북한이 철거하고 있음을 확인했다”며 “남북이 합의해 설치한 금강산 이산가족면회소를 북한이 일방적으로 철거하고 있는 데 대해 강한 유감을 표명한다”고 밝혔다. 통일부는 이어 “금강산 이산가족면회소 철거는 이산가족의 염원을 짓밟는 반인도주의적인 행위이며 우리 국유 재산에 대한 중대한 침해 행위”라며 “철거행위를 즉각 중단할 것을 엄중히 촉구한다”고 밝혔다.
통일부는 ”북한의 일방적 철거 행위는 그 어떤 명분으로도 정당화될 수 없으며, 이번 사태로 인한 모든 책임은 전적으로 북한 당국이 져야 할 것”이라며 “정부는 관련된 법적 조치, 국제사회와의 협력 등 필요한 조치들을 검토해나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북한의 금강산 이산가족면회소 철거 작업은 김정은 조선노동당 총비서 겸 국무위원장의 “북남관계는 가장 적대적인 두 국가 관계”라는 남북 분리 선언에 따른 후속 조처의 일환으로 보인다. 북한은 지난해 10월9일 ‘조선인민군 총참모부 보도’로 “공화국의 주권 행사 영역과 대한민국 영토를 철저히 분리시키기 위한 실질적 군사 조처”를 예고한 뒤, 10월15일 경의·동해선 철도·도로 남북 연결 일부 구간을 폭파했다.
지난 2018년 8월 금강산 이산가족면회소에서 치러진 이산가족상봉행사 때 분단 이후 처음 만난 이산가족이 밀린 이야기를 하고 있다. 한겨레 자료사진
다른 한편, 북한의 금강산 이산가족면회소 철거 작업은 남북 화해협력의 상징인 금강산관광지구를 “종합적인 국제관광문화지구”로 새롭게 꾸리겠다는 김정은 총비서의 지침에 따라 ‘한국색’을 빼온 과정의 일환으로도 보인다. 앞서 북한은 김 총비서가 2019년 10월23일 금강산관광지구를 현지지도해 “너절한 남측 시설들”을 철거하라고 지시한 뒤, 1998년 11월18일 금강산관광사업 시작 이후 현지에 설치된 관광시설들을 지속적으로 철거해왔다.
금강산 이산가족면회소는 남북협력기금 550억원을 들여 2008년 7월에 완공했으나, 관광객 피살 사건의 여파로 2008년 7월12일 금강산관광이 중단돼 정식 개소는 하지 못했다. 다만 이후 남북 당국 합의에 따라 지금껏 5차례 이산가족 상봉 행사를 치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