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GV·메가박스 불참해 롯데가 계약…"극장 간 출혈 경쟁 내몰아"

"배급사 몫 줄어 신작 제작에 악영향"…적십자사 "근거없는 증액 어려워"


영화관
[연합뉴스 자료사진]


(서울=연합뉴스) 오보람 기자 = 대한적십자사(적십자사)가 헌혈 답례품으로 제공할 영화 관람권을 정상가의 3분의 1도 안 되는 금액에 대량 사들이기로 해 영화계가 '가격 후려치기'라고 비판하고 있다.

13일 조달청 나라장터에 따르면 적십자사는 지난달 22일 영화 티켓 65만3천여 장의 판매처를 찾는 입찰 공고를 냈다. 배정된 예산은 32억6천여만 원으로, 티켓 한 장당 5천원에 해당하는 금액이다.

롯데시네마가 단독 응찰함에 따라 양측은 협의를 거쳐 이달 6일 장당 3천924원에 수의계약을 맺었다. 계약 가격은 평일 관람권 정가(1만4천원)의 28% 수준이다.

CGV와 메가박스는 입찰에 참여하지 않았다.

적십자사는 연간 영화 관람권 130만장을 사들인다. 상영관으로서는 포기하기 쉽지 않은 큰손이지만, 멀티플렉스 3사 중 2사가 입찰하지 않은 것은 적십자사가 지나치게 낮은 가격을 매겨 극장 간 '제 살 깎아 먹기' 경쟁을 부추기고 있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적십자사의 입찰 공고 때 배정한 영화 티켓 구매 예산은 2020년 상반기부터 작년 하반기까지 한 차례를 제외하면 모두 장당 6천원이었지만, 올해 상반기에는 5천원으로 감소했다.

적십자사가 예산 범위에서 제시하는 '기초 금액'이 터무니없이 낮은 것이 특히 문제라고 영화계 관계자들은 입을 모은다. 기초 금액은 입찰자가 투찰할 때 참고하는 기본 가격인데, 통상 기초 금액의 80% 수준에서 낙찰가가 형성돼 왔다.

2020년 상반기 5천800원이던 기초 금액은 꾸준히 줄어 지난해 상반기에는 4500원까지 내려갔다. 당시 낙찰가는 3천621원으로 정가의 4분의 1 수준에 불과했다.

적십자사는 답례품으로 편의점교환권과 모바일멀티상품권도 활용하는데 이들을 입찰할 때와 대비된다. 둘 다 정가는 8천원인데 적십자가 제시한 기초 금액은 각각 7천800원, 7천600원이었다.

극장가는 코로나19 확산 이후 영화 산업이 악화 일로를 걷는 상황에서 적십자사가 과도한 경쟁을 조장한다며 반발하고 있다.

한 멀티플렉스 관계자는 "130만장을 판매할 수 있는 확실한 루트인 만큼, 그동안은 극장들이 남는 게 거의 없더라도 울며 겨자 먹기로 참여해왔다"면서도 "그러나 가격 후려치기가 갈수록 심해지는 만큼 이대로 계속 가다가는 (기초 금액이) 바닥을 치고 출혈 경쟁은 더 심각해질 것"이라고 말했다.

낮은 티켓 가격이 제작 환경이나 콘텐츠의 질에 악영향을 끼칠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도 나온다.

티켓 판매 수익을 극장과 투자배급사가 나눠 가지는 구조에서 티켓 가격이 낮아지면 배급사가 새 영화 제작에 투자할 여력 역시 줄어든다는 것이다.

한 배급사 관계자는 "영화 티켓 가격 문제는 극장에만 국한된 게 아니라 영화 생태계 전체에 영향을 미친다"며 "현재 객단가(관객 1인당 실제로 부담하는 평균 입장권 가격)인 9천700원도 너무 낮아 배급사와 제작사가 극심한 어려움에 부닥친 상황에서 3천900원대로 티켓을 파는 건 말도 안 되는 일"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적십자사는 과거 입찰·계약 금액 등을 고려하고 계약 가능성을 판단해 관련 예산과 기초금액을 정했을 뿐이라는 입장이다.

적십자사 관계자는 "국가계약법에 따라 계약을 투명하게 진행하고 있다"며 "예산 절감은 국가기관이 가져야 할 기본 기조로, 충분한 근거 없이 (티켓 구매) 예산 증액을 하기는 어렵다"고 밝혔다.

[email protected]

연합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6393 [속보] 尹측 “헌재가 법률 어겨 재판진행” 항의…한덕수 다시 증인신청 랭크뉴스 2025.02.13
46392 윤 대통령 측 “사드 수사의뢰 후 감사원장 탄핵해 비상계엄 선포” 랭크뉴스 2025.02.13
46391 “의원 끌어내라 지시 안 했다”, 계엄군 수백명이 다 잘못 들었나? 랭크뉴스 2025.02.13
46390 [단독] 1공수여단장 “의원 끄집어내라, 대통령님 지시” 대대장까지 전파 랭크뉴스 2025.02.13
46389 [속보] 尹측 "헌재가 법률 어겨 재판진행" 항의…한덕수 다시 증인신청 랭크뉴스 2025.02.13
46388 국회 측 “헌재 향한 노골적 협박”…윤 대통령 측 “비판 아니고 바른말” 랭크뉴스 2025.02.13
46387 권성동 "명태균 특검법, 여당 목숨줄 노리는 자객특검" 랭크뉴스 2025.02.13
46386 명태균 "누구 덕에 서울·대구시장 했는데..." 오세훈·홍준표 저격 랭크뉴스 2025.02.13
46385 백악관 “13일 모디 총리 백악관 방문 전 상호관세 발표” 랭크뉴스 2025.02.13
46384 트럼프-푸틴-젤렌스키 “종전 협상 즉각 시작” 합의 랭크뉴스 2025.02.13
46383 제주 해상 전복어선 실종자 5명은 어디에…밤샘수색 성과없어 랭크뉴스 2025.02.13
46382 독도는 일본땅?···日, 올해도 '다케시마의 날' 행사 강행 랭크뉴스 2025.02.13
46381 면세점 4개사 ‘어닝쇼크’…영업손실 3000억 육박 랭크뉴스 2025.02.13
46380 “이런 침체는 처음” 죽어가는 중국 내수경기[글로벌 현장] 랭크뉴스 2025.02.13
46379 머스크가 백악관에 데려온 아들…엄마는 불만 "아이 공개 안 돼" 랭크뉴스 2025.02.13
46378 27억→261억 '금값 상승'에 함평 황금박쥐상 몸값 폭등... "함평 비트코인이네" 랭크뉴스 2025.02.13
46377 尹탄핵심판 8차 변론 헌법재판소…경찰, 아침부터 삼엄 경비 랭크뉴스 2025.02.13
46376 [속보]코로나 때 해직된 ‘세종호텔 복직 투쟁’ 노동자, 고공농성 돌입 랭크뉴스 2025.02.13
46375 61년 전 ‘성폭행 남성 혀 깨물었다 징역형’ 최말자씨 재심 결정 랭크뉴스 2025.02.13
46374 김상욱 “대통령 탄핵 기각되면 다시 계엄, 대한민국 망한다” 랭크뉴스 2025.02.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