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증권거래소(NYSE) 트레이더들이 12일 상황판을 주시하고 있다. 게티이미지
미국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지난 1월 예상 밖으로 크게 오른 것으로 나타나면서 12일 뉴욕증시가 하락했다.
뉴욕증시에서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는 이날 전장보다 225.09포인트(-0.50%) 내린 44,368.56으로 마감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전장보다 16.53포인트(-0.27%) 내린 6,051.97에 거래를 마쳤다.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전장보다 6.09포인트(0.03%) 오른 19,649.95로 마감했다.
앞서 이날 발표된 1월 소비자물가지수(CPI) 상승률은 전년동기대비 3.0%로, 지난해 6월 이후 7개월만에 가장 높았다. 근원물가지수 상승률은 3.3%로 지난해 하반기 이후 비슷한 수준에 머물고 있다. 예상을 넘어선 물가지표에 인플레이션 반등 우려도 커졌다.
인플레이션 둔화세로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추가 금리인하를 서두르지 않겠다고 한 상황에서 1월 소비자물가 지표는 연준의 추가 인하 기대감을 더욱 낮추는 요인이 됐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에 따르면 금리 선물시장은 연준이 연내 기준금리를 현 수준에서 동결하거나 한 차례만 인하할 확률을 69%로 반영했다. 하루 전의 57%보다 크게 오른 수치다.
미국의 대형 기술주 그룹을 지칭하는 ‘매그니피센트 7’(M7)도 혼조세였다. 엔비디아는 이날 1.25% 하락했고, 아마존(-1.65%), 알파벳(-0.92%). 마이크로소프트(-0.58%)도 약세를 보였다. 다만, 최근 주가가 약세를 보인 애플(1.83%)과 테슬라(2.44%)는 강세였다.
자동차 및 제약 업종은 상호 관세 대상에서 제외될 수 있다는 마이크 존수 하원의장의 언급에 강세를 보였다. GM은 2.12% 올랐고, 제약업체 일라이릴리(0.92%)도 상승세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