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오세훈이 연 개헌 토론회 의원·지지자 모여 출정식 방불
원희룡 “대통령 복귀가 우선” 탄핵심판 비판 보수층 어필
홍준표는 MB 만나 보폭 넓혀…한동훈 복귀 임박 관측도
개헌 토론회 연 오세훈 오세훈 서울시장이 12일 국회 도서관에서 열린 87체제 극복을 위한 지방분권 개헌 토론회에서 참석자들과 악수하고 있다. 박민규 선임기자


여권 대선 주자로 꼽히는 오세훈 서울시장이 12일 개헌 토론회를 열고 사실상 조기 대선 준비에 돌입했다. 헌법재판소의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변론이 마무리 국면에 접어들면서 여권 주자들의 발걸음이 빨라지고 있다.

오 시장은 이날 서울시 주최로 국회에서 열린 ‘지방분권 개헌 토론회’에서 지방분권을 골자로 하는 개헌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오 시장은 “대통령에게는 외교안보와 국방 권한만 남겨놓고 내치에 관련한 모든 권한을 지방자치단체에 과감히 이양해야 제왕적 대통령제와 의회 폭거를 막을 수 있다”고 말했다.

토론회에는 권영세 비상대책위원장과 권성동 원내대표 등 국민의힘 지도부를 포함해 48명의 의원이 참석했다. 여당 소속 의원(108명)의 절반에 가까운 수치다. 오 시장 지지자들이 대거 모여들어 대선 캠프 출정식을 방불케 했다. 권 비대위원장은 축사에서 “핫(Hot)한 분”, 권 원내대표는 “사랑하는 친구”라며 오 시장을 치켜세웠다.

오 시장이 야권 유력 대권 주자인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개헌 이슈에 소극적인 점을 겨냥해 개헌 카드를 고리로 대선 행보를 시작한 것으로 풀이된다. 다만 오 시장은 기자들과 만나 “대선 행보와 연계하는 시각은 동의할 수 없다”며 “헌재 결론이 난 다음 조기 대선 논의를 해도 늦지 않다”고 말했다.

오 시장은 윤 대통령 탄핵을 찬성한다는 입장에는 “전혀 변함이 없다”면서도 부정선거 의혹과 관련해 제기된 사전투표 폐지론에 동의한다고 밝혔다. 그는 “일부 헌법재판관들이 정치적 성향을 드러낸다”며 헌재 공세에도 가세했다.

기자회견장 가는 원희룡 원희룡 전 국토교통부 장관이 12일 헌법재판소의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을 비판하는 기자회견을 하기 위해 국회 정론관에 입장하고 있다. 연합뉴스


다른 여권 대선 주자들도 몸풀기에 들어갔다. 원희룡 전 국토교통부 장관은 이날 국회에서 헌재의 윤 대통령 탄핵심판을 비판하는 기자회견을 열었다. 그는 ‘조기 대선 행보냐’는 질문에 “지금은 공정한 헌법 재판이 되도록 모든 힘을 기울이는 게 가장 시급하고도 중요한 과제”라며 “그에 따라 대통령의 복귀가 이뤄지는 것이 우선”이라고 했다.

홍준표 대구시장은 이날 이명박 전 대통령과 회동했다. 이 전 대통령 측 관계자는 통화에서 “한 시간 정도 배석자 없이 신년인사와 덕담을 나눴다”고 말했다. 홍 시장은 최근 윤 대통령 탄핵 반대를 주장하며 강성 지지층을 바라보는 메시지를 내놓고 있다. 그는 이날도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탄핵심판이 점점 수긍하기 어려운 국면으로 가고 있다”고 적었다.

복수의 여론조사에서 여권 주자 1위를 기록 중인 김문수 고용노동부 장관은 국회를 찾을 때마다 현안 관련 입장을 내며 존재감을 드러내고 있다. 그는 지난 10일 “제일 좋은 건 대통령이 빨리 복귀하는 것”이라며 윤 대통령 탄핵 반대 입장을 재확인했다.

‘탄핵 찬성파’ 주자들도 대권 레이스에 시동을 걸고 있다. 한동훈 전 대표의 정치 활동 재개도 임박했다는 관측이 나온다. 친한동훈계 정성국 의원은 이날 MBC 라디오에서 “(탄핵심판 마지막 변론이) 2월 하순에 시작되는데 그 기점이 가장 빠른 (복귀) 시점이 될 것 같다”고 말했다. 안철수 의원도 분권형 개헌을 주장하며 중도층 확장에 자신감을 보이고 있다. 그는 이날 YTN 라디오에서 “갤럽에서 20~30대만 (여론)조사를 했을 때, 이재명 대표와의 일대일 가상 대결에서 제가 1위를 했다”며 “중도 확장성이 큰 후보가 대선에서 이길 수 있다”고 말했다. 유승민 전 의원도 전날 YTN 라디오에서 “이 대표가 민주당 후보가 된다면 충분히 이길 수 있는 상대”라고 말했다.

경향신문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6290 김경수 “이대로는 대선 승리 장담 못해…당 떠난 이들 포용해야” [인터뷰] 랭크뉴스 2025.02.13
46289 美백악관 "13일 모디 총리 백악관 방문 전에 상호관세 발표" 랭크뉴스 2025.02.13
46288 [속보] 트럼프, 푸틴 이어 젤렌스키와도 통화…"젤렌스키도 평화 원해" 랭크뉴스 2025.02.13
46287 美전문가 "트럼프 2기 경제 측면서 한미일 협력 어려울 수도" 랭크뉴스 2025.02.13
46286 [속보] 트럼프 "우크라이나 전쟁 종전 위해 푸틴과 통화… 즉시 협상 시작 합의" 랭크뉴스 2025.02.13
46285 美국방, 유럽 면전서 고강도 압박…우크라엔 "허황된 꿈 버려라"(종합) 랭크뉴스 2025.02.13
46284 [속보] 트럼프 “푸틴과 우크라 전쟁 협상 즉각 개시 합의” 랭크뉴스 2025.02.13
46283 온누리 상품권 활용 사재기까지… 금값도 ‘김치 프리미엄’ 랭크뉴스 2025.02.13
46282 트럼프, 푸틴과 통화…"우크라전 종전협상 즉각 시작 합의"(종합) 랭크뉴스 2025.02.13
46281 위태로운 휴전…이스라엘, 가자 때리며 "인질 석방 안되면 교전"(종합) 랭크뉴스 2025.02.13
46280 뉴욕증시, 급락으로 출발… ‘깜짝 물가’에 트럼프-파월 ‘금리 전쟁’까지 랭크뉴스 2025.02.13
46279 ‘장원영’이 꿈이던 하늘양 빈소에 아이브 근조화환 [포토] 랭크뉴스 2025.02.13
46278 하늘이 영정 쓰다듬으며 “보고 싶어”…아빠는 부탁이 있습니다 랭크뉴스 2025.02.13
46277 “25% 철강 관세, 미 철강업 살리려다 제조업 다 죽일 수도” 랭크뉴스 2025.02.13
46276 [속보] 트럼프 "푸틴과 상호 방문 포함해 긴밀 협의키로" 랭크뉴스 2025.02.13
46275 CNN "트럼프, 푸틴과 통화"…우크라전쟁 종전 논의 주목 랭크뉴스 2025.02.13
46274 제주 서귀포 해상서 10명 탄 어선 전복…해경 "현재 5명 구조" 랭크뉴스 2025.02.13
46273 미 소비자물가 3%↑…다시 덮친 인플레이션 그림자 랭크뉴스 2025.02.13
46272 “여야 대표 와주세요” 하늘父 호소에…권영세·이재명 조문 랭크뉴스 2025.02.13
46271 요르단 국왕 만난 트럼프 “가자지구 장악은 미국의 권한” 랭크뉴스 2025.02.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