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대전 초등생 피살 사건 피해자 김하늘양 빈소에 정치권 조문 행렬
12일 오후 대전 건양대병원 장례식장에 마련된 고(故) 김하늘(8)양의 빈소를 찾은 권영세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왼쪽 사진)과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 연합뉴스

여야 대표 등 정치권 인사들이 대전의 한 초등학교에서 교사에게 살해당한 1학년생 고(故) 김하늘(8)양의 빈소를 찾아 고인의 아버지가 요구해온 ‘하늘이법’ 제정에 힘쓰겠다고 한목소리를 냈다.

12일 하늘양의 빈소가 마련된 대전 건양대병원 장례식장에 권영세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 이준석 개혁신당 의원 등의 조문 발길이 이어졌다.

이들은 유가족을 만나 위로와 애도의 뜻을 표하고 제2의 하늘이가 나오지 않도록 하는 재발 방지 대책을 약속했다. 앞서 정부가 교원이 정신질환 등으로 정상적인 교직 수행이 어렵다고 판단될 경우 직권휴직 등의 조처를 할 수 있는 이른바 ‘하늘이법’을 추진하겠다고 밝힌 가운데 정치권도 힘을 보태겠다고 했다.

권영세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이 12일 대전 건양대병원 장례식장에 마련된 김하늘 양 빈소를 찾아 조문하고 있다. 연합뉴스

조문을 마친 뒤 권영세 위원장은 “하늘이가 다른 사람도 아니고 선생님에게 (끔찍한) 일을 당했다는 것에 정치인으로서 큰 책임감을 느끼고 유족들에게 죄송하다”며 “하늘이 사건이 다시 일어나지 않도록 학교 내외부에서 아이들에게 위해가 가해질 수 있는 위험성을 제거하고 예방하는 조치를 반드시 취하도록 하겠다”고 강조했다.

이재명 민주당 대표도 “학교를 믿고 선생님을 믿었는데 이런 참혹한 일이 벌어져 가족들이 얼마나 아플까 이런 생각이 든다”며 “다시는 이런 일이 생기지 않도록 제도적 보완 장치를 만드는 걸 심각하게 고민하겠다”고 말했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12일 저녁 대전 건양대병원 장례식장에 마련된 김하늘 양 빈소를 찾아 조문하고 있다. 연합뉴스

김문수 민주당 의원은 현재 하늘이법 초안을 작성해 여야 의원 의견을 들을 예정이라고 전했다. 초안에는 그동안 교육부 예규로 지정돼 권고 수준에 그쳤던 질병휴직위원회 심의를 의무화하는 방안이 담겼다.

개혁신당 천하람 대표, 이주영 정책위의장과 함께 빈소를 찾은 이준석 의원은 “가장 안전하다고 믿었던, 가장 안전해야 할 학교에서 가장 신뢰받아야 하는 사람한테서 이런 일이 발생했다는 사실에 마음이 무겁다”며 “지난해부터 대한민국 곳곳에서 질서가 무너지는 모습들을 보며 마음이 아팠는데 다시 대한민국이 궤도에 오를 수 있도록 개혁신당이 노력하겠다”고 했다.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이 12일 대전 건양대병원 장례식장에 마련된 김하늘 양 빈소를 찾아 조문하고 있다. 연합뉴스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도 이날 빈소를 찾아 조문했다. 기재부 관계자는 “최 대행은 하늘양 부모님이 자녀를 잃은 고통스러운 상황에서도 아이의 이름과 얼굴을 공개하며 ‘다시는 이런 일이 없도록 대책을 세워달라’고 사회의 관심을 촉구하셨다는 것을 듣고 문상을 결정했다”고 전했다.

우원식 국회의장 역시 이날 빈소를 방문했다. 우 의장은 조문록에 “하늘아! 예쁜 별로 가.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다시는 이런 아픔이 없도록 근본적 대책을 마련하겠습니다”라고 남겼다.

우원식 국회의장이 12일 대전에서 교사가 휘두른 흉기에 숨진 초등학생 고(故) 김하늘 양의 빈소를 찾아 유가족을 위로하고 있다. 국회의장실 제공

이장우 대전시장은 빈소를 찾아 지방자치단체 차원에서 학교 안의 안전을 담보하는 방안을 고민하며 관련 조례 제정을 검토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국민의힘 조정훈 의원과 민주당 고민정 의원 등도 빈소를 찾았다.

앞서 하늘양 아버지는 이날 취재진에 “제가 원하는 건 절대 다음부터는 우리 딸같은 상황이 일어나지 않는 것 하나”라면서 “보고 계신다면 여당, 야당 대표님들 오늘 와주시라. 우리나라에 제일 높으신 분들 하늘이 보러 와주시라”며 관심을 호소한 바 있다.

국민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6301 '아내 4명' 日백수남 "월 1200만원 번다…5번째 아내도 모집 중" 랭크뉴스 2025.02.13
46300 “우울증은 죄가 없다”는데… ‘잠재적 가해자’ 낙인 우려 랭크뉴스 2025.02.13
46299 주한日대사 "비상계엄에 놀라… 상황 어렵지만 한국과 협력 기대" [인터뷰] 랭크뉴스 2025.02.13
46298 '친환경' 이제 안먹힌다…사라지는 화장품·세제 리필매장 랭크뉴스 2025.02.13
46297 10대 건설사 '공사비 증액' 공시 1년 새 33건... 고조되는 재건축 분쟁 랭크뉴스 2025.02.13
46296 "세계는 반도체 국가대항전, 한·미 기업간 동맹 맺어야" 랭크뉴스 2025.02.13
46295 트럼프, 푸틴과 통화 "러·우크라 종전 협상 즉각 시작 합의" 랭크뉴스 2025.02.13
46294 트럼프 '관세 폭탄' 피하려 분주한 각국… '정상 외교 공백' 한국은 속수무책 랭크뉴스 2025.02.13
46293 주52시간 묶여 반도체전쟁? 화웨이는 춘절 내내 야근했다 랭크뉴스 2025.02.13
46292 피 토한 고종, 통곡한 총리, 폭발한 민심…‘을씨년스러웠던’ 1905년 을사년[이기환의 흔적의 역사] 랭크뉴스 2025.02.13
46291 트럼프, 푸틴·젤렌스키와 통화…우크라종전협상 즉각 시작 합의(종합3보) 랭크뉴스 2025.02.13
46290 김경수 “이대로는 대선 승리 장담 못해…당 떠난 이들 포용해야” [인터뷰] 랭크뉴스 2025.02.13
46289 美백악관 "13일 모디 총리 백악관 방문 전에 상호관세 발표" 랭크뉴스 2025.02.13
46288 [속보] 트럼프, 푸틴 이어 젤렌스키와도 통화…"젤렌스키도 평화 원해" 랭크뉴스 2025.02.13
46287 美전문가 "트럼프 2기 경제 측면서 한미일 협력 어려울 수도" 랭크뉴스 2025.02.13
46286 [속보] 트럼프 "우크라이나 전쟁 종전 위해 푸틴과 통화… 즉시 협상 시작 합의" 랭크뉴스 2025.02.13
46285 美국방, 유럽 면전서 고강도 압박…우크라엔 "허황된 꿈 버려라"(종합) 랭크뉴스 2025.02.13
46284 [속보] 트럼프 “푸틴과 우크라 전쟁 협상 즉각 개시 합의” 랭크뉴스 2025.02.13
46283 온누리 상품권 활용 사재기까지… 금값도 ‘김치 프리미엄’ 랭크뉴스 2025.02.13
46282 트럼프, 푸틴과 통화…"우크라전 종전협상 즉각 시작 합의"(종합) 랭크뉴스 2025.02.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