吳 시장, 지방분권 개헌 띄우기
與 48명 참석.. 대선 출정식 방불
명태균 의혹엔 "질문 기다렸다" 여유
친윤 원희룡 "尹 복귀해야" 엄호 나서
與 48명 참석.. 대선 출정식 방불
명태균 의혹엔 "질문 기다렸다" 여유
친윤 원희룡 "尹 복귀해야" 엄호 나서
오세훈 서울시장이 12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도서관 대강당에서 서울특별시 ·서울연구원 주최로 열린 87체제 극복을 위한 지방분권 개헌 토론회에서 미소를 짓고 있다. 뉴스1
오세훈 서울시장이 12일 국회를 찾아 "
지방으로 모든 내치 권한을 위임하는 국가 대개조 개헌"
을 제안했다. 윤석열 대통령의 불법적 비상계엄으로 제왕적 대통령제를 손보자는 여론이 비등해진 가운데 오 시장이 선제적으로 '지방분권형 개헌' 카드
를 뽑아들며 차별화에 나선 것이다. 여권 잠재적 대선주자로서 탄핵 정국을 수습할 미래 비전을 제시하며 사실상 대권 행보에 시동
을 걸었다는 해석이 나온다.권영세 국민의힘 비대위원장, 오세훈 서울시장 등 참석자들이 12일 국회 도서관 대강당에서 열린 '87체제 극복을 위한 지방분권 개헌 토론회'에서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고영권 기자
與 의원 48명 참석... 지방분권 개헌으로 차별화
오 시장은 이날 국회도서관에서 '87체제 극복을 위한 지방분권 개헌 토론회'를 열고 과감한 개헌 청사진을 공개했다. 그는 "대통령에게는 외교·안보·국방 권한만 남겨놓고 내치 관련 모든 권한을 지방자치단체에 과감히 이양해야 제왕적 대통령제와 의회 폭거를 막을 수 있다"고 했다.
지방분권으로 대통령 권한 분산과 균형 발전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으려는 구상
이다. 오 시장은 전국을 부산·경남권(인구 750만 명), 충청권(550만 명), 호남권(490만 명), 대구·경북권(490만 명)으로 나누고 각 지역을 '강소국 싱가포르(590만 명)'처럼 키우자는 구상도 밝혔다.당에서는 이날 토론회를 두고
'오 시장의 대선 출정식 같다'는 평가
가 나왔다. 당의 투톱인 권영세 비상대책위원장과 권성동 원내대표를 비롯해 당 의원(108명) 절반에 가까운 48명이 토론회에 참석해 눈도장
을 찍었다. 토론회를 주관한 친윤석열(친윤)계 윤재옥 의원을 비롯해 김기현, 추경호, 윤한홍 등 3선 이상은 13명, 초재선은 박성민, 서범수, 조은희, 김상욱 등 35명이 이름을 올렸다. 친윤계 및 영남 중진뿐 아니라 친한동훈(친한)계를 비롯한 비주류 의원들까지 포진했다. 오 시장은 기자들과 만나 정치브로커 명태균씨 연루 의혹에 대한 질문에 "그 질문 나오기를 기다렸다. 검찰에 빠른 수사를 촉구한다"
고 여유를 보이기도 했다. 오 시장은 '온건 보수' 대선주자
로 꼽힌다. 윤 대통령의 불법적 비상계엄 직후 '탄핵 찬성' 입장
을 냈다. 이날도 "탄핵소추를 통해 법의 판단을 받아보자는 입장에 변화가 전혀 없다"고 했다. 최근에는 강성보수층 구애에도 적극적
이다. 이날도 부정선거론을 두고 "투표 절차가 가진 여러 문제점이 있다
"며 "당에서 본투표와 근접한 사전투표를 제기하는데 저 역시 동의한다"고 했다. 대선 경선을 의식한 발언으로 풀이된다.원희룡 전 국토교통부 장관이 12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소통관에서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과 관련해 헌법재판소의 불공정성과 편향성 문제를 주장하는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뉴시스
'尹 거리두기' vs '尹 옹호' 대선주자도 두쪽
국민의힘 대선주자는
윤 대통령과 거리를 두려는 인사들과 엄호에 나서는 인사들로 나뉘는 분위기
다. 차기 잠룡인 안철수 의원, 유승민 전 의원, 한동훈 전 대표, 오 시장 등은 불법적 비상계엄에 비판적 입장을 유지하면서 중도 확장을 겨냥하고 있다. 안 의원은 이날 YTN라디오에 나와 "중도에 있는 분들의 표를 한 표라도 더 가져올 수 있는 후보를 낸 쪽이 이긴다"며 중도 경쟁력을 어필했다. 반면 '윤 대통령 옹호파' 기세도
만만치 않다. 지난해 7·23 전당대회 당시 '친윤석열계' 당대표 후보로 출사표를 던졌던 원희룡 전 국토부 장관은 이날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공정한 재판이 이뤄지면 윤 대통령이 복귀해 사태를 해결할 기회를 가질 수 있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홍준표 대구시장도 이날 페이스북에 "여의도 정치판에 의리가 사라진 지 오래됐고 이익집단만 난무한다"며 윤 대통령과 선 긋기에 나서려는 대선주자를 우회적으로 비판했다. 다만 홍 시장도 이날 서울 서초 청계재단에서 이명박 전 대통령을 만났는데, 물밑 대권행보 아니냐는 해석이 나온다.대선 주자들이 목소리를 내고 나선 상황과 별개로
당 지도부는 여전히 '조기 대선'을 금기어로
여기는 분위기다. 윤 대통령 탄핵을 반대하는 강경 지지층을 의식한 소극적 행보다. 오 시장 역시 기자들에게 "조기 대선은 헌재 결정이 나온 후 논의해도 늦지 않다"며 신중한 입장을 보였다. 당에서는 "중도층에서는 정권 교체 여론이 높은데, 윤 대통령 옹호에만 집중하면 조기 대선 국면에서 경쟁력을 잃을 수 있다
"는 우려도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