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블룸버그 "기업 가치 10억∼1천500억달러로 평가 엇갈려"


량원펑 딥시크 창업자(앞줄 오른쪽)
[CGTN 캡처.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연합뉴스) 권숙희 기자 = 중국 인공지능(AI) 스타트업 딥시크(Deepseek)를 탄생시킨 량원펑이 중국 최고 부호 자리에 오를 것인가, 혹은 그저 억만장자 명단 중 한 명에 추가될 것인가.

딥시크의 기업 가치가 200조원을 넘는다는 평가가 맞다면 창업자 량원펑의 재산이 엔비디아의 젠슨 황을 능가할 수도 있다고 블룸버그통신이 12일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블룸버그가 스타트업 창업자와 AI 전문가 등 7명에게 설문한 결과 2023년 출범한 딥시크의 기업가치는 약 10억달러(약 1조4천500억원)에서 1천500억달러(약 217조8천500억원)까지 다양하게 평가됐다.

캐나다 통신사 스윗프리 텔레콤의 창업자인 차나키야 람데브는 딥시크의 가치를 오픈AI(3천억달러)의 절반 수준인 1천500억달러로 평가했다.

이를 량원펑의 지분율인 84%로 환산하면 1천260억달러(약 182조6천800억원) 상당이다.

량원펑은 딥시크의 모회사인 '항저우 심층탐색(딥시크) 인공지능 기초기술연구 유한회사'의 지분 1%를 보유하는 동시에 합작회사와 지주회사를 통해 간접적으로 84%의 지분을 보유한 것으로 알려졌다.

AI 칩 선두주자 엔비디아의 젠슨 황 최고경영자(CEO)의 재산 평가액 1천140억달러(165조2천800억원)를 뛰어넘는 것이다.

또 중국의 최고 갑부 자리를 넘보고, 아시아의 유력 테크(기술 중심 기업) 수장들과 어깨를 나란히 하는 수준이다.

반면 벤처캐피탈 회사인 글래스윙 벤처스의 설립자인 루디나 세세리는 경쟁사인 오픈AI와 앤트로픽 등을 기준으로 했을 때 딥시크의 기업 가치를 최소 10억달러로 평가했다.

구글 딥마인드의 필립 슈미드 수석 AI 엔지니어는 62억달러(약 9조원) 이상으로 봤다.

평가 기준이 된 동종업계 스타트업들의 기업 가치를 살펴보면 오픈AI 직원 출신이 설립하고 구글과 아마존의 투자를 받은 앤트로픽의 가치는 600억달러(약 87조원), 구글과 메타의 연구원들이 설립한 미스트랄의 가치는 60억달러(약 8조7천억원)다.

중국 AI기업인 즈푸는 지난해 투자 유치 후 기업 가치가 약 300억위안(약 5조9천500억원)으로 상승했다.

AI 스타트업에 대한 기업 가치 평가는 단기간에 급변할 수 있다고 블룸버그는 설명했다.

불과 하룻밤 사이에 딥시크는 AI 개발의 경제성에 대한 실리콘밸리의 많은 가정을 뒤집으며, 중국의 주요 인터넷 기업들에는 '중국 AI 르네상스'에 대한 희망을 안겨줬다.

한편, 량원펑의 재산을 정확하게 평가하기는 쉽지 않을 것이라고 계면신문 등 중국 현지 매체는 보도했다.

딥시크가 외부 자금 조달을 받지 않고 량원펑이 2015년 설립한 하이플라이어(High-Flyer, 幻方量化)라는 최대 퀀트 헤지펀드 수익에 의존해서 운영되고 있기 때문이다.

하이플라이어는 운용자산(AUM)이 2016년 10억위안(약 1천988억원)에서 2019년 100억위안(약 1조9천875억원)으로 급증하며 중국 대표 퀀트 헤지펀드 중 하나로 자리 잡았다. 현재 운용자산은 80억달러(약 11조6천억원)다.

이를 통해 딥시크의 재정적 독립성이 높은 수준으로 유지되고 있다고 계면신문은 덧붙였다.

[email protected]

연합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6096 하늘이 빈소 찾은 황선홍 "축구 좋아하던 아이, 너무 슬퍼" new 랭크뉴스 2025.02.12
46095 "尹 탄핵 집회 총동원령" 광주 시민단체, 반탄 집회에 '맞불' new 랭크뉴스 2025.02.12
46094 3월부턴 퇴근하고 당당하게 ‘국장’한다···대체거래소 출범으로 달라지는 점 new 랭크뉴스 2025.02.12
46093 오세훈이 국회 뜨자…개헌 토론회에 여당 의원 48명 모였다 new 랭크뉴스 2025.02.12
46092 서울시, 잠실·삼성·대치·청담동 '토지거래허가구역' 즉시 해제 new 랭크뉴스 2025.02.12
46091 "대선 출정식인 줄"…오세훈 토론회, 여당 의원 48명 몰렸다 new 랭크뉴스 2025.02.12
46090 강남 ‘잠·삼·대·청’,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압·여·목·성’은 유지 new 랭크뉴스 2025.02.12
46089 계좌 추적중 ‘뜻밖의 인물’…유준상 한국정보기술연구원장 ‘청탁금지법 위반 혐의’ 기소 new 랭크뉴스 2025.02.12
46088 잠실 엘·리·트, 토허제 해제 '환호'… "강남 랜드마크 단지 수요 몰릴 듯" new 랭크뉴스 2025.02.12
46087 3990원 가격 비결은 식자재자회사…이랜드의 성공방정식 new 랭크뉴스 2025.02.12
46086 故 김하늘 양 여동생, “엄마 나 이제 화장 놀이 누구랑 해요?” [현장영상] new 랭크뉴스 2025.02.12
46085 [단독] 인권위 의결한 안건에 노골적 헌재 비난 추가‥"헌재 심판 비상식적‥요식행위 의심" new 랭크뉴스 2025.02.12
46084 檢, '김정숙 여사 외유성출장 의혹제기' 배현진 의원 불기소 new 랭크뉴스 2025.02.12
46083 삼성·대치·청담·잠실,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 new 랭크뉴스 2025.02.12
46082 조현병·전교조라 범행?…하늘이 사건에 가짜뉴스·혐오 '꿈틀' new 랭크뉴스 2025.02.12
46081 75세 이상 운전자, 돌발상황 시험 본다…"못하면 면허 자진반납" new 랭크뉴스 2025.02.12
46080 극우집회서 애국가 부른 경북지사 논란…“정치중립 위반”“이중잣대” new 랭크뉴스 2025.02.12
46079 엔비디아 2300억 익절…국민연금 새로 눈 돌린 이 종목 new 랭크뉴스 2025.02.12
46078 Z세대, ‘꿀잠’에 진심… 슬립맥싱 열풍 new 랭크뉴스 2025.02.12
46077 원희룡 “‘대통령 사냥’ 의심”…국힘 주자들, 조기 대선 몸풀기 new 랭크뉴스 2025.02.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