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블룸버그 "기업 가치 10억∼1천500억달러로 평가 엇갈려"


량원펑 딥시크 창업자(앞줄 오른쪽)
[CGTN 캡처.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연합뉴스) 권숙희 기자 = 중국 인공지능(AI) 스타트업 딥시크(Deepseek)를 탄생시킨 량원펑이 중국 최고 부호 자리에 오를 것인가, 혹은 그저 억만장자 명단 중 한 명에 추가될 것인가.

딥시크의 기업 가치가 200조원을 넘는다는 평가가 맞다면 창업자 량원펑의 재산이 엔비디아의 젠슨 황을 능가할 수도 있다고 블룸버그통신이 12일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블룸버그가 스타트업 창업자와 AI 전문가 등 7명에게 설문한 결과 2023년 출범한 딥시크의 기업가치는 약 10억달러(약 1조4천500억원)에서 1천500억달러(약 217조8천500억원)까지 다양하게 평가됐다.

캐나다 통신사 스윗프리 텔레콤의 창업자인 차나키야 람데브는 딥시크의 가치를 오픈AI(3천억달러)의 절반 수준인 1천500억달러로 평가했다.

이를 량원펑의 지분율인 84%로 환산하면 1천260억달러(약 182조6천800억원) 상당이다.

량원펑은 딥시크의 모회사인 '항저우 심층탐색(딥시크) 인공지능 기초기술연구 유한회사'의 지분 1%를 보유하는 동시에 합작회사와 지주회사를 통해 간접적으로 84%의 지분을 보유한 것으로 알려졌다.

AI 칩 선두주자 엔비디아의 젠슨 황 최고경영자(CEO)의 재산 평가액 1천140억달러(165조2천800억원)를 뛰어넘는 것이다.

또 중국의 최고 갑부 자리를 넘보고, 아시아의 유력 테크(기술 중심 기업) 수장들과 어깨를 나란히 하는 수준이다.

반면 벤처캐피탈 회사인 글래스윙 벤처스의 설립자인 루디나 세세리는 경쟁사인 오픈AI와 앤트로픽 등을 기준으로 했을 때 딥시크의 기업 가치를 최소 10억달러로 평가했다.

구글 딥마인드의 필립 슈미드 수석 AI 엔지니어는 62억달러(약 9조원) 이상으로 봤다.

평가 기준이 된 동종업계 스타트업들의 기업 가치를 살펴보면 오픈AI 직원 출신이 설립하고 구글과 아마존의 투자를 받은 앤트로픽의 가치는 600억달러(약 87조원), 구글과 메타의 연구원들이 설립한 미스트랄의 가치는 60억달러(약 8조7천억원)다.

중국 AI기업인 즈푸는 지난해 투자 유치 후 기업 가치가 약 300억위안(약 5조9천500억원)으로 상승했다.

AI 스타트업에 대한 기업 가치 평가는 단기간에 급변할 수 있다고 블룸버그는 설명했다.

불과 하룻밤 사이에 딥시크는 AI 개발의 경제성에 대한 실리콘밸리의 많은 가정을 뒤집으며, 중국의 주요 인터넷 기업들에는 '중국 AI 르네상스'에 대한 희망을 안겨줬다.

한편, 량원펑의 재산을 정확하게 평가하기는 쉽지 않을 것이라고 계면신문 등 중국 현지 매체는 보도했다.

딥시크가 외부 자금 조달을 받지 않고 량원펑이 2015년 설립한 하이플라이어(High-Flyer, 幻方量化)라는 최대 퀀트 헤지펀드 수익에 의존해서 운영되고 있기 때문이다.

하이플라이어는 운용자산(AUM)이 2016년 10억위안(약 1천988억원)에서 2019년 100억위안(약 1조9천875억원)으로 급증하며 중국 대표 퀀트 헤지펀드 중 하나로 자리 잡았다. 현재 운용자산은 80억달러(약 11조6천억원)다.

이를 통해 딥시크의 재정적 독립성이 높은 수준으로 유지되고 있다고 계면신문은 덧붙였다.

[email protected]

연합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6038 검찰, 배현진도 '무혐의' 처분‥'셀프 초청' 아니라더니 랭크뉴스 2025.02.12
46037 [속보] 대체거래소 첫 거래 10개 종목 공개…롯데쇼핑·제일기획 등 랭크뉴스 2025.02.12
46036 잠실·삼성·대치·청담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재건축 제외 랭크뉴스 2025.02.12
46035 '청년 비하' 발언 논란 박구용 민주당 교육연수원장 자진 사퇴 랭크뉴스 2025.02.12
46034 "카드 없어도 된다"… 편의점서 얼굴 결제 랭크뉴스 2025.02.12
46033 “우울증은 죄 없다, 죄는 죄인에게”… 나종호 美 예일대 교수의 당부 랭크뉴스 2025.02.12
46032 70대 손님과 말다툼하다 분사기로 캡사이신 뿌린 약사 유죄 랭크뉴스 2025.02.12
46031 ‘부정선거 전도사’ 황교안, 윤 대리인으로 헌재서 또 ‘형상기억종이’ 랭크뉴스 2025.02.12
46030 권영세, 故 김하늘양 조문간다… 與, ‘하늘이법’ 발의 추진 랭크뉴스 2025.02.12
46029 검찰, ‘김정숙 여사 출장’ 허위사실 유포 배현진 의원 불기소 처분 랭크뉴스 2025.02.12
46028 이재명, ‘사과하라’던 김경수와 내일 만난다 랭크뉴스 2025.02.12
46027 고려아연 “기관투자자, 최윤범 회장 측 안건 대부분에 95% 찬성” 랭크뉴스 2025.02.12
46026 “박현수 서울청장 직무대리 계엄 고비마다 해결사, 직무배제 해야” 랭크뉴스 2025.02.12
46025 [샷!] '초등생 피살', 우울증과 관련 있나 랭크뉴스 2025.02.12
» »»»»» 딥시크 량원펑 재산은 얼마나…"엔비디아 젠슨 황 능가할 수도" 랭크뉴스 2025.02.12
46023 대전 초등생 사망 원인은 ‘다발성 손상에 의한 사망’ 랭크뉴스 2025.02.12
46022 "딥시크 창업 40세 량원펑, 자산 최대 183조…젠슨황 능가" 랭크뉴스 2025.02.12
46021 군인권센터 "박현수 서울경찰청장 직무대리 내란 혐의로 고발" 랭크뉴스 2025.02.12
46020 에이블리는 어떻게 국내 패션 플랫폼 최강자 됐나 [안재광의 대기만성's] 랭크뉴스 2025.02.12
46019 트럼프 옆에서 코 후비며 하품 쩍…백악관 흔든 머스크 아들 랭크뉴스 2025.02.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