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美 상원 정례 청문회서 “금리, 좋은 위치”
인플레이션은 “개선됐지만 다소 높은 상황”
트럼프 정책엔 “연준의 일 아냐” 선그어
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 의장이 11일(현지 시간) 미국 워싱턴DC 상원 은행위원회의 정례 청문회에 참여해 의원들의 질의에 답하고 있다. AFP연합뉴스

[서울경제]

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이 금리 인하를 서두를 필요가 없다고 말했다. 지난달에 이어 다음달 18~19일(현지 시간) 예정된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금리동결을 시사하는 발언이다.

파월 의장은 11일 미국 워싱턴DC 연방 상원 정례 청문회에서 “연준의 통화정책은 현재 경제 상황을 고려할 때 꽤 좋은 위치에 있다”며 “통화 정책 입장(=금리 수준)은 상당히 덜 제한적이고 경제는 여전히 강력하기 때문에 정책 입장을 조절하기 위해 서두를 필요가 없다”고 말했다. 현재 금리가 예전보다 경제를 위축시킬 만큼 높지 않기 때문에 금리 인하가 필요한 상황이 아니라는 설명이다.

파월 의장은 경제가 계속해서 호조를 보이면서 인플레이션이 2% 목표까지 잘 개선되지 않을 경우 현 수준의 금리를 더 오래 유지할 수 있다고 봤다. 동시에 고용시장이 예상치 못하게 약화되거나 인플레이션이 빨리 진전되면 금리를 인하하겠다는 방침도 밝혔다. 그는 “정책 긴축 정도를 너무 빨리 줄이거나 많이 줄일 경우 인플레이션의 개선 추세를 막을 수 있다”며 “동시에 너무 느리게, 적게 줄일 경우 경제 활동과 고용을 부당하게 약화시킬 수 있다”고 말했다.

현재 미국의 노동시장은 안정된 흐름을 보이고 있다. 앞서 7일 미 노동부가 발표한 1월 미국의 비농업 일자리는 전월보다 14만3000명 증가했다. 다우존스가 집계한 전문가 전망치(16만9000명)에는 못 미치지만 지난해 11∼12월 일자리 증가 폭이 종전보다 총 10만명 상향 조정된 점을 고려하면 최근 고용 흐름은 오히려 예상보다 견조한 수준이라는 해석도 가능하다. 특히 실업률은 4.0%로 낮아졌다. 미 의회예산국(CBO)이 추산한 자연실업률(4.4%)보다 뚜렷이 낮은 수준으로, 미국 경제가 완전 고용 상태에 있음을 시사한다.

루이지애나 주 상원의원인 공화당 의원 존 케네디는 사실상 연준이 고용시장을 유지하면서 인플레이션을 낮추는 이른바 ‘소프트랜딩’을 달성했다는 평가를 내리기도 했다. 케네디 의원은 “파월 의장과 일부 동료들이 공로를 인정받을 만하다”며 “모든 것이 완벽하지는 않지만 착륙이 이렇게 부드러울지는 상상도 못했다”고 말했다. 다만 파월 의장은 미국 경제가 소프트랜딩을 이뤘는지를 묻는 질문에 “내가 말 할 일은 아니다”라고 말했다. 인플레이션에 대해서는 “지난 2년간 상당히 둔화했다”면서도 “연준의 2% 장기 목표에 견줄 때 다소 높은 상황에 머물러 있다”고 진단했다. 연준이 통화정책 목표 달성 기준으로 삼는 개인소비지출(PCE) 가격지수 상승률은 지난해 12월 전년 동기 대비 2.6%를 기록해 석달 째 같은 수준에 머물렀다.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에 관한 의원들 질의엔 “연준의 일이 아니다”라며 직접적인 평가를 삼갔다. 10년물 국채 금리가 최근 몇 개월 간 고공행진한데 대해서는 “장기금리는 연준 정책과 특별히 밀접하게 관련되지 않은 이유로 높다”고 말했다. 그는 시장에서 예산 적자나 인플레이션 우려가 커지면 장기금리는 더 높은 수준이 될 수 있다는 취지로도 발언했다.

서울경제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5892 지난해 상장사 자사주 취득 14조원…1위는 경영권 분쟁 고려아연 new 랭크뉴스 2025.02.12
45891 [속보] 뉴욕증시, 트럼프 관세 서명에도 시큰둥…다우 0.3%↑ new 랭크뉴스 2025.02.12
45890 ‘코인 대통령’ 맞나요?···관세 정책에 휘청이는 비트코인[경제밥도둑] new 랭크뉴스 2025.02.12
45889 ‘단골’ 할아버지의 부고…장례식장에 간 카페 사장 [잇슈 키워드] new 랭크뉴스 2025.02.12
45888 명태균 "오세훈·홍준표 민낯을"‥야권, 특검 발의 new 랭크뉴스 2025.02.12
45887 인스타 ‘고해성사’방이라더니… “19금 비밀 얘기해줘” new 랭크뉴스 2025.02.12
45886 기자 위협하고 경찰 짓눌렀다…극우 집회마다 등장한 유튜버, 결국 new 랭크뉴스 2025.02.12
45885 네타냐후 “15일까지 인질 석방 안 되면 휴전 끝날 것” new 랭크뉴스 2025.02.12
45884 트럼프 옆 머스크, 백악관 집무실서 "관료주의는 민주주의 아냐" new 랭크뉴스 2025.02.12
45883 ‘윤석열 옹호’ 앞장서는 극우 인권위…안창호 지명이 ‘퇴행’ 정점 new 랭크뉴스 2025.02.12
45882 신지호 “한동훈 서울시장 출마설, 오세훈 측이 퍼뜨린 가짜 뉴스” new 랭크뉴스 2025.02.12
45881 유승민 "나라 두쪽 낸 윤석열·이재명 두 빌런, 동시 정리해야" [안혜리의 직격인터뷰] new 랭크뉴스 2025.02.12
45880 트럼프, 요르단 국왕 면전서 “미국이 가자지구 가지겠다” new 랭크뉴스 2025.02.12
45879 논란의 ‘대통령 행정 명령’, 트럼프가 남발하는 걸까? [특파원 리포트] new 랭크뉴스 2025.02.12
45878 트럼프발 관세 폭격, 자동차도 사정권..."한국서 미국 가는 140여 만대 어쩌나" new 랭크뉴스 2025.02.12
45877 부부싸움에 총격전까지…'러 최고 여성갑부' 고려인 결국 이혼 new 랭크뉴스 2025.02.12
45876 ‘버터핑거 폐점·에그슬럿 철수’... 뉴욕 간판 단 美 브런치 브랜드, ‘우울한 퇴장’ new 랭크뉴스 2025.02.12
45875 “러시아, 군용차량 부족하자 당나귀까지 동원” new 랭크뉴스 2025.02.12
45874 이재명이 띄운 '주4일제'…스웨덴, 재정부담에 중도 포기했다 new 랭크뉴스 2025.02.12
45873 [단독] 박선원과 문자∙이병기와 통화…홍장원, 계엄 직후 여야 다 접촉 new 랭크뉴스 2025.02.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