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경제]
미국의 관세 부과 대상이 철강·알루미늄 제품에서 자동차·반도체 등으로 확대되면서 한국에서도 미국발(發) 관세 충격이 현실화하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10일 미국에 수입되는 모든 철강·알루미늄에 25%의 관세를 부과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하면서 “자동차·반도체·의약품 등에 대한 관세를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행정명령에는 집권 1기 철강·알루미늄 관세 부과 때 일부 예외를 적용했던 한국 등에 대해서도 예외와 면제 없이 25% 관세를 3월 12일부터 적용한다는 내용이 포함돼 있다. 트럼프는 또 미국산 제품에 물리는 관세율만큼 상대국 제품에 부과하는 상호 관세 부과도 재확인했다.
철강 업계는 중국산 저가 철강 공세에 이어 미국발 관세 부과의 충격으로 큰 피해를 입을 것으로 예상된다. 정부는 무역금융 지원 확대 등 비상 수출 지원 대책을 마련하고 업계는 수출국 다변화를 서둘러야 한다. 반도체와 자동차는 우리나라의 1·2위 수출 품목이므로 제대로 대처하지 못하면 한국 경제의 위기가 심화될 것이라는 우려가 나온다. 자동차 업체들은 미국 현지 공장의 생산 물량을 최대한 늘리고 철강·알루미늄 등 원료의 미국 내 조달도 검토해봐야 할 것이다. 반도체 분야에서는 첨단 고대역폭메모리(HBM)의 경우 SK하이닉스와 삼성전자가 세계 시장을 주도해 영향이 크지 않겠지만 파운드리(반도체 위탁 생산) 등에서는 미국의 빅테크 등 고객사와 긴밀한 협력 체계를 구축해야 한다.
트럼프 행정부는 1기 때처럼 대미 무역 흑자국을 대상으로 먼저 고율 관세를 부과해 압박한 뒤 개별 협상에서 이익을 최대한 챙기려 할 것이다. 우리는 트럼프 행정부를 설득하기 위해 조선·방산·원전·반도체 등에서 한미 양국이 산업 협력을 확대하는 ‘윈윈’ 방안을 마련하고 정교하게 통상 협상에 나서야 한다. 미국의 에너지·농산물 수입을 확대하는 방안도 검토할 수 있다. 통상 전쟁 확전에 대비해 인도·동남아·유럽·중동 등으로 수출 시장을 다변화하는 노력도 지속해야 한다. 또 경영 하기 좋은 환경을 만들기 위해 규제들을 과감히 혁파하고 기업과 일자리를 지키기 위해 노사가 상생하는 방안도 적극 모색해야 할 때다.
미국의 관세 부과 대상이 철강·알루미늄 제품에서 자동차·반도체 등으로 확대되면서 한국에서도 미국발(發) 관세 충격이 현실화하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10일 미국에 수입되는 모든 철강·알루미늄에 25%의 관세를 부과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하면서 “자동차·반도체·의약품 등에 대한 관세를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행정명령에는 집권 1기 철강·알루미늄 관세 부과 때 일부 예외를 적용했던 한국 등에 대해서도 예외와 면제 없이 25% 관세를 3월 12일부터 적용한다는 내용이 포함돼 있다. 트럼프는 또 미국산 제품에 물리는 관세율만큼 상대국 제품에 부과하는 상호 관세 부과도 재확인했다.
철강 업계는 중국산 저가 철강 공세에 이어 미국발 관세 부과의 충격으로 큰 피해를 입을 것으로 예상된다. 정부는 무역금융 지원 확대 등 비상 수출 지원 대책을 마련하고 업계는 수출국 다변화를 서둘러야 한다. 반도체와 자동차는 우리나라의 1·2위 수출 품목이므로 제대로 대처하지 못하면 한국 경제의 위기가 심화될 것이라는 우려가 나온다. 자동차 업체들은 미국 현지 공장의 생산 물량을 최대한 늘리고 철강·알루미늄 등 원료의 미국 내 조달도 검토해봐야 할 것이다. 반도체 분야에서는 첨단 고대역폭메모리(HBM)의 경우 SK하이닉스와 삼성전자가 세계 시장을 주도해 영향이 크지 않겠지만 파운드리(반도체 위탁 생산) 등에서는 미국의 빅테크 등 고객사와 긴밀한 협력 체계를 구축해야 한다.
트럼프 행정부는 1기 때처럼 대미 무역 흑자국을 대상으로 먼저 고율 관세를 부과해 압박한 뒤 개별 협상에서 이익을 최대한 챙기려 할 것이다. 우리는 트럼프 행정부를 설득하기 위해 조선·방산·원전·반도체 등에서 한미 양국이 산업 협력을 확대하는 ‘윈윈’ 방안을 마련하고 정교하게 통상 협상에 나서야 한다. 미국의 에너지·농산물 수입을 확대하는 방안도 검토할 수 있다. 통상 전쟁 확전에 대비해 인도·동남아·유럽·중동 등으로 수출 시장을 다변화하는 노력도 지속해야 한다. 또 경영 하기 좋은 환경을 만들기 위해 규제들을 과감히 혁파하고 기업과 일자리를 지키기 위해 노사가 상생하는 방안도 적극 모색해야 할 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