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이상민 전 행정안전부 장관이 11일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에서 열린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7차 변론에 출석하기 위해 심판정으로 향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상민 전 행정안전부 장관이 12·3 비상계엄 선포 전 국무회의 당시 “전반적으로 국무위원들이 윤석열 대통령을 만류해야 하는 것이 아니냐고 말하는 상황이었다”고 밝혔다. 또 계엄 당시 윤 대통령의 언론사 단전·단수 지시는 없었다고 했다.

이 전 장관은 11일 헌법재판소에서 열린 윤 대통령의 탄핵심판 7차 변론에 증인으로 출석해 이같이 증언했다.

이 전 장관은 비상계엄 당일 국무회의에 대해 “(국무위원) 한 사람씩 돌아가면서 찬반을 말하는 자리가 아니었다”고 말했다. “당시 국무위원들은 사전 지식이 없었고, 비상계엄이 위헌·위법이라고 생각한 사람이 아무도 없었다”고도 했다. 이어 “단지 45년 만에 (비상계엄이) 선포됐을 때 ‘국민이 받아들일 수 있겠는가’ ‘외교와 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얼마나 크겠는가’ ‘추후 정무적 부담을 막아낼 수 있겠는가’라는 걱정과 우려를 했다”고 말했다.

회의에 참석한 국무위원들은 비상계엄 선포 안건에 대해 서로 간에 논의를 하고 일부는 윤 대통령에게 관련 의견을 전달했다고 이 전 장관은 당시 상황을 전했다.

이 전 장관은 윤 대통령이 이날 비상계엄 선포 전 국무위원들에게 “여러분들이 이야기하는 경제, 외교의 영향, 정무적 부담을 다 안다”며 “대통령은 국무위원 개개인이 느끼는 상황 인식, 위기감, 책임감은 차원이 다른 것이라고 말했다”고 증언했다.

이 전 장관은 이 말을 듣고 “제가 1차 탄핵소추를 당했을 때 그렇게 심각한 영향들이 있었는데 과연 타 부처 장관들이 그런 사정을 알았겠나. 대통령의 고심이 크셨을 수밖에 없겠구나라는 생각을 했다”고 말했다.

또 "대통령이 비상계엄은 오래가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며 "국무회의에서 국무위원들이 찬성·반대를 별도로 밝히지 않았다"고 털어놨다.

이날 이 전 장관은 비상계엄 당시 윤 대통령의 언론사 단전·단수 지시 여부와 관련해선 “없다”고 밝히고, 자신도 소방청장에게 관련 지시를 하달한 바가 없다고 주장했다.

그는 윤 대통령 측 이동찬 변호사가 “윤 대통령이나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으로부터 단전단수 조치를 구두로라도 지시받은 적 있냐”는 물음에 “전혀 없다”고 답했다.

이 전 장관은 소방청장과의 통화 사실은 인정했다. 그는 “당시 대통령실에서 소방청 단전·단수 이런 내용이 적힌 쪽지를 멀리서 봤다. 계엄이 선포되고 광화문으로 돌아가는 차 안에서 쪽지가 생각났고, 소방이 단전단수를 하면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겠다고 생각했다”며 “이후 사건사고나 시위 충돌 상황 등을 점검하기 위해 경찰청장과 소방청장에게 전화했고 쪽지가 생각 나 만약의 경우 대비해서 ‘국민의 안전에 대해 최우선적으로 챙겨달라’는 취지의 얘기를 했다. 단전·단수 지시를 한 것이 아니다”라고 했다.

윤 대통령에 대한 검찰 공소장에 따르면 윤 대통령은 비상계엄 국무회의 당시 ‘경향·한겨레신문, MBC, JTBC 등 단전·단수’를 지시하는 문건을 이 전 장관에게 전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검찰은 이 전 장관이 윤 대통령의 지시를 듣고 소방청장에게 전화해 이 같은 지시를 하달한 것으로 보고 있다.

윤석열 대통령이 11일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에서 열린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7차 변론'에 출석해 자리에 앉아 있다. 뉴스1

이 전 장관은 이날 회의록 미작성 이유도 설명했다. 그는 “빠르면 7일, 통상 10일 이내에 (회의록을) 만든다”면서도 “책임자인 행안부 의정관이 참석을 못 해서 회의 참석자나 시간 발언 요지 등 (파악에) 시간이 걸렸다”고 했다. 아울러 “무엇보다 계엄 선포 이후 비상계엄이 내란이라고 몰아붙이면서 회의록 작성하는 게 비상계엄에 동조하거나 방조하는 것이라는 분위기가 형성됐다”며 “그 상황에서 회의록을 작성할 수 없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한편 윤 대통령은 이날 오전 8시 33분쯤 경기 의왕시 서울구치소에서 호송차를 타고 출발해 오전 9시쯤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에 도착했다. 지난달 21·23일과 2월 4·6일에 이어 이날 다섯 번째로 탄핵 심판에 직접 출석했다.

윤 대통령은 이날 변론 발언기회를 통해 “검찰이면 검찰, 군검찰이면 군, 공수처면 공수처, 경찰이면 경찰 이렇게 일관된 한 기관이 조사한 것이 아니고 여러 기관이 달려 들어서 중구난방으로 조사했다”며 “국회에서 한 청문기록까지 혼재돼있다. 조서들끼리도 상충되는 것도 많다”고 말했다. 이어 “증거능력에 대한 판단은 재판관들이 하더라도 이걸 막연히 증거로 채택해서 사실에 반영한다는 것은 ‘근본 구조가 검찰 수사다’ 딱 한 기관이 체계적으로 수사했으면 모르겠는데 서로도 맞지 않기 때문에 그런 점을 잘 살펴주길 부탁드린다”고 했다.

이에 문형배 헌재 권한대행은 "평의 때 논의하겠다"고 답했다.

헌재는 이날 변론기일에서 이 전 장관을 비롯해 신원식 국가안보실장, 백종욱 전 국가정보원 3차장, 김용빈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사무총장에 대한 증인 신문을 한다. 오전 10시 30분에 시작된 이 전 장관에 이어 오후 2시에는 신 안보실장·백 전 3차장·김 사무총장에 대한 증인 신문이 90분 간격으로 진행된다.

중앙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5517 대전 초등생 아버지 “교사가 아이를 죽이는데…어떻게 학교 보내냐” 랭크뉴스 2025.02.11
45516 대전 초등생 살해 교사, 나흘 전에도 학교서 난동…동료 교사에게 한 짓 랭크뉴스 2025.02.11
45515 이상민 “단전·단수 지시 안 받아”…윤 대통령 공소장 내용 부인 랭크뉴스 2025.02.11
45514 전월세 계약 늑장 신고 과태료 확 낮춘다...5월 말 계도기간 종료 랭크뉴스 2025.02.11
45513 교사에 살해된 8살 아버지 “앱으로 여자 숨 휙휙대는 소리 들었다” 랭크뉴스 2025.02.11
45512 이재명 "선거법 위반 2심, 걱정 안 해…상식 어긋난 결론 적다" 랭크뉴스 2025.02.11
45511 [속보] 이상민 “언론사 단전·단수 쪽지 윤 집무실서 봤다, 지시는 없었다” 랭크뉴스 2025.02.11
45510 母앞 전여친 55번 찔러 살해…서동하, 1심 무기징역 선고 랭크뉴스 2025.02.11
45509 "반탄 집회 막는 건 독재" vs "올테면 와라"…광주 긴장감 고조 랭크뉴스 2025.02.11
45508 당뇨 고위험군, ○○ 먹었더니…“혈당 조절되고 식욕도 뚝” 랭크뉴스 2025.02.11
45507 조국혁신당 "권성동 연설, 40여 분 민주당·이재명 탓 시간낭비" 랭크뉴스 2025.02.11
» »»»»» [속보] 이상민 "단전·단수 쪽지 봤다…尹에 지시 받은 적은 없어" 랭크뉴스 2025.02.11
45505 KDI, 올해 韓 성장률 1.6% 전망… ‘트럼프 리스크 현실화’ 석달 만에 0.4%p 하향 랭크뉴스 2025.02.11
45504 [속보] "범행 나흘 전 동료 교사에 헤드록 걸어…'내가 왜 불행해야하냐'고 말해" 랭크뉴스 2025.02.11
45503 이상민 “尹대통령이 언론사 단전·단수 지시한 적 없다” 랭크뉴스 2025.02.11
45502 경찰, 대전 초교서 피살된 8살 여아 시신 부검의뢰 랭크뉴스 2025.02.11
45501 [속보] 이상민 "단전·단수 장소 중 MBC·한겨레·여론조사 꽃 등 기억나" 랭크뉴스 2025.02.11
45500 [속보] "범행 나흘 전 동료 교사에 헤드록 걸어"···교육청 현장 점검 나간 당일 범행 랭크뉴스 2025.02.11
45499 아이보호 앱엔 '헉헉' 소리만…살해 교사는 문 잠근 채 "아이 없다" 랭크뉴스 2025.02.11
45498 배우 박하나, 프로농구 김태술 감독과 6월 결혼 랭크뉴스 2025.02.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