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서울대 보건대학원·단국대 공동 연구팀, 국제 학술지 게재

약물 유발 간 독성 ‘안전’…오히려 양약이 손상 위험 더 높아
방송 캡처 화면.


한방 병·의원에서 처방받은 한약은 간 독성으로부터 안전하다는 사실이 67만명 넘는 대규모 환자군을 대상으로 진행된 연구를 통해 입증됐다.

서울대 보건대학원 원성호 교수팀과 단국대 이상헌 교수는 2011~2019년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청구 데이터를 이용해 67만2411명을 대상으로 한의 의료기관을 통한 한약 처방이 ‘약물 유발 간 손상(Drug Induced Liver Injury)’ 위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연구를 진행했다.

그 결과, 한의 의료기관에 내원했거나 한약 처방을 받은 후 90일 안에 약물 유발 간 손상 발생 위험이 증가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외래 환자군에서는 위험도가 1.01(95% 신뢰구간:1.00~1.01)로 거의 변동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
반면, 일반 병·의원에 내원했거나 양약 처방을 받은 환자군에서는 방문 후 3~15일 이내 약물 유발 간 손상 발생 상대 위험도가 1.55(95% 신뢰구간:1.55~1.56), 양약 처방받은 경우는 2.44(95% 신뢰구간:2.43~2.44)로 급격히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한한의사협회는 10일 “이번 연구는 지금까지 한약은 간에 나쁘다며 국민을 호도하던 일부 의료계의 주장이 전혀 근거없는 악의적인 거짓말이라는 것을 명명백백히 밝혀 준 값진 결과”라고 의미를 부여했다. 이어 “대규모 데이터를 활용한 학술 논문을 통해 한약이 간에 안전하다는 사실이 입증된 만큼 한약을 폄훼하고 비방해 오던 행위를 멈춰야 한다”고 강조했다.

약물 유발 간 손상의 주된 원인은 양약이며 한약의 영향은 미미하다는 것은 오래 전부터 국내외 논문과 연구 결과를 통해 확인됐다.

미국 간학회지에 발표된 연구(Reuben A et al, Drug-induced acute liver failure: results of a U.S. multicenter, prospective study., Hepatology. 2010 Dec;52(6):2065-76.)에서 미국 내 1198명의 약물 유발 간 손상 환자 대상 검토 결과 항생제, 항결핵제, 항진균제 등의 양약으로 인해 간 손상이 발생했음이 드러난 바 있다.
또 2012년부터 2016년까지 5년간 ‘중국 ADR(이상 약물 반응) 모니터링 시스템’을 통해 총 667만3000건의 전수 조사 결과, 간 손상을 일으킨 비율이 한약은 4.5%에 불과했으며 양약은 95.5%에 이르는 것으로 집계됐다(jiabo Wang et al, Landscape of DILI-related adverse drug reaction in China Mainland, Acta Pharmaceutica Sinica B, 2022 De;12(12):4424-31).

국내 한의사에 의해 수행된 연구(Jeung TY et al, A prospective study on the safety of herbal medicines, used alone or with conventional medicines., J Ethnopharmacol. 2012 Oct 11;143(3):884-8.)에서도 한약만 복용한 57명의 환자에서는 간 기능 이상이 없었고 양약을 병행한 환자 256명 중 6명에서는 간 기능 이상이 관찰된 바 있어 주된 원인이 우선적으로 양약이 의심됨이 밝혀진 바 있다.

서울대 보건대학원의 이번 공동 연구 결과는 저명한 국제 학술지 ‘프론티어스 인 파마콜로지(Frontiers in Pharmacology)’ 1월호에 ‘Exploring the Association Between Herbal Medicine Usage and Drug-Induced Liver Injury: Insights from a Nationwide Population-Based Cohort Study Using SCCS in South Korea’라는 제목으로 게재됐다.

국민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5093 '尹방어권' 안건 상정 인권위에 지지자 몰려 회의장 길목 점거(종합) 랭크뉴스 2025.02.10
45092 울산 온산공단서 탱크로리 폭발…1명 부상·1명 의식 불명 [제보] 랭크뉴스 2025.02.10
45091 '이재명 제명' '이미선·정계선 탄핵'…국회 청원 동의 5만명 넘었다 랭크뉴스 2025.02.10
45090 ‘옥중인사’ 논란 박현수 “계엄 연루 논란 국회서 말씀드릴 것” 랭크뉴스 2025.02.10
45089 ‘서부지법 난동’ 피의자 서부지법서 재판받는다…‘중앙지법 이전’ 신청 기각돼 랭크뉴스 2025.02.10
» »»»»» 한약은 간에 나쁘다?…67만명 연구서 ‘낭설’ 랭크뉴스 2025.02.10
45087 헌재 "검찰 조서, 탄핵심판 증거사용 가능"‥尹 측 반발 랭크뉴스 2025.02.10
45086 경찰 “‘고 오요안나 사건’ 진정 사건 5건 접수…사실관계 확인 중” 랭크뉴스 2025.02.10
45085 트럼프 "英 해리왕자 추방 안 해…아내로 충분히 골치 아플 것" 랭크뉴스 2025.02.10
45084 [단독]법원 “임은정 검사 ‘경향신문 칼럼’ 감찰 사건 결정문 공개하라” 랭크뉴스 2025.02.10
45083 진실화해위 직원들, '전두환 옹호' 박선영 위원장 책 반납 랭크뉴스 2025.02.10
45082 [속보] '고교생 보더' 강동훈, 2025 하얼빈 동계아시안게임 빅에어 동메달 랭크뉴스 2025.02.10
45081 김경수 “이재명도 ‘다양성 아쉽다’ 해···다양한 요리 있는 식당 돼야” 랭크뉴스 2025.02.10
45080 헌재 "檢조서, 증거로 사용" 尹측 "법 바뀌었는데 인권보장 역행" 랭크뉴스 2025.02.10
45079 감독 겸 배우 양익준, 후배 폭행 혐의로 경찰 조사 랭크뉴스 2025.02.10
45078 이재명 “회복하고 성장해야…‘30조 추경’·‘주4일 근무’” 랭크뉴스 2025.02.10
45077 [속보] 남자 빙속 김준호, 하얼빈 동계 AG 500m 동메달 랭크뉴스 2025.02.10
45076 尹탄핵 반대 집회 간 홍준표 부인, 전한길과 ‘인증샷’ 랭크뉴스 2025.02.10
45075 홍준표 "尹 탄핵 인용도, 기각도 걱정…대한민국 더 큰 혼란 빠질 수도" 랭크뉴스 2025.02.10
45074 “종이 뭉치로 머리 때려” 감독 겸 배우 양익준, 후배 폭행 혐의 랭크뉴스 2025.02.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