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이수만 없는 SM 증명할 시기
걸그룹 ‘하츠투하츠’, SM 도약 이끌까
평균 17세 8인조 “신비롭고 아름다운 음악 추구”
하이브와 2강 구축 또는 YG·JYP에 추격

신인 걸그룹 ‘하츠투하츠’가 SM의 성장 이끌 수 있을까.

SM엔터테인먼트(에스엠)의 첫 5세대 걸그룹 하츠투하츠(Hearts2Hearts)가 오는 24일 공식 데뷔하면서 시장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하츠투하츠는 2020년 에스파 이후 약 5년 만에 출격하는 SM 신인 걸그룹이다.

SM은 하츠투하츠의 성공적인 데뷔를 바탕으로 사상 첫 매출 1조원을 돌파한다는 계획이다. SM은 2023년 기준 매출 9610억원을 기록했다. 국내 엔터 업계 1위 하이브(2조1780억원)와는 2배 이상 차이가 난다.

SM 첫 5세대 걸그룹 ‘하츠투하츠’
오는 24일 공식 데뷔하는 SM의 걸그룹 ‘하츠투하츠’ 티저. /SM 제공

엔터 기업의 실적은 소속 아티스트의 활동에서 비롯된다. 특히 기존 인기 아티스트의 활동에 신인의 성장이 더해질 때 가파른 성장세를 보인다.

하이브의 BTS와 YG엔터테인먼트(와이지엔터테인먼트)의 블랙핑크가 대표적인 사례다. 특히 BTS는 멤버들의 군 복무 이전 완전체로 활동했을 때 하이브 전체 매출의 약 60%를 차지한 것으로 알려졌다. SM이 5년 만에 선보이는 걸그룹이 기대를 한 몸에 받는 배경이다. 현재 SM은 4세대 걸그룹으로 꼽히는 에스파를 비롯해 2세대 소녀시대(2007년 데뷔), 3세대 레드벨벳(2014년 데뷔) 등이 활동 중이다. 1세대는 SES였다.

8인조 걸그룹 하츠투하츠는 24일 첫 싱글 ‘더 체이스(The Chase)’를 공개하며 활동에 나선다. 앞서 3일에는 유튜브 등 SNS에 짧은 티저 영상을 공개하며 팬들의 관심을 끌어올렸다.

하츠투하츠는 아직 정확한 팀 콘셉트를 공개하지 않았지만, 다양한 감정과 진심 어린 메시지를 담아 팬과 소통하겠다는 뜻의 ‘하츠투하츠’라는 팀명처럼 따뜻하고 감성적인 스타일의 걸그룹을 표방할 것으로 예상된다.

강렬한 이미지를 지닌 에스파와는 확연히 다른 콘셉트다. 특히 평균 나이 17세의 8인조 걸그룹으로, 그 나이 또래의 친구들이 보여줄 수 있는 바이브를 특징으로 활동할 것으로 보인다. SM은 “하츠투하츠는 신비롭고 아름다운 음악 세계를 추구한다”고 설명했다.

시장은 YG의 베이비몬스터와 전속 계약 해지 등 논란을 겪고 있는 하이브의 뉴진스 등 경쟁사와의 5세대 걸그룹 경쟁도 주목하고 있다.

하츠투하츠의 시장 반응은 긍정적이다. 주가가 먼저 반응했다. 1월 초 7만원 초반대를 기록했던 SM 주가는 지난 7일 8만7600원으로 올랐다. 5년 만의 신인 걸그룹 데뷔라는 기대감이 작용했다.

하츠투하츠가 시장에서 성공하느냐에 따라 SM의 실적 반등도 예상된다. SM은 지난해 3분기 매출 2422억원, 영업이익 133억원을 기록했다.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은 9%, 영업이익은 무려 73.6% 줄었다. 연간 매출로는 2023년 9610억원을 기록했다. 증권가는 2024년에도 전년과 비슷한 9600억~9800억원의 매출을 기록할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SM은 2025년 하츠투하츠의 활동을 바탕으로 매출 1조원을 돌파하고, 성장 가속화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리더가 보이지 않는다”
이수만 SM 전 총괄프로듀서. /뉴스1

‘매출 1조 달성’은 의미도 크다. SM 창업자 이수만 전 총괄프로듀서가 2023년 보유 지분을 매각하고 회사를 떠난 후 2년 만의 성과로 ‘SM 새로운 도약’의 계기가 될 수 있다는 분석이다.

SM은 이 전 총괄프로듀서가 회사를 떠난 후 멀티 레이블 체제를 골자로 한 ‘SM 3.0′을 도입했다. 기존 이수만 1인 프로듀싱 체제에서 SM 계열 각 레이블이 아티스트를 프로듀싱하는 시스템으로 변경하고, 현 장철혁·탁영준 공동대표 체제로 전환했다. 공인회계사 자격을 갖춘 장 대표는 기업 성장과 경영 관리를, 아티스트 매니지먼트 전문가로 통하는 탁 대표는 프로듀싱을 맡았다.

하지만 시장에선 ‘이수만 전 총괄프로듀서 이후 SM에서 리더가 보이지 않는다’는 이야기가 흘러나온다. 하이브 방시혁 의장, JYP엔터테인먼트(JYP Ent.) 박진영 대표 프로듀서와 같은 카리스마를 지닌 리더가 없다는 것이다. 기업 성장을 끌고 갈 수 있는 리더의 역할은 무엇보다 중요하다.

엔터 업계 관계자는 “SM이 이수만 총괄프로듀서가 없는 SM을 증명할 시기”라며 “SM이 뒤처진다면 YG, JYP에 추격당할 수 있다”고 말했다. 2023년 기준 YG는 매출 5691억원, JYP는 5665억원을 기록했다.

조선비즈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4973 정권연장 45.2% 교체 49.2%…국힘 42.8% 민주 40.8% [리얼미터] 랭크뉴스 2025.02.10
44972 독일서 테슬라 2대 잇따라 화재···“나치를 멈춰라” 방화 무게 랭크뉴스 2025.02.10
44971 정권연장 45.2%·정권교체 49.2%… 국힘 42.8%·민주 40.8%[리얼미터] 랭크뉴스 2025.02.10
44970 지난해 항공기 4대 중 1대 지각 출·도착···지연율 2위 이스타, 1위 항공사는? 랭크뉴스 2025.02.10
44969 계속되는 한파…서해안 오전까지 눈 랭크뉴스 2025.02.10
44968 트럼프 “철강·알루미늄 25% 관세”…“가자 땅 중동에 줄 수도” 랭크뉴스 2025.02.10
44967 문재인 전 대통령 인터뷰 ① “검찰개혁 한다던 윤석열 발탁, 후회한다” 랭크뉴스 2025.02.10
44966 앤디 김 “트럼프, USAID 등 해체는 불법 명백”···셧다운 암시 랭크뉴스 2025.02.10
44965 尹의 힘 커질라 VS 탄핵 힘 꺼질라…여야 '5만 대구집회' 딜레마 [view] 랭크뉴스 2025.02.10
44964 인권위, 오늘 ‘윤석열 방어권 보장 안건’ 재상정해 논의 랭크뉴스 2025.02.10
44963 [M피소드] "계엄은 통치행위·헌재 부숴야" 인권 버린 인권위원‥손 못 쓰는 인권위 랭크뉴스 2025.02.10
44962 ‘정권 연장’ 45.2%, ‘교체’ 49.2%…3주째 오차범위 내 격차[리얼미터] 랭크뉴스 2025.02.10
44961 폐원 위기 넘긴 중증외상 수련센터…“언제든 없어질 수 있어” [취재후] 랭크뉴스 2025.02.10
44960 미국, 이번 주 유럽서 ‘우크라이나 전쟁 종식’ 고위급 회담 랭크뉴스 2025.02.10
44959 정권연장 45.2%·교체 49.2%…국힘 지지도 42.8%·민주 40.8%[리얼미터] 랭크뉴스 2025.02.10
44958 [속보] 정권연장 45.2%·정권교체 49.2%…국민의힘 42.8%·민주 40.8% [리얼미터] 랭크뉴스 2025.02.10
44957 트럼프 "10일 모든 철강·알루미늄에 25% 관세 발표" 랭크뉴스 2025.02.10
44956 딥시크에 ‘김치 원산지’ 물었더니…언어별로 달랐다 [잇슈 키워드] 랭크뉴스 2025.02.10
44955 ‘전동 킥보드’ 면허 신설에…“필기 보면 누가 따겠냐” [잇슈 키워드] 랭크뉴스 2025.02.10
44954 딥시크 쇼크, 드러난 IT 강국 한국의 수준 [EDITOR's LETTER] 랭크뉴스 2025.02.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