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도입 찬성 30대 남성 장미씨
“반페미 정서가 토론 기회 막아”
비동의강간죄 도입을 지지하는 남성 장미씨(30·가명)가 지난 3일 서울 은평구 한국여성의전화 회의실에서 인터뷰를 하고 있다. 서성일 선임기자


비동의강간죄 도입에 반대하는 이들이 가장 많이 내세우는 주장은 ‘성폭력 무고죄가 증가할 것’이라는 점이다. 남초 커뮤니티 등에서 “비동의강간죄가 도입되면 무고죄로 억울하게 수사를 받는 사람이 늘어날 것”이라거나 “강간으로 고소당하지 않으려면 성관계 전 동의했다는 확인서를 써야 한다” 같은 말을 쉽게 찾아볼 수 있다.

모든 남성이 이런 주장에 동의하는 건 아니다. 한국여성의전화 소모임 ‘평등남’에서 활동하는 남성 회원 장미씨(30·가명)는 비동의강간죄 도입에 찬성한다. 장미씨를 지난해 12월3일 서울 은평구 한국여성의전화 사무실에서 만났다. 장미씨는 “성폭력 무고율이 굉장히 낮다”며 “주변 남성 지인들과 얘기해보면 비동의강간죄를 들어본 적도 없는 경우가 더 많다”고 말했다. 비동의강간죄 논의가 나올 때마다 일부 온라인 커뮤니티 등에서 쏟아지는 반대 여론이 ‘괴담’ 수준으로 부풀려져 있다는 것이다.

2017~2018년 실시된 대검찰청·한국여성정책연구원 연구를 보면 성폭력 범죄로 기소된 피의자 수와 비교했을 때 성폭력 무고죄로 기소된 피의자 수는 0.78%에 불과했다. 그리고 성폭력 무고죄로 고소된 사건 중 유죄가 인정된 비율은 6.4%였다.

‘동의한 건가?’ 헷갈린다면 친밀한 관계 맞나?

비동의강간죄 도입을 반대하는 이들이 내세우는 주요 논거 중 하나는 ‘성관계에서 동의 여부를 명확하게 확인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이 때문에 ‘비동의강간죄가 도입되면 성관계 전 확인서를 써야 한다’는 이야기가 퍼지기도 했다. 이에 대해 장미씨는 단호하게 말했다. “내 상대의 동의 여부를 헷갈릴 정도라면 친밀한 관계가 아닌 것 아닐까?”

그는 “친밀한 이들이 성관계로 넘어가는 과정은 상호신뢰하에 이뤄지는데, 이 과정에서 동의 여부가 고민된다면 대화를 더 해봐야 하는 것이 아닌가 싶다”고 했다. 장미씨는 “성행위가 성폭력으로 오해받을 상황이 오면 남성은 선택을 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며 “즉 그 상황에서 빠져나올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남성이 성관계 중 행위를 중지할 자유와 능력이 있음에도 그런 선택지가 없는 것처럼 말하는 것은 잘못된 주장이라는 것이다.

만연한 ‘반페미’ 정서가 토론 막아

성폭력이나 성차별 등 여성 관련 의제는 남성들 사이에서 점점 금기시되는 주제다. 특히 최근 페미니즘에 대한 반작용으로 ‘반페미니즘’ 정서가 강화되면서 토론의 장은 더 좁아지고 있다. 장미씨는 “회사에서 남성 직원들 사이에서 이런 주제로 대화하는 것 자체를 주저하게 된다”며 “가볍게 툭 꺼낸 얘기도 방어적으로 반응하거나 ‘페미냐?’고 비꼬듯이 물으니 어떻게 이야기를 해야 할지 모르겠다”고 말했다.

대화가 줄어드니 오해는 쌓일 수밖에 없다. 그는 “소통이 닫힘으로써 남성에 대한 기대나 신뢰가 점점 무너지고 있다. 남성이지만 저도 마찬가지”라며 “성평등에 참여하고, 비동의강간죄에 찬성하는 남성도 있다는 걸 알려 전체 남성을 향한 실망에 균열을 일으키고 싶다”고 말했다. 모든 남성이 반페미 정서에 사로잡혀 여성 혐오에 앞장서거나, 성평등 정책에 반대하는 건 아니라는 것이다.

장미씨는 비동의강간죄가 ‘비뚤어진 남성성’에 제동을 걸 것이라 기대했다. 그는 “여성들의 불안도 줄어들겠지만, 남성들도 다시 한번 파트너와의 관계에 관해 되돌아볼 수 있지 않을까”라며 “사회에 만연한 강간 문화를 멈추게 하는 계기가 되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했다.

◇비동의강간죄
형법 제32장(강간과 추행의 죄)은 강간죄 구성 요건을 ‘폭행 또는 협박’(형법 제297조)으로 규정한다. 이 때문에 상대방의 동의 없이 강요와 속임, 지위나 위계를 앞세워 성관계를 했어도 강간으로 인정되지 않는 문제가 일어난다. ‘동의 여부’를 추가하면 상대방 동의가 없거나 상대방 의사에 반해 이뤄진 성관계를 비동의강간죄로 처벌할 수 있다.

경향신문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4904 "의원·요원·인원? 뭣이 중한데"‥"핵심은 둘" 보수원로의 '콕' 랭크뉴스 2025.02.10
44903 홋카이도서 스키 타던 韓 여성, 나무와 충돌 사망 랭크뉴스 2025.02.10
44902 트럼프·머스크의 ‘연방정부 축소’ 광폭 행보, 법원서 줄줄이 제동 랭크뉴스 2025.02.10
44901 [속보] 트럼프 "10일 모든 철강·알루미늄에 25% 관세 발표" <로이터> 랭크뉴스 2025.02.10
44900 트럼프 대통령 "10일부터 모든 철강·알루미늄 제품에 25% 관세" 랭크뉴스 2025.02.10
44899 [속보] 트럼프 “10일 모든 철강·알루미늄에 25% 관세 부과 발표” 랭크뉴스 2025.02.10
» »»»»» “성관계 동의 여부를 헷갈릴 정도면 친밀한 관계일 리가”[비동의강간죄, 다시 국회로①] 랭크뉴스 2025.02.10
44897 [단독] ”4900억 더 달라” GS건설, 입주 넉 달 앞둔 ‘메이플자이’ 조합에 소송 랭크뉴스 2025.02.10
44896 중국, 오늘부터 대미 보복관세…퇴로 없는 무역전쟁 랭크뉴스 2025.02.10
44895 성폭력 피해자, 경찰·검찰·법원 앞에서 무너졌다[비동의강간죄, 다시 국회로①] 랭크뉴스 2025.02.10
44894 SK는 간판만 바꾸는데 1000억 들었다…대한항공 CI 교체, 실속은? 랭크뉴스 2025.02.10
44893 “한국 감리교, 전체주의처럼 동성애 배척 안타까워” 랭크뉴스 2025.02.10
44892 백악관 "트럼프, 이번 주 우크라 종전 논의…비용 회수해야" 랭크뉴스 2025.02.10
44891 ‘1.1% 성장’ 전망까지 나왔다… 계엄 후폭풍에 저성장 늪 빠진 한국 랭크뉴스 2025.02.10
44890 오요안나 비극 뒤엔…"방송사 66%가 비정규직, 을끼리 싸운다" 랭크뉴스 2025.02.10
44889 살아남았지만, 살 곳 없는 사육견 10만마리 랭크뉴스 2025.02.10
44888 국민연금만으로 그럭저럭 살 수 있는 사람, 48만명 넘었다 랭크뉴스 2025.02.10
44887 매출로만 공모가 산출했더니 상장 후 내리꽂아… PSR 평가 방식이 최악 랭크뉴스 2025.02.10
44886 “교통카드 깜빡…아 맞다, 버스비 공짜지?” 랭크뉴스 2025.02.10
44885 삼성생명, 삼성화재 자회사 편입하면… 이재용 상속세 부담 던다 랭크뉴스 2025.02.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