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지난해 9월 숨진 전 MBC 기상캐스터 오요안나씨가 직장 내 괴롭힘을 당했다는 의혹이 불거졌다. 사진 인스타그램 화면 캡처

4년 차 프리랜서 방송작가 김모(25)씨는 최근 불거진 MBC 기상캐스터였던 고(故) 오요안나씨 관련 논란이 남 일 같지 않았다. 지상파 한 프로그램에서 막내 작가로 일하는 그는 선배들이 물·핫팩·휴지 등을 가져오라고 하면 바로 달려가야했다. 단체 채팅방에서 답이 1분만 늦어도 날선 말이 돌아왔다. 막내라는 이유로 다른 작가들보다 10시간은 더 걸릴 것 같은 자료 조사 업무를 맡았을 때 못하겠다고 했다가 “감히 네가 업무를 정하냐. 정신 똑바로 차리라”는 말을 들었다. 선배들은 “착해야 된다. 네 행동이 시시각각 평가되고 있다”고 했다. 김씨는 “부당한 일을 당해도 회사에 알리면 예민한 사람 취급하고 다른 프로그램에서 부르지도 않는다”며 “참고 버티는 게 당연한 이곳에서 나도 제2의 오요안나가 될 수 있지 않을까 생각했다”고 말했다.

MBC 기상캐스터 故(고) 오요안나씨가 생전 직장 내 괴롭힘을 호소했다는 사실이 알려지며 방송계 비정규직 노동권 논란에 다시 불이 붙었다. 방송계는 비정규직 비율이 높고, 비정규직 안에서도 고용 형태가 다양한 대표적인 산업군이다. 비슷한 비극을 막기 위해선 구조적인 차별과 무한 경쟁 체제를 바꿔야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법상 근로자 아니다”…괴롭힘 사각지대 속 비정규직
오씨처럼 프리랜서 등 지위에 있는 비정규직 근로자는 직장 내 괴롭힘을 당해도 법적으로 구제 받기 어렵다고 입을 모았다. 방송 제작 조연출(AD)로 일했던 성모(27)씨도 그랬다. 사수가 자막 실수해놓곤 밤 늦게 전화해 “너 때문에 틀렸다”고 화를 내거나, 밤 늦게까지 일을 시키는 일도 부지기수였다. 조연출과 작가 등을 모아놓고 다른 동료들 평판을 하며 “나중에 잘 되려면 처신을 잘 해야 한다”고 하기도 했다. 그는 “당장 내일 그만 나오라 할 수도 있는 상황에서 조퇴조차 잘릴까봐 말할 수 없었다”며 “내 앞에서 누군가를 심하게 욕하는 것을 일상적으로 보면서 회사 눈 밖에 나지 않도록 스스로를 옭아매게 됐다”고 말했다.

2019년 제정된 직장 내 괴롭힘 금지법은 ‘근로기준법상 근로자’에게만 적용된다. 프리랜서·기간제· 파견·도급·단기직 등 비중이 높은 방송계에선 피해를 입어도 법적 사각지대에 놓이는 셈이다. 프리랜서의 경우 사용자(회사 측)의 지휘와 통제를 받아 실질적인 근로자로 일했다는 점을 입증해야 하는데, 조건이 까다로운 데다 통상 수개월 이상 걸려 포기하는 경우가 많다.

차준홍 기자
차준홍 기자
지난 2022년 방송통신위원회 보고서에 따르면, 주요 지상파 방송사 13곳의 비정규직 구성원은 9199명에 달했다. 전체 근로자수(1만 3827명)의 66%에 달하는 수치다. 이들 방송사가 전년도에 신규 충원한 제작 인력의 64%가 비정규직이었다. 고용 유형별로는 프리랜서가 32.1%로 가장 높고, 파견직 19.2%, 용역업체 15.3%, 자회사 14.5%, 계약직 12.5% 등이 뒤를 이었다.

비용 절감을 위해 필수 업무에도 비정규직을 확산하는 관행이 계속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다. 10년 차 프리랜서 작가 김모(35)씨는 “프리랜서는 자유롭게 일하고 능력만큼 돈을 버는 것을 뜻하는데, 방송계는 똑같이 일하고 돈은 못 받는다”며 “방송사 구조상 비정규직 없인 버티지 못하면서 대우는 비정상적인 상황”이라고 말했다.



계약 연장 위한 차별·경쟁…을의 전쟁터
고용 안정성이 떨어지면서 계약연장 등 생존을 위해 차별과 경쟁을 당연시 여기는 풍토가 생겼단 지적이 나온다. 3년차 프리랜서 방송작가 유모(26)씨는 “업계에서 가장 중요한 게 평판인데 그 평판을 동료가 만든다”며 “결국 누군가는 욕을 먹고 떨어져야 내 밥그릇이 보장되는 구조이니 온갖 흠집내기와 소문이 끊이질 않는다”고 털어놨다.

방송계 노동단체들은 오요안나 사건의 본질은 ‘비정규직 문제’에 있다고 지적했다. 미디어 노동단체 엔딩크레딧의 진재연 집행위원장은 “MBC뿐 아니라 다른 방송사에서도 중요한 업무를 프리랜서에게 맡기는 경우가 많은데, 실질적인 근로자인 점이 명확한 경우 정규직으로 직접 고용을 하거나 취업 규칙에 신고 대상 범위를 확대하는 등의 변화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김종진 일하는시민연구소장은 “오요안나 한 명의 일을 조사하고 끝낼 것이 아니라 관계 부처가 합동해 방송계 프리랜서의 근무 환경을 조사하고 그에 따른 권고 조치를 할 필요가 있다”며 “이와 더불어 비정규직도 고충 처리를 요구할 수 있는 창구가 있어야 한다. 방송사를 평가할 때 고용 실태를 포함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중앙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5000 국힘, ‘헌재 휩쓸 것’ 전한길 고발건 종결 촉구···“내란선동 아냐” 랭크뉴스 2025.02.10
44999 1월 전국 아파트 거래 45%는 ‘하락거래’…거래량 3개월 연속 감소 랭크뉴스 2025.02.10
44998 ‘성장’ 24번 외친 李… “주4일 근무, 30조 추경” 랭크뉴스 2025.02.10
44997 AI 가격 혁명의 방아쇠인가 vs 버블론 점화할 기폭제인가 [딥시크, 딥쇼크⑤] 랭크뉴스 2025.02.10
44996 국민의힘 이상휘 “홍장원·곽종근은 탄핵 내란의 기획자···확실하게 조사해야” 랭크뉴스 2025.02.10
44995 세계문화유산 ‘병산서원’ 훼손 혐의 KBS 드라마팀 관계자 3명 송치 랭크뉴스 2025.02.10
44994 올릭스, 일라이릴리에 9천억 신약 기술수출 소식에 폭등 [Why 바이오] 랭크뉴스 2025.02.10
44993 이재명 "주4일 근무국가로 나아가야…국회의원 국민소환제 도입" 랭크뉴스 2025.02.10
44992 트럼프가 원하고 젤렌스키도 주겠다는 희토류…문제는 러시아 점령지에 매장 랭크뉴스 2025.02.10
44991 이번에는 '잘사니즘' 띄운 이재명  "진보, 보수 유용한 처방 총동원" 랭크뉴스 2025.02.10
44990 봉준호 “비상계엄, SF보다 초현실적…해외 제작진 ‘괜찮냐’며 연락” 랭크뉴스 2025.02.10
44989 충암고 졸업식서 “여러분 잘못 없다” 사과한 민주당 의원 랭크뉴스 2025.02.10
44988 [속보]이재명 “잘사니즘 위해 어떤 정책도 수용”···의원 소환제·30조 추경 제안 랭크뉴스 2025.02.10
44987 이재명 "주4.5일제 거쳐 주4일 근무 국가로‥총노동시간 연장 안 돼" 랭크뉴스 2025.02.10
44986 이재명이 찾던 ‘군용차 차단 청년’도···“반도체 52시간 예외 안 돼” 랭크뉴스 2025.02.10
44985 [속보] 이재명 “먹사니즘 넘어 잘사니즘…주4일제도 논의하자” 랭크뉴스 2025.02.10
44984 김경수 "복당 후 이재명과 통화…李 '당의 다양성 아쉽다' 말해" 랭크뉴스 2025.02.10
44983 이재명 대선 청사진 ‘잘사니즘’… ‘주4일제’ ‘정년 연장’ 제시 랭크뉴스 2025.02.10
44982 '배우자 생일 축하금' 200만원에 車할부금 대납…뇌물 받는 법도 갖가지 랭크뉴스 2025.02.10
44981 '15세女 강간' 前대통령 은신에…"현상금 14억" 꺼낸 갑부, 뭔일 랭크뉴스 2025.02.10